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알렉산드르 1세 치세(1801~1825) 러시아 검열 = Russian Censorship during the Reign of Alexander 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563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알렉산드르 1세 통치 24년 동안 검열의 변화 양상과 그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알렉산드르 1세 시대 검열 개혁의 특징은 행정 및 교육 체제의 개편 과 동시에 진행되었다는 점에 있다. 중앙 행정 기관의 개편에 따라 교육부가 검 열을 관장하게 되었고, 그 산하에 최고 검열 기관인 ‘중앙교육청’이 설립되었다. 검열 실무는 당대의 진보적 계몽주의자들로 구성된 대학 검열위원회가 수행하였다. 검열 개혁 과정에서 명문화된 법률의 불가피성이 대두되어 1804년 러시 아 최초의 체계적인 정규 검열법이 제정되었다. 『1804년 검열법』은 러시아 검열법제사에서 가장 자유주의적인 것으로 평가 받는다. 그러나 1807년 시작된 프랑스와의 전쟁은 검열의 보수화를 초래한다. 1811년 국내 치안을 강화하기 위해 신설된 경찰부는 교육부가 전담해오던 검열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였다. 이로 인해 기존 교육부의 자유주의적 검열과 신설된 경찰부의 반동적 검열이 공존하는 이중 검열 체제가 조성된다. 1812년 ‘조국전쟁’ 승리 후 알렉산드르 1세 는 국제 관계에서 종교-정치적 보수주의에 기초한 신성동맹을 주도하였다. 이 것은 국가 통치 기조와 함께 검열의 반동적 전환을 의미한다. 알렉산드르 1세가 표방한 정교적 신앙을 토대로 한 보수화의 의지는 종교•교육부의 설립과 이를 통한 종교 검열의 강화로 나타났다. 종교 검열은 세속 검열의 영역에 광범위하게 간여함으로써 검열의 경향은 더욱 우경화되었다. 알렉산드르 1세의 치세는 통치 권력의 특성과 조응하는 검열의 본질을 명확히 보여주는 시기이다. 이 기 간의 검열은 여러 요인에 의해 변화한 통치 기조와 연동해 초기 자유주의적 경 향에서 점차 보수반동화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알렉산드르 1세 통치 24년 동안 검열의 변화 양상과 그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알렉산드르 1세 시대 검열 개혁의 특징은 행정 및 교육 체제의 개편 과 동시에 진행되었다는 점에 있다....

