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환율변동성에 따른 외국인직접투자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Exchange Rate Volatility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외국인직접투자에 대한 달러환율 및 엔화환율 변동성의 영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특히 외국인직접투자에 대해 환율의 영향을 산업별, 유입 형태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

      본 연구는 외국인직접투자에 대한 달러환율 및 엔화환율 변동성의 영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특히 외국인직접투자에 대해 환율의 영향을 산업별, 유입 형태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총합에서는 Greenfield형과 M&A형 모두 환율변동성에 음의 효과를 가져 왔다. 즉 환율변동성이 높아지면 두 유형의 외국인직접투자가 감소하는 패턴을 보인다. 세부 산업별에서는 외국인직접투자 중 상대적 비중이 큰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경우에도 Greenfield형과 M&A형 모두 환율변동성이 증가할 경우 두 형태의 외국인 직접투자가 감소함을 보였다. 한편 Greenfield와 M&A 두 형태를 비교해 보면 M&A 형태의 외국인직접투자의 감소폭이 Greenfield 형태의 외국인직접투자 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M&A 형태의 외국인직접투자가 급격한 환율변동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dollar and yen exchange rate volatility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Korea. In particular, the effects of the exchange rate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were analyzed by industry and type of inflows. This anal...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dollar and yen exchange rate volatility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Korea. In particular, the effects of the exchange rate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were analyzed by industry and type of inflows. This analysis shows that both Greenfield type and M & A type have a negative effect on exchange rate volatility in the total sum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other words, as exchange rate volatility increases, both types of FDI decline. In the sub-industries, both type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decreased when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increased in both the Greenfield type and the M & A type; even i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which have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the other hand, the comparison between Greenfield and M & A shows that the decline of M & A type foreign direct investment is larger than that of Greenfield type foreign direct investment. This implies that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form of M & A is more sensitive to rapid exchange rate volat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경욱, "자본이동과 환율간의 관계 분석" 지암남덕우경제연구원 43 (43): 1-35, 2014

      2 서영경, "원/달러 환율변동성이 큰 배경과 시사점" 한국은행 2011

      3 하홍윤,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와 실질환율의 관계분석 : 패널자료분석" 3 (3): 149-172, 1998

      4 최봉호, "우리나라 외국인직접투자에 대한 환율변동성의 영향" 한국무역학회 31 (31): 79-99, 2006

      5 정재식, "외국인 자본유출입 특징과 국내금융시장의 파급효과" 지암남덕우경제연구원 41 (41): 41-74, 2012

      6 Elder, John, "nother perspective on the effects of inflation uncertainty" 36 : 911-928, 2004

      7 Pain, N., "Untying the Gordian knot: The Multiple Links between Exchange Rates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41 (41): 823-846, 2003

      8 Görg, H., "The Impact of Exchange Rate Volatility on US Direct Investment" 70 (70): 380-397, 2002

      9 Darby, J., "The Impact of Exchange Rate Uncertainty on the Level of Investment" 109 : 55-67, 1999

      10 Stokman, A. C., "Risk management in volatile financial markets" Springer US 115-132, 1996

      1 최경욱, "자본이동과 환율간의 관계 분석" 지암남덕우경제연구원 43 (43): 1-35, 2014

      2 서영경, "원/달러 환율변동성이 큰 배경과 시사점" 한국은행 2011

      3 하홍윤,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와 실질환율의 관계분석 : 패널자료분석" 3 (3): 149-172, 1998

      4 최봉호, "우리나라 외국인직접투자에 대한 환율변동성의 영향" 한국무역학회 31 (31): 79-99, 2006

      5 정재식, "외국인 자본유출입 특징과 국내금융시장의 파급효과" 지암남덕우경제연구원 41 (41): 41-74, 2012

      6 Elder, John, "nother perspective on the effects of inflation uncertainty" 36 : 911-928, 2004

      7 Pain, N., "Untying the Gordian knot: The Multiple Links between Exchange Rates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41 (41): 823-846, 2003

      8 Görg, H., "The Impact of Exchange Rate Volatility on US Direct Investment" 70 (70): 380-397, 2002

      9 Darby, J., "The Impact of Exchange Rate Uncertainty on the Level of Investment" 109 : 55-67, 1999

      10 Stokman, A. C., "Risk management in volatile financial markets" Springer US 115-132, 1996

      11 Cushman, David O., "Real Exchange Rate Risk, Expectations, and the Level of Direct Investment" 67 : 297-308, 1985

      12 De Ménil, G., "Real Capital Market Integration in the EU: How far has it Gone? What will the Effect of the Euro be?" 14 (14): 165-201, 1999

      13 Elder, John, "Oil price uncertainty" 42 : 1137-1159, 2010

      14 Caporale, Guglielmo Maria, "Macro news and stock returns in the Euro area: A VAR-GARCH-in-mean analysis" 45 : 180-188, 2016

      15 Dixit, A. K., "Investment under Uncertain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16 Bénassy-Quéré, Agnès, "Exchange-rate Strategies in the Competition for Attract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15 : 178-198, 2001

      17 Grier, K.B., "Exchange rate shocks and trade: A multivariate GARCH-M approach" 37 : 282-305, 2013

      18 Choi, K., "Capital Inflows and Exchange Rate Volatility in Kore" Bank of Korea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6-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ete for Social Science Studies -> Research Institute of Social Science KCI등재후보
      2010-06-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ocial Science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8 1.05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