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시대, 뉴스레터를 활용한 설명적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112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글쓰기 환경이 변화됨에 따라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글의 구조 및 표현의 필요성을 요구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시대 글쓰기 교육의 한...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글쓰기 환경이 변화됨에 따라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글의 구조 및 표현의 필요성을 요구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시대 글쓰기 교육의 한 방향으로 ‘뉴스레터’를 활용한 설명적 글쓰기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고,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면서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구체적인 교육 방안으로 자원기반학습 모형 중 Fox가 제안한 자기질문 모델(QUS4PER)을 토대로 ‘기획-제작–공유’의 단계로 재조직하여 진행하였다. 기획 단계에서는 대상 및 테마 선정-목적 및 주제 설정-정보 수집-정보 선정-정보 구성-동료 피드백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제작 단계에서는 정보를 표현한 후 점검하고, 공유 단계에서는 결과물을 공유하면서 댓글을 통해 소통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학습자들의 글과 설문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 방안은 첫째, 새롭고 다양한 정보를 접하면서 정보를 확장할 수 있다는 점, 둘째, 타인의 글과 댓글을 통해 자신의 글을 점검해 보면서 개선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 셋째, 타자와의 소통을 통해 자신감을 형성하고 글의 장르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began with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the changing writing environment in the digital age requires the need for structure and representation of writings suitable for the digital environment. To this end, I explored explanatory writing e...

      This study began with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the changing writing environment in the digital age requires the need for structure and representation of writings suitable for the digital environment. To this end, I explored explanatory writing education methods using “newsletters” as a direction for writing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by applying them to actual classes.
      As a specific educational method, based on the self-question model (QUS4PER) proposed by Fox among the resource-based learning models, it was reorganized into the stage of ‘planning-production-sharing’. In the planning stage, the target and theme selection-purpose and topic setting-information collection-information selection-information composition-colleague feedback was conducted, and in the production stage, information was expressed and checked, and in the sharing stage, the results were shared through comments.
      After analyzing learners" writings and survey results, the educational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found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at it was first possible to expand information while encountering new and diverse information, secondly to check one"s writings and comments, and thirdly to build confidence and understand the genre features of writ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2. 설명적 글쓰기로서의 뉴스레터
      • 3. 뉴스레터를 활용한 설명적 글쓰기 수업 모형
      • 4. 뉴스레터를 활용한 설명적 글쓰기 수업 사례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2. 설명적 글쓰기로서의 뉴스레터
      • 3. 뉴스레터를 활용한 설명적 글쓰기 수업 모형
      • 4. 뉴스레터를 활용한 설명적 글쓰기 수업 사례
      • 5. 학습자 반응 및 인식
      • 6. 나오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은영, "미디어, 이메일 뉴스레터로 독자에게 다가가다"

      2 정희모, "글쓰기 교육과 협력학습" 삼인 2006

      3 박유연, "과정-장르 통합을 통한 설명적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Rakes. G. C., "Using the Internet as a Tool in a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36 (36): 1996

      5 Hicks, T., "The Digital Writing Workshop" Heinemann 2009

      6 Laverty, C., "Resource Based Learning"

      7 Brown, S, "Reasons for Employing RBL"

      8 Walsh, M., "Reading Visual and Multimodal Texts: How is ‘Reading’ Different?" 29 (29): 2005

      9 Fox, "QUS4PER: Self Questioning Model for Resource-Based learning"

      10 Jewitt, C., "Multimodality, "Reading", and"Writing"for the 21st Century" 26 (26): 2005

      1 서은영, "미디어, 이메일 뉴스레터로 독자에게 다가가다"

      2 정희모, "글쓰기 교육과 협력학습" 삼인 2006

      3 박유연, "과정-장르 통합을 통한 설명적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Rakes. G. C., "Using the Internet as a Tool in a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36 (36): 1996

      5 Hicks, T., "The Digital Writing Workshop" Heinemann 2009

      6 Laverty, C., "Resource Based Learning"

      7 Brown, S, "Reasons for Employing RBL"

      8 Walsh, M., "Reading Visual and Multimodal Texts: How is ‘Reading’ Different?" 29 (29): 2005

      9 Fox, "QUS4PER: Self Questioning Model for Resource-Based learning"

      10 Jewitt, C., "Multimodality, "Reading", and"Writing"for the 21st Century" 26 (26): 2005

      11 Kress, G., "Literacy in the New Media Age" Routledge 2003

      12 Races, P., "A Fresh Look at Independent Learning, University of Durham Certificate in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09-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양교육연구소 ->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of General Education -> Da Vinci Mirae Institute of General Education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