      이 글은 알렉산드르 1세 통치 24년 동안 검열의 변화 양상과 그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알렉산드르 1세 시대 검열 개혁의 특징은 행정 및 교육 체제의 개편 과 동시에 진행되었다는 점에 있다. 중앙 행정 기관의 개편에 따라 교육부가 검 열을 관장하게 되었고, 그 산하에 최고 검열 기관인 ‘중앙교육청’이 설립되었다. 검열 실무는 당대의 진보적 계몽주의자들로 구성된 대학 검열위원회가 수행하였다. 검열 개혁 과정에서 명문화된 법률의 불가피성이 대두되어 1804년 러시 아 최초의 체계적인 정규 검열법이 제정되었다. 『1804년 검열법』은 러시아 검열법제사에서 가장 자유주의적인 것으로 평가 받는다. 그러나 1807년 시작된 프랑스와의 전쟁은 검열의 보수화를 초래한다. 1811년 국내 치안을 강화하기 위해 신설된 경찰부는 교육부가 전담해오던 검열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였다. 이로 인해 기존 교육부의 자유주의적 검열과 신설된 경찰부의 반동적 검열이 공존하는 이중 검열 체제가 조성된다. 1812년 ‘조국전쟁’ 승리 후 알렉산드르 1세 는 국제 관계에서 종교-정치적 보수주의에 기초한 신성동맹을 주도하였다. 이 것은 국가 통치 기조와 함께 검열의 반동적 전환을 의미한다. 알렉산드르 1세가 표방한 정교적 신앙을 토대로 한 보수화의 의지는 종교•교육부의 설립과 이를 통한 종교 검열의 강화로 나타났다. 종교 검열은 세속 검열의 영역에 광범위하게 간여함으로써 검열의 경향은 더욱 우경화되었다. 알렉산드르 1세의 치세는 통치 권력의 특성과 조응하는 검열의 본질을 명확히 보여주는 시기이다. 이 기 간의 검열은 여러 요인에 의해 변화한 통치 기조와 연동해 초기 자유주의적 경 향에서 점차 보수반동화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relations between the government power and the press by censorship during the Reign of Alexander I. The time limit of this study is from 1801 to 1825 a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restricted to press censorship. I made an attempt to establish this research on the basis of historical materials, how censorship came into action by the government power. I examined statute, official documents, contemporary accounts including memoirs, and articles related to censorship. Paul I died in 1801 and was succeeded by Alexander I, who revoked Paul’s latest laws. Continuing in the spirit of reform, Alexander I abolished the censorship officers and returned the importation of foreign works to its pre-1796 condition, which had been based on the Tariff Act of 1782. The new emperor valued and encouraged publishing. This was demonstrated by the government of Alexander I through the opening of presses, promoting advances in printing, subsidizing books and journals, and producing the most liberal censorship statute ever to appear in Imperial Russia. State universities and the Ministry of Public Education would become the principal censorship agencies, and relatively tolerant academics, many of them writers, would serve as censor, often in the role of attentive advisors to the authors in their charge. Alexander I approved a major censorship reform by creating the Ministry of Public Education in September 1802 and making it responsible for a new, centralized censorship system for secular works. For the first time, censorship acquired the positive stamp of serving to raise cultural and educational levels. The following year, the emperor named a powerful steering committee, a Chief Administration of Schools, to counsel the minister of public education and to oversee censorship reforms. By introducing the Statute of 1804 and placing censorship under the new Ministry of Public Education, Alexander I had forged good relations between his government and the private publishing industry. Given that Alexander I thought much like an eighteenth-century enlightened despot, the emperor used censorship and the press to advance knowledge. Alexander I staffed a censorship organization with easy-going university academics who were also writers. Only when the French loomed as enemies did the government tighten censorship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Ministry of the Police. For the most part, censorship was benign and loos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relations between the government power and the press by censorship during the Reign of Alexander I. The time limit of this study is from 1801 to 1825 a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restricted to press censor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relations between the government power and the press by censorship during the Reign of Alexander I. The time limit of this study is from 1801 to 1825 a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restricted to press censorship. I made an attempt to establish this research on the basis of historical materials, how censorship came into action by the government power. I examined statute, official documents, contemporary accounts including memoirs, and articles related to censorship. Paul I died in 1801 and was succeeded by Alexander I, who revoked Paul’s latest laws. Continuing in the spirit of reform, Alexander I abolished the censorship officers and returned the importation of foreign works to its pre-1796 condition, which had been based on the Tariff Act of 1782. The new emperor valued and encouraged publishing. This was demonstrated by the government of Alexander I through the opening of presses, promoting advances in printing, subsidizing books and journals, and producing the most liberal censorship statute ever to appear in Imperial Russia. State universities and the Ministry of Public Education would become the principal censorship agencies, and relatively tolerant academics, many of them writers, would serve as censor, often in the role of attentive advisors to the authors in their charge. Alexander I approved a major censorship reform by creating the Ministry of Public Education in September 1802 and making it responsible for a new, centralized censorship system for secular works. For the first time, censorship acquired the positive stamp of serving to raise cultural and educational levels. The following year, the emperor named a powerful steering committee, a Chief Administration of Schools, to counsel the minister of public education and to oversee censorship reforms. By introducing the Statute of 1804 and placing censorship under the new Ministry of Public Education, Alexander I had forged good relations between his government and the private publishing industry. Given that Alexander I thought much like an eighteenth-century enlightened despot, the emperor used censorship and the press to advance knowledge. Alexander I staffed a censorship organization with easy-going university academics who were also writers. Only when the French loomed as enemies did the government tighten censorship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Ministry of the Police. For the most part, censorship was benign and loo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개요
      • 1. 들어가는 말
      • 2. 자유주의 개혁 시기: 검열 개혁과 『1804년 검열법』
      • 3. 전환기: 이중 검열 체제
      • 4. 반동 시기: 조국전쟁과 종교·교육부
      • 국문개요
      • 1. 들어가는 말
      • 2. 자유주의 개혁 시기: 검열 개혁과 『1804년 검열법』
      • 3. 전환기: 이중 검열 체제
      • 4. 반동 시기: 조국전쟁과 종교·교육부
      • 5. 맺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니콜라스 랴자놉스키, "러시아의 역사. 전2권" 까치 2011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3 에마뉘엘 피에라, "검열에 관한 검은 책" 알마 2012

