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문화를 공유하는 대학기숙사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홍익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2359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 실내설계전공 , 2018.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27.38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community space plan of university domitory sharing local culture : focused on Hongik University

      • 형태사항

        ix, 102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윤은경
        참고문헌: 장 96-98

      • UCI식별코드

        I804:11064-000000022768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서울과 수도권으로 대학이 편중되면서 주변에 있는 건물의 임대료 상승 과 임대 공급부족으로 대학 기숙사의 수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기숙사 신축은 지역주민들이 생존권 ...

      최근 서울과 수도권으로 대학이 편중되면서 주변에 있는 건물의 임대료 상승 과 임대 공급부족으로 대학 기숙사의 수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기숙사 신축은 지역주민들이 생존권 및 일조권 침해, 음주소음, 성범죄 등의 이유로 기숙사 신축을 반대하고 대학과 주민, 대학생과 주민간의 감정싸움과 소송으로 사회적 비용과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는 현실이다.
      대학 기숙사 시설들은 대학과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중요한 연결지대로서 대학 기숙사와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연계는 도심 활력을 일으키고, 도시 이미지를 강화하는 한편 주변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재생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대학 기숙사 시설들은 대학 캠퍼스 울타리 내에 건립되어왔으며, 지역 사회와 격리된 형태로 발전되어왔다. 이처럼 대학 지원 기능중 하나인 대학 기숙사는 도심 활력증대, 문화지대 형성, 교육공간의 도시적 확장을 통한 새로운 도시이미지 강화, 지역 사회와 대학의 커뮤니티 강화 차원에 새롭게 고찰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과 연계하여 기숙사생들과 지역 주민들에게 다양한 편의, 문화, 복지, 여가시설 등에 대한 접근의 용이성을 제공함으로서 생활만족도 증대 측면에서도 지역 사회와 대학 기숙사의 적극적인 연계를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문화를 공유하는 공간으로서의 대학 기숙사 커뮤니티공간을 제한하기 위하여 지역문화에 있어 주민의 참여 의의와 기숙사 커뮤니티 공간 역할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방문객, 주민, 학생들의 자발적 문화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공간 프로그램과 디자인 표현방법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대학 기숙사 커뮤니티 공간의 현황을 조사, 비교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 서울 홍익대학교 제2기숙사를 선정하여 공간계획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대상 지역의 역사성과 대상지의 장소적 특성을 반영하여, 지역의 폭넓은 세대가 공감할 수 있으며, 타 지역과 차별화된 공간을 제시하였다.
      둘째, 이론적 고찰과 공간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공용 공간, 커뮤니티 공간, 상업 공간, 전시·체험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각 공간 구성에 맞추어 1층은 복합 커뮤니티 공간프로그램으로 세탁카페, 주민자치센터, 도서관등을 배치하였고, 지하 1층에는 문화 체험중심의 공간 프로그램으로 LP 라이브러리, 소극장, 전시장등을 배치하였다.
      셋째, 2장의 분석내용을 기반으로 대학 기숙사 커뮤니티 공간의 특성을 개방성, 공공성, 복합성, 가변성으로 정리하였고 대학 기숙사 커뮤니티 공간디자인 계획을 제시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개방성의 적용으로, 메인 출입구에서 큰 열린 계단 광장과 양쪽 벽에 홍대지역의 자유로운 문화를 나타내는 그래피티(Graffiti)등의 열린 공간들을 계획하여 커뮤니티와 지역주민과의 연계, 방문자와의 관심과 참여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공공성의 적용으로, 공간을 통한 소통과 공동의 유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공간 표현을 위해 푸드코트(Food Court)와 LP 라이브러리, 소극장등의 공간과 자연스러운 만남과 소통이 이루어지는 실내 정원등의 휴식 공간계획을 제시하였다.
      복합성의 적용으로, 공간을 다양하게 수용하여 사람들과의 교류 및 소통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카페안에 빨래방, 주민자치센터, 어린이보호소, 세미나룸을 계획하였고, 야외무대, 소극장, 오픈 라이브러리등의 공간을 계획하여 행사 및 교육, 체험 프로그램을 수용 할 수 있는 공간을 제시하였다.
      가변성의 적용으로, 지역사회의 폭넓은 구성원들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새로운 시도와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변적이고 다목적인 공간을 제시하였다.
      종합하면, 지역문화를 공유하는 대학 기숙사 커뮤니티 공간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첫째, 학교시설은 지역사회의 공공시설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요즘 학교는 이러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실정이고, 또한 현재의 지역사회 내에는 규모가 큰 시설들을 제외하고 소규모 공공 문화시설이 수적으로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사회의 공공 문화시설과 학교시설의 복합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공공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지역 사회와의 관계를 유지해야한다. 또한 지역의 공공 문화시설의 문화·교육의 기회를 제공을 하여 지역주민의 보급 및 질적인 향상시켜야 한다.
      둘째, 대학 기숙사의 입지는 기숙사 거주인 들의 거주 만족도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대학 기숙시설 주변지역의 활성화 차원에서 새롭게 조명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대학 기숙사는 지역민들과 지리적으로 밀접해 있어 지역의 커뮤니티의 장으로 활용하기 적합하다. 이에 시설 공간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특별 교실 같은 개발공간과 문화·복지시설 공간을 구성하고 고려해야한다.
      셋째, 교육시설 및 문화시설로 활용하기 위한 개방공간은 이용에 따라 융통성 있는 변화가 가능하게 하여 이용자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용시켰다. 따라서 일부 특별한 공간은 가변적 공간으로 계획하고 실내 활동이 외부로 확장 가능한 공간형태를 가지도록 고려해야한다.
      대학 기숙사 시설은 대학과 지역사회를 연결지대로서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에 지역 활성화 발전을 위한 대학 기숙사 시설은 개방성, 공공성, 복합성, 가변성을 살린 대학 기숙사 커뮤니티 공간 계획과 디자인 표현특성들을 공간디자인 계획에 활용해야 하며, 향후 지역사회와 연계 및 공유를 위한 대학 기숙사 내 커뮤니티 시설의 발전을 위하여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다양하고 적극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colleges concentrate on Seoul and the capital area, the demand problem of the college dormitory is emerging due to the rental rise of the nearby buildings and the lack of the lease supply. However, local residents are objecting to newly build...

