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Iwona Chmielewska, 1960~ )는 폴란드에서 태어난 그림책 작가이다. 대한민국의 창비 출판사가 판권을 가지고 있는 『마음의 집』(2011)과 『눈』(2013)으로 두 번씩이나 어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56386
2016
-
920
KCI등재
학술저널
49-75(2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Iwona Chmielewska, 1960~ )는 폴란드에서 태어난 그림책 작가이다. 대한민국의 창비 출판사가 판권을 가지고 있는 『마음의 집』(2011)과 『눈』(2013)으로 두 번씩이나 어린...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Iwona Chmielewska, 1960~ )는 폴란드에서 태어난 그림책 작가이다. 대한민국의 창비 출판사가 판권을 가지고 있는 『마음의 집』(2011)과 『눈』(2013)으로 두 번씩이나 어린이책의 노벨상이라고 일컬어지는 볼 로냐 라가치 대상(Bologna Ragazzi Award)을 받은 바 있는 이보나 흐미엘레프 스카는 2004년 한국 데뷔이후 한국 독자들의 사랑을 바탕으로 전세계 독자들과 소통하고 있는 국제적인 작가이다.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의 작품은 그림책이 가지고 있는 실험성과 독창성의 극대화, 독자에게 해석과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내러티브의 사용, 글과 그림의 파편화와 쌍방향성, 다양한 독자들에게 다양하게 읽힐 수 있는 다중 의미의 적 용 등이 특징이다. 이 연구는, 오늘날 한국에서 발간되고 있고 전 세계가 주목 하고 있는 작가인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그림책의 포스트모던적 특성을 밝혀, 포스트모던 그림책 비평의 요소들에 근거한 분석을 통해 그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 첫째, 우선 미쉘 앤스테이(Michelle Anstey 2008/2010)의 포스트모던 그림책들을 하나의 공예물, 역사적 유물로서 취급했을 때의 접근방식을 다루고 있는 고고학적 방법론을 적응하였다. 그림책을 접하게 되는 독자가 한 사람의 고고학자가 되어 그림책이라는 한 유물을 들여다보게 하는 이 방식 에 따라, 앤스테이는 여덟 가지의 영역에서 책이 지닌 포스트모던 적 기제를 조 사한다. 책이 어떠한 사회적, 역사적, 정치적 맥락을 통해 존재하게 되었는지 어디서 누구를 위해 만들어졌는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따져보는 앤스테이의 고고학적 방법론은 한국에서 만들어진 폴란드 작가로서의 저자 이보나 흐미엘 레프스카의 작품이 가지고 있는 태생적인 포스트 모던적 특징을 드러내고, 이 그림책들을 사회적 산물이며 한국 그림책의 발전이라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메타픽션적 장치와 기법을 살펴보았을 때, 흐미엘레프스카의 작품들은 그림과 글 텍스트의 상호 대립적 관계과 경쟁적인 담론, 독자 참여와 유희성, 다층적 읽기와 의미 적용의 가능성, 상호 텍스트성과 패러디성, 텍스트와 일러스트레이션, 플롯과 인물, 배경의 미결정성 이라는 확연한 특징들 을 모두 보여주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을 보충하기 위해 쓰이고 있는 급 진적 변화이론에서의 변화적 경계라는 측면에서도 작가의 작품은 이전까지 다뤄지지 않았던 주제나 간과했던 배경들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그 경계선에 위치 한다. 그림책이 나타내는 사회적 메시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작가로, 문학적 실험에만 그치지 않고 대중의 사랑을 받는 이러한 흐미엘레프스카의 작품들은, 어른 뿐 아니라 어린이들도 이해할 수 있는 대중적인 포스트모더니즘 작품의 발현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wona Chmielewska is a Polish picturebook author, who won Bologna Ragazzi award (so called the Nobel Prize for Children’s picture book) twice with books published originally in Korea. Publishing more than 20 picturebooks in 10 years in Korea, Iwona ...