      4 Розенберг, Вл., "печать и цензура в прошлом и настоящем. Статьи" 1905

      5 Пушкин, А.С.,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10 томах. Т. 2" 1959

      6 "Сборник постановлений и распоряжений по цензуре с 1720 по 1862 год"

      7 Репинский Г.К., "Русская старина. Т. 14" 1875

      8 "Русская старина Т. 8"

      9 Ключевский, В.О., "Русская история. Т. 3. Лекция 83" 1993

      10 Минаева, О.Д., "Русская журналистика: История надзора" 2003

      1 니콜라스 랴자놉스키, "러시아의 역사. 전2권" 까치 2011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3 에마뉘엘 피에라, "검열에 관한 검은 책" 알마 2012

      4 Розенберг, Вл., "печать и цензура в прошлом и настоящем. Статьи" 1905

      5 Пушкин, А.С.,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10 томах. Т. 2" 1959

      6 "Сборник постановлений и распоряжений по цензуре с 1720 по 1862 год"

      7 Репинский Г.К., "Русская старина. Т. 14" 1875

      8 "Русская старина Т. 8"

      9 Ключевский, В.О., "Русская история. Т. 3. Лекция 83" 1993

      10 Минаева, О.Д., "Русская журналистика: История надзора" 2003

      11 "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исторический архив, Ф. 908"

      12 Чернета, В., "Предтеча: Адмирал А. С. Шишков - человек, учёный, министр" (4) : 1999

      13 Лопухин, А.П., "Православная Богослов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Т. 12" 1900

      14 Рудаков, В.Е., "Последние дни цензуры в Министерстве народного просвещения (председатель СПб. цензурного комитета В.А. Цеэ)"

      15 "ПСЗ(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законов)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с 1649 года. (1830) 1 собр. Т. 23, 24, 26, 27, 28, 31, 34"

      16 Скабичевский, А.М., "Очерки истории русской цензуры(1700- 1863)" 1892

      17 Энгельгардт, Н.А., "Очерк истории русской цензуры(1703-1903)" 1904

      18 "Манифест о кончине Императора Павла I, и о вступлении на престол Императора Александра I. 12 марта. 1801"

      19 Жирков, Г.В., "История цензуры в России XIX-XX вв" 2001

      20 Исаев, И.А., "История государства и права России" 1996

      21 Рождественский, С.В., "Исторический обзор деятельности Министерства народного просвещения 1802-1902" 1901

      22 Сухомлинов, М.И., "Исследования и статьи по русской литературе и просвещению. Т. 1" 1889

      23 Великий князь Николай Михайлович, "Император Александр I" 2010

      24 Арсеньев, К.К., "Законодательство о печати"

      25 Матвеева, М.В., "Вопросы отечественной истории. Вып. 3" 2003

      26 Величко, К.И., "Военн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Т. 7" 1912

      27 Демкин, А.В., "Внутренняя политика Александра I в 1801-1805 гг" 2012

      28 Брекер, Э.Г., "Взгляд на цензуру и наблюдения над нею, собранные в течение восьмилетнего отправления цензорской должности"

      29 Сахаров, А.Н., "Александр I. Российские самодержцы" 1990

      30 Валишевский, К., "Александр I. История царствования" 2011

      31 Ruud, C.A., "Fighting Word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9

      32 Hartley, Janet M., "Alexander I" Longman 1994

      33 Choldin, M.T., "A Fence around the Empire" Duke University Press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