      Recently colleges concentrate on Seoul and the capital area, the demand problem of the college dormitory is emerging due to the rental rise of the nearby buildings and the lack of the lease supply. However, local residents are objecting to newly building the dormitory for the reason of the intrusion of right to live and right to sunshine, drinking and noise, sexual crime, and the social cost and energy is being wasted due to the emotional fight and lawsuit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residents.
      College dormitory facilities are an important connecting zone that connects the college and the community. The active connection between the college dormitory and the community brings about the downtown vitality and reinforces the city image while creating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ecycling effect of the nearby region. Nevertheless, the domestic college dormitory facilities have been built within the college campus fence and have developed away from the community. Like this, the college dormitory, one of the college support functions, needs to be considered newly in terms of the downtown vitality boost, cultural zone formation, reinforcing a new urban image through the urban expansion of the educational space, and community strengthening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college. Also, the systematic study for the active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college dormitory is necessary in terms of the increase in the life satisfaction by providing the dormitory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with the accessibility to various conveniences, cultures, welfares, and leisure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apprehended the resident participation significance and the importance of the dormitory community space role regarding the local culture to restrict the college dormitory community space as a space sharing the local culture, and drew the space program and the design expression way to attract the voluntary culture participation of visitors, residents, and student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domestic/foreign college dormitory community space was surveyed,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and the second dormitory of Hongik University in Seoul was selected as the subject to suggest the space plan as follows.
      First, the space that the wide generation of the region could sympathize and that was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was suggested by reflecting the place characteristic and the historically of the target region.
      Second, the space was comprised of the public space, community space, commercial space, and exhibition/experience space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 space analysis contents. The laundry café, community center, and library were arranged on the 1st floor by the composite community space program in accordance with each space composition, and the LP library, little theater, and exhibition center were arranged as the space program focusing on the culture and experience on the 1st basement.
      Third, the characteristic of the college dormitory community space was divided into the openness, publicity, complexity, and variability based on the analysis contents in chapter 2, and the college dormitory community space design plan was suggested a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By applying the openness, open spaces such as the graffiti that represented the free culture of Hongdae region on both walls and in the big open stairs at the main entrance was planned to indu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ty and local residents and the visitors’ concern and participation.
      By applying the publicity, the space such as the food court, LP library, and little theater and the rest space such as the indoor garden where the natural meeting and communication are realized were suggested to express the space that could attract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space and the joint bond.
      By applying the complexity, the laundry room, community center, children shelter, and seminar room in the café were planned as a space to exchange and communicate with people by accepting the space diversely, and the space for accepting the event, education, and experience program was suggested by planning the space such as the outdoor stage, little theater, and open library.
      By applying the variability, the variable and multi-purpose space was suggested for different forms of new attempts and use to be done depending on various demands of a lot of members of the community.