Iwona Chmielewska is a Polish picturebook author, who won Bologna Ragazzi award (so called the Nobel Prize for Children’s picture book) twice with books published originally in Korea. Publishing more than 20 picturebooks in 10 years in Korea, Iwona Chmielewska is now a well knwon figure in Childnren’s picturebook world, with her unique philosophical, experimental picturebooks. This study is about postmodernistic characteristics in Iwona Chmielewska’s picturebooks, assuming this as the specificity of this creator’s picturebooks. Postmodern characteristics are indeed one of the main issues of contemporary picturebooks, 1980’s onward. Of those characteristics, the compatibility between text and the picture, competitive discourse between text and picture, intertextuality and parody, playfulness, multi layered meaning and many possibilities of interpretation, the pendency of text and illustration - suggested as main qualities of postmodern picturebooks by Sipe and Pantaleo - are all clearly shown in Iwona Chmielewska’s picturebooks. Of radical change theory - Iwona Chmielewska is a very socially concerend author, whose text and illustration often include thematic taboos and social messages. These characteristics are more meaningful, since Chmielewska’s many picturebooks are not just literary experiments, its rather quite popular and commercially successful works of art - which also prove wide social appeal of postmodernistic trends to adults and children reader alike in Kore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은중, "흐미엘레프스카 "한국은 내 작가 인생의 고향""
2 이승혜, "한국에서 활동하는 폴란드 그림책 작가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인터뷰"
3 조원옥, "포스트모던 문화 연구에서 역사성 모색하기 - 프레드릭 제임슨의 변증법적 텍스트 이해 -" 효원사학회 39 : 235-262, 2011
4 이효원, "포스트모던 그림책에 나타난 결말 구조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23-346, 2010
5 신세니, "포스트모던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특성 및 기능 연구 : 유아의 그림책 읽기 과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6 신승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성찰" 살림 2003
7 문화체육관광부, "출판문화산업 진흥5개년 계획 (2012-2016)" 계문사 2012
8 김범석, "세계적 그림책 작가 흐미엘레프스카 씨, 한국 초등생과 대화"
9 이지원, "상상을 생각의 다양성과 연결하는 그림책 작가,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14 (14): 21-27, 2010
10 김이산, "똑!똑!똑! 그림책" 현암사 2004
1 권은중, "흐미엘레프스카 "한국은 내 작가 인생의 고향""
2 이승혜, "한국에서 활동하는 폴란드 그림책 작가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인터뷰"
3 조원옥, "포스트모던 문화 연구에서 역사성 모색하기 - 프레드릭 제임슨의 변증법적 텍스트 이해 -" 효원사학회 39 : 235-262, 2011
4 이효원, "포스트모던 그림책에 나타난 결말 구조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23-346, 2010
5 신세니, "포스트모던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특성 및 기능 연구 : 유아의 그림책 읽기 과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6 신승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성찰" 살림 2003
7 문화체육관광부, "출판문화산업 진흥5개년 계획 (2012-2016)" 계문사 2012
8 김범석, "세계적 그림책 작가 흐미엘레프스카 씨, 한국 초등생과 대화"
9 이지원, "상상을 생각의 다양성과 연결하는 그림책 작가,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14 (14): 21-27, 2010
10 김이산, "똑!똑!똑! 그림책" 현암사 2004
11 변윤희, "기호학적 관점에서 본 그림책의 글과 그림 읽기" 22 (22): 339-362, 2002
12 현은자, "그림책의 이해" 사계절 2005
13 이지현, "그림책의 역사, 그리고 현대문학이론과 기호학적 관점에서의 그림책의 커뮤니케이션 분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9 (19): 33-42, 2007
14 신명호, "그림책의 세계" 주니어김영사 2009
15 이효원, "그림책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 메타픽션 기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16 허미경, "그림책 그리는 이유? 어려운 이들 도울 수 있어서죠"
17 김지은, "그림책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200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17) : 451-479, 2009
18 곽영권, "그림으로 말하라" 홍디자인 2009
19 곽영권, "그림 이야기 사람 이야기" 신구문화사 1994
20 Bologna Children’s Book Fair, "Winners 2013"
21 Bologna Children’s Book Fair, "Winners 2011"
22 Bradford, C., "The Picture Book: Some Postmodern Tensions" 4 : 10-14, 1993
23 Lewis, D., "Reading contemporary picturebooks: Pictureing text" Routledge 2001
24 Dresang, E. T., "Radical Change: Books for Youh in a Digital Age" The H.W. Wilson Company 1999
25 Anstey, M., "Postmodern Picturebooks: Play, Parody, and Self-Referentiality" Routledge 195-236, 2008
26 Genette G., "Paratexts: Thresholds of Interpre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27 Lee, J., "Janusz Korczak w książkach dla dzieci w Korei. 『Pochód Aniołów』, 『Pamiętnik Blumki』" 3 (3): 181-192, 2013
28 Antsey, M., "International companion encyclopedia of children’s literature" Routledge 444-457, 2008
29 Hunt, P., "Criticism, Theory and Children’s Literature" Blackwell 175-188, 1991
30 Lee, J., "Artystka z Polski jako produkt koreański. O książkach Iwony Chmielewskiej" 1 (1): 95-110, 2010
세르비아/크로아티아/보스니아/몬테네그로어의 동사에 나타나는 시제와 상의 구조
《포막 초상화들》속의 지역사회 변혁과 중층적 영상 재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3-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3 | 0.13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6 | 0.15 | 0.459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