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상이한 성과급 비율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총 임금에 대한 세 가지 성과급 비율(0%, 30%, 50%)의 효과가 비교되었다. 적용된 실험 설계는 집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5027
-
200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상이한 성과급 비율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총 임금에 대한 세 가지 성과급 비율(0%, 30%, 50%)의 효과가 비교되었다. 적용된 실험 설계는 집단...
본 연구는 상이한 성과급 비율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총 임금에 대한 세 가지 성과급 비율(0%, 30%, 50%)의 효과가 비교되었다. 적용된 실험 설계는 집단내 교차처치설계(alternating treatment design)로서, 세 종류의 성과급 비율이 각각 7회기씩 각 실험 참여자들에게 무작위 순서로 처치되었고, 전체 실험은 따라서 총 21회기로 구성되었다. 4명의 대학생이 실험 참여자로 참가하였으며, 소프트웨어로 작동된 컴퓨터 모의작업과제를 수행하였다. 종속변인은 올바르게 수행된 과제의 수와 비 직무행동에 개입한 시간의 양이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성과급 비율이 30%와 50%인 조건에서의 직무수행 수준은 0%와 조건에서의 직무수행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30%와 50% 조건에서의 직무수행 수준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급 비율이 0% 조건에서의 비 직무행동에 개입한 시간의 양이 30%와 50% 조건에서의 시간의 양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30%와 50% 조건에서의 시간의 양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fferent percentages of incentive pay on the performance of a simulated work task when the opportunities for off-task behaviors were available.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percentage of incentive pay. Three 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fferent percentages of incentive pay on the performance of a simulated work task when the opportunities for off-task behaviors were available.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percentage of incentive pay. Three percentages of incentive pay were examined: 0%, 30%, and 50%. An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was adopted. The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randomly alternated for each participant, each experimental condition being administered seven times for the whole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4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performed a simulated work task on the computer that consisted of computer-related activities such as dragging, clicking, and typing.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number of correctly completed work tasks and the amount of idle time (time spent for engaging in off-task behavio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formance under the 30% and 50% incentive condi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under the 0% condition. However, performance under the 30% and 50% conditions did not differ ststistically. Also, the amount of idle time under the 0% condition was higher than that under the 30% and 50% conditions, while the amount of idle time under the 30% and 50% conditions did not differ ststistically.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idle time(r=-.983). The results suggest that more realistic simulation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percentages of incentive on work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