      To sum up, in order to establish itself as a college dormitory community space sharing the local culture,
      First, the school facility functions as a public facility of the community. However, today’s schools do not display this function properly and the small-sized public culture facilities are substantially inadequate except the large-sized facilities in the current community. Therefore, the public function of the community should be activated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should be maintained through the compositeness of this community’s public cultural facility and the school facility. Also, the chance of culture and education of the regional public cultural facility should be provided for local residents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Second, the location of the college dormitory needs to be examined newly in the aspect of the residence satisfaction of dormitory residents and in terms of the activation of the region around the college dormitory facility. Also, the college dormitory is appropriate to be used as a community place of the region because it is close geographically to local residents. Hereby the development space such as the special classroom and the culture/welfare facility space should be constituted and considered for the facility space to be shared.
      Third, the open space for using the educational facility or cultural facility was designed for the user-oriented program to be operated by facilitating the flexible change depending on the use. Therefore, some special spaces should be planned as the variable space and the indoor activity should be considered to be expanded outside.
      The role of the college dormitory facility as a connecting zone between the college and community is important. Hereby when it comes to the college dormitory facility for the local activation development, the college dormitory community space plan and the design expression features which emphasized the openness, publicity, complexity, and variability should be utilized for the space design plan, and various and aggressive follow-up studies based on this study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facility in the college dormitory for the connection and sharing with the commun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론 2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2
      • 1.2 연구의 방법 3
      • 1.3 연구 진행 흐름도 4
      • 제 2장 이론적 고찰 6
      • 제 1장 서론 2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2
      • 1.2 연구의 방법 3
      • 1.3 연구 진행 흐름도 4
      • 제 2장 이론적 고찰 6
      • 2.1 지역문화의 이해 6
      • 2.1.1 지역문화의 개념 6
      • 2.1.2 지역문화의 특성 7
      • 2.1.3 지역문화의 기능 10
      • 2.2 대학 기숙사 커뮤니티 공간의 이해 13
      • 2.2.1 대학 기숙사의 개념 13
      • 2.2.2 대학 기숙사의 기능 14
      • 2.2.3 커뮤니티 공간의 개념 및 역할 18
      • 2.2.4 대학 기숙사 커뮤니티 공간구성과 특성 23
      • 2.3 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한 대학 기숙사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필요성 28
      • 제 3장 홍대 지역문화의 이해와 활용 30
      • 3.1 홍대 지역의 이해 30
      • 3.1.1 홍대 지역의 변천 30
      • 3.1.2 홍대 지역의 특성 37
      • 3.2 홍대 지역자원 및 문화콘텐츠 42
      • 3.2.1 문화자원 42
      • 3.2.2 인적자원 42
      • 3.2.3 홍대지역의 문화콘텐츠 46
      • 3.3 홍대지역 장소성 형성 요소의 관한 선행연구 고찰 49
      • 3.4 홍대지역 장소성 형성 요소 50
      • 3.4.1 기능적 요소 50
      • 3.4.2 환경적 요소 50
      • 3.4.3 활동적 요소 51
      • 3.4.4 인적 요소 51
      • 제 4장 사례조사 및 분석 53
      • 4.1 사례조사 대상 및 방법선정 53
      • 4.2 국내사례분석 57
      • 4.2.1 홍익대학교 제2 기숙사 57
      • 4.2.2 한국산업기술대학교 TIP 기숙사 59
      • 4.2.3 동덕여자대학교 100주년 기념관 61
      • 4.3 국외사례분석 63
      • 4.3.1 University of Pennsylvania Dormitory 63
      • 4.3.2 University of Chicago Campus North Residential Commons 65
      • 4.3.3 iHouse Dormitory 67
      • 4.4 분석의 종합 69
      • 제 5장 공간계획 74
      • 5.1 계획의 개요 74
      • 5.2 대상지 선정 및 분석 75
      • 5.2.1 대상지 선정 77
      • 5.2.2 대상지 분석 78
      • 5.3 공간 계획 80
      • 5.3.1 디자인 컨셉 80
      • 5.3.2 디자인 프로세스 81
      • 5.3.3 공간 프로그래밍 및 동선 82
      • 5.3.4 평면 계획 84
      • 5.3.5 입면 계획 86
      • 5.4 투시도 88
      • 5.5 패 널 92
      • 제 6장 결론 94
      • 참 고 문 헌 96
      • ABSTRACT 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