이 논문은 인문학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킬 수 있는 한 가지 대안과 관련된다. 인문학을 그 초기의 정신으로 되돌려 앎의 실천을통하여 일상인들의 삶에 기여하는 인문학으로 거듭나게 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95067
2010
Korean
인문학 ; 인문학 실천 ; 인문치료 ; 상담 ; 테라피 ; humanities ; humanities practice ; humanities therapy ; counseling ; therapy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27-346(20쪽)
2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인문학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킬 수 있는 한 가지 대안과 관련된다. 인문학을 그 초기의 정신으로 되돌려 앎의 실천을통하여 일상인들의 삶에 기여하는 인문학으로 거듭나게 하...
이 논문은 인문학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킬 수 있는 한 가지 대안과 관련된다. 인문학을 그 초기의 정신으로 되돌려 앎의 실천을통하여 일상인들의 삶에 기여하는 인문학으로 거듭나게 하는 일과 관련된다.
그럼에 있어 이 논문의 목적은 최근에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신생 분야인 〈인문치료〉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논자는 특히 인문치료와 관련된 주변 학문 및 활동들과의 개념적 차이를 드러내 보임으로써 그 위상을 명료화하는데 주력할 것이다. 논자는 먼저 인문학의 개념과 그 목적을 살펴보고, 이에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국내외적으로 생소한 용어인 '인문학 실천'에 대해 살펴보겠다. 그리고 인문학의 이론분야와 실천분야의 지형도를 제시하면서, 그 안에서 인문치료의 위치를 확인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기본적으로 인문학과 인문학 실천의 관계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진행될 것이며, 뒤이어서 인문치료의 정의, 목적, 대상, 방법을 검토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volves an attempt to take advantage of the so-called "crisis in the humanities" by considering it an opportunity to revisit the founding ideals of humanities that lie in the very practice of knowledge. In doing so. humanities can once a...
This article involves an attempt to take advantage of the so-called "crisis in the humanities" by considering it an opportunity to revisit the founding ideals of humanities that lie in the very practice of knowledge. In doing so. humanities can once again contribute to the lives of everyday people. In accordance to the larger frame of thought mentioned above. the main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firmly define the identity of the newly rising field of humanities therapy. By characterizing its nature in comparison to other related studies and movements in this field. the writer clarifies its status within the realm of humanities. Firstly. the concept and central aim of humanities will be scrutinized alongside the fairly unknown term "Humanities Practice" or "Humanitas Praxis." In addition. the writer also attempts to locate humanities therapy within the topology of both theory and practice in humanities. Underlying this study .is the basic proces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ies and "Humanities Practice." This is to be followed by the defmition and objective of humanities therapy and its potential subjects and methodolog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고병헌, "희망의 인문학: 클레멘트 코스 기적을 만들다" 이매진 2006
2 임철우, "행복한 인문학: 세상과 소통하는 희망의 인문학 수업" 이매진 2008
3 박이문, "통합의 인문학: 둥지의 철학을 위하여" 지와사랑 2009
4 김영진, "철학적 병에 대한 진단과 처방: 임상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4
5 이진남, "철학상담의 한국적 적용을 위한 기초이론연구 -용어 정리와 체계 설정을 위한 제언-" 범한철학회 52 (52): 331-364, 2009
6 김익희, "철학상담소:우울한 현대인을 위한 철학자들의 카운슬링" 북로드 2006
7 이봉희, "인문학의 가치 재평가: 인문치료. in: 인문치료총서2: 인문치료학의 모색" 강원대학교 출판부 2009
8 이민용, "인문치료의 모색: 이야기의 치유적 활용과 스토리텔링 치료. in: 인문치료총서2: 인문치료학의 모색 제1부 2장" 강원대학교 출판부 2009
9 이영의, "인문치료 패러다임" 범한철학회 56 (56): 283-309, 2010
10 강원대학교 HK인문치료사업단, "인문치료" 강원대학교출판부 2009
1 고병헌, "희망의 인문학: 클레멘트 코스 기적을 만들다" 이매진 2006
2 임철우, "행복한 인문학: 세상과 소통하는 희망의 인문학 수업" 이매진 2008
3 박이문, "통합의 인문학: 둥지의 철학을 위하여" 지와사랑 2009
4 김영진, "철학적 병에 대한 진단과 처방: 임상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4
5 이진남, "철학상담의 한국적 적용을 위한 기초이론연구 -용어 정리와 체계 설정을 위한 제언-" 범한철학회 52 (52): 331-364, 2009
6 김익희, "철학상담소:우울한 현대인을 위한 철학자들의 카운슬링" 북로드 2006
7 이봉희, "인문학의 가치 재평가: 인문치료. in: 인문치료총서2: 인문치료학의 모색" 강원대학교 출판부 2009
8 이민용, "인문치료의 모색: 이야기의 치유적 활용과 스토리텔링 치료. in: 인문치료총서2: 인문치료학의 모색 제1부 2장" 강원대학교 출판부 2009
9 이영의, "인문치료 패러다임" 범한철학회 56 (56): 283-309, 2010
10 강원대학교 HK인문치료사업단, "인문치료" 강원대학교출판부 2009
11 Marinoff,L, "The Big Questions: How Philosophy can Change your Life" 2004
12 Marinoff, L, "Plato Not Prozac: Applying Philosophy to Everyday Problems" HarperCollins 1999
13 Raabe, P, "Philosophical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e" Praeger 2000
14 Raabe, P, "Issues in Philosophical Counseling" Praeger 2002
15 "Encyclopaedia Britannica"
강원도 다문화가정의 미취학자녀에 대한 교육지원 실태 조사
영화「오프닝 나이트 Opening Night」를 통해 본 자기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 | 0.80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