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동사’는 언어학적으로 매우 좁게도 그리고 넓게도 해석할 수 있는 동사 군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폴란드어처럼 인접하지 않은 낯선 언어 관계에 서 이동 동사는 어떤 의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56384
2016
-
920
KCI등재
학술저널
3-23(2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동 동사’는 언어학적으로 매우 좁게도 그리고 넓게도 해석할 수 있는 동사 군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폴란드어처럼 인접하지 않은 낯선 언어 관계에 서 이동 동사는 어떤 의미 ...
‘이동 동사’는 언어학적으로 매우 좁게도 그리고 넓게도 해석할 수 있는 동사 군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폴란드어처럼 인접하지 않은 낯선 언어 관계에 서 이동 동사는 어떤 의미 차이를 가지고 있을지 인식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예컨대 한국어의 대표적인 이동 동사인 ‘가다’, ‘오다’의 경우에는 ‘방향’이 대립 을 이루지만, 폴란드어 ‘iść(걸어서 가다)’와 ‘chodzić(걸어 다니다)’의 경우에는 ‘방식’의 대립이 두드러진다. 또 한국어는 공간과 시간 중 공간의 중심이 두드러 지지만 폴란드어는 공간 못지않게 시간도 중요한 개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차이가 양국 언어 사용자의 인식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 upon the perception of ‘motion’ and how it is expressed in both the Korean and Polish languages. Research was carried out based on a survey in which key verbs of motion were proposed by Korean and Polish students. The most popular...
This study focus upon the perception of ‘motion’ and how it is expressed in both the Korean and Polish languages. Research was carried out based on a survey in which key verbs of motion were proposed by Korean and Polish students. The most popular choices for motion in Korean are 16 verbs referring to direction, manner, means of transport, frequency as well as superordinate verbs (e.g. ‘umjigida’). In contrast there are 21 verbs of motion which are most popularly used by Polish students. These refer mostly to manner, but there are also verbs with additional components of meaning such as ‘pleasure’ (e.g. ‘tańczyć’) or ‘purpose/result’ (e.g. ‘uciekać’), superordinate verbs (e.g. ‘przemieszczać się’) and verbs referring to direction. Detailed analyses are made and the contrasts between basic verbs of motion in both languages a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재성, "현대 한국어 동사구문의 연구" 탑출판사 1992
2 Szamborska, Agnieszka, "한국어와 폴란드어의 이동 동사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2016
3 임지룡, "한국어 이동 사건의 어휘화 양상" 20 (20): 23-45, 2000
4 남승호, "한국어 이동 동사의 의미구조와 논항교체" 9 (9): 111-145, 2003
5 임지룡, "주관적 이동표현의 인지적 의미 특성" 5 (5): 181-205, 1998
6 Locke, John, "인간지성론" 동서문화사 527-, 2011
7 채희락, "이동동사의 정의와 분류" 15 (15): 79-100, 1999
8 이기동, "동사 <오다><가다>의 의미 분석" 2 : 139-159, 1977
9 전수태, "국어 이동동사의 의미 연구" 한신문화사 2009
10 Laskowski, Roman, "Z polskich studiów slawistycznych IX: Językoznawstwo" 175-181, 1998
1 홍재성, "현대 한국어 동사구문의 연구" 탑출판사 1992
2 Szamborska, Agnieszka, "한국어와 폴란드어의 이동 동사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2016
3 임지룡, "한국어 이동 사건의 어휘화 양상" 20 (20): 23-45, 2000
4 남승호, "한국어 이동 동사의 의미구조와 논항교체" 9 (9): 111-145, 2003
5 임지룡, "주관적 이동표현의 인지적 의미 특성" 5 (5): 181-205, 1998
6 Locke, John, "인간지성론" 동서문화사 527-, 2011
7 채희락, "이동동사의 정의와 분류" 15 (15): 79-100, 1999
8 이기동, "동사 <오다><가다>의 의미 분석" 2 : 139-159, 1977
9 전수태, "국어 이동동사의 의미 연구" 한신문화사 2009
10 Laskowski, Roman, "Z polskich studiów slawistycznych IX: Językoznawstwo" 175-181, 1998
11 Fillmore, Charles J., "Universals in Linguistic Theory"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1-88, 1968
12 Talmy, Leonard, "Towards a Cognitive Semantics" 2000
13 Wierzbicka, Anna, "The semantic structure of space notions" 283-291, 1971
14 Talmy, Leonard, "Syntax and Semantics 4" Academic Press 181-238, 1975
15 Grochowski, Maciej, "Semiotyka i struktura tekstu" PAN Instytut Badań Literackich 189-199, 1973
16 Laskowski, Roman, "Semantyka a konfrontacja językowa 2" SOW 49-57, 1999
17 Wierzbicka, Anna, "Semantics - Primes and Universals" University Press 1996
18 Grochowski, Maciej, "Prace filologiczne XXIV" Wydawnictwo Uniwersytetu Warszawskiego 99-116, 1973
19 Włodarczyk, Hélène, "Polonica VI" Instytut Języka Polskiego PAN 49-56, 1980
20 Bojar, Bożena, "Opis semantyczny czasowników ruchu oraz pojęć związanych z ruchem" Wydawnictwa Uniwersytetu Warszawskiego 1979
21 Laskowski, Roman, "Morfologia współczesnego języka polskiego" 151-224, 1998
22 Fillmore, Charles J., "Lectures on Deixis" CSLI Publications 1997
23 Goldberg, Adele E., "Constructions. A construction Grammar Approach to Argument Structur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5
24 Langacker, Ronald W., "Concept, Image, and Symbol - The Cognitive Basis of Grammar" Mouton de Gruyter 2002
세르비아/크로아티아/보스니아/몬테네그로어의 동사에 나타나는 시제와 상의 구조
폴란드 그림책 작가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Iwona Chmielewska)의 포스트모던적 작품세계 연구
《포막 초상화들》속의 지역사회 변혁과 중층적 영상 재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3-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3 | 0.13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6 | 0.15 | 0.459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