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 캠퍼스 확장에 의한 캠퍼스 타운 연계 연구 및 설계 : 국민대학교와 정릉3동 일대를 중심으로 = A Study and Design of Campus Town by University Campus Expansion : Focusing on Kookmin University and Jeongneung 3d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191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성북구 정릉동에 위치한 국민대학교는 기반지역인 정릉 3동 배밭골과의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대학 캠퍼스와 지역의 상생관계 구축은 지역적 관점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는데, 이 관계는 보통 대학로를 통해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표적으로는 혜화동의 대학로나, 홍익대학교, 건국대학교 등의 대학 명칭으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대학로 등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대학교 역시 지역과의 관계 강화 및 체험·문화·상업 등의 커뮤니티 확장을 위한 캠퍼스 타운 및 대학로의 형성으로 볼 수 있다.
      먼저 캠퍼스와 커뮤니티의 설계 기본사항에 대해 파악하기 위하여 캠퍼스마스터플랜과 커뮤니티의 이론적 고찰을 선행한 후 대상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대상지 분석에서는 거시적 관점의 도시 분석과 대상지의 현황에 대한 미시적 관점의 분석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분석 항목은 교통과 인프라 입지에 대한 거시분석을 선행한 후 대상지 인근의 건축물, 경사, 자연요소, 휴게 및 보행 환경, 지역 인프라 분석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대상지의 물리적 특성은 북한산과 북악산이 형성하는 구릉지형에 위치하고 있어 경사가 심한 조건을 가지고 있고, 이에 따라 조건이 불리하다. 이와 동시에 오래된 건축물과 낡은 도시 외부 환경, 침체된 상권 등 전제적으로 도시침체가 유지되며, 대학 캠퍼스와의 상생관계 구축이 어려운 것으로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수 있다.
      분석 내용을 토대로 설계 전략을 7가지의 항목으로 수립하였고 첫 번째로 지역주민을 위한 캠퍼스 개방공간, 두 번째로 보행구간 사이 낙후된 휴게 공간 정비 및 확보, 세 번째 유연한 대지경사 극복, 네 번째 대학 강의, 동아리, 연구실의 분배, 다섯 번째 지하연결을 통한 확장성 및 동선 유연성 확보, 여섯 번째 대학 인근 문화 및 상권형성, 일곱 번째 국민대의 정문으로서의 상징성 강화의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설계는 국민대학교에 부재한 중앙광장 형성을 중심으로 지하로는 캠퍼스 연결, 자상으로는 매스의 확장성을 예측하여 계획되었으며, 기존 캠퍼스의 마감계획과 경사에 순응하는 매스계획을 통해 기존 캠퍼스와의 통일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정릉 3동 일대 부지는 대학 캠퍼스 타운과 국민대학교의 대학로의 시작점으로서 계획되었으며, 여기에는 상업 및 문화, 운동시설과 창업지원 등의 학생지원시설이 일부 배치되었다. 공통적으로 지하공간은 주차장이 주요 프로그램으로 설정되었고, 기존에 부족한 교내 주차공간을 확보함에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는 정릉권역 종합발전계획 수립 용역 보고서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실제 캠퍼스를 이용하는 교직원 및 학생들의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이 존재함에 따라, 추가적 데이터 보완 및 확보가 요구된다.
      번역하기

      성북구 정릉동에 위치한 국민대학교는 기반지역인 정릉 3동 배밭골과의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대학 캠퍼스와 지역의 상생관계 구축은 지역적 관점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는...

      성북구 정릉동에 위치한 국민대학교는 기반지역인 정릉 3동 배밭골과의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대학 캠퍼스와 지역의 상생관계 구축은 지역적 관점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는데, 이 관계는 보통 대학로를 통해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표적으로는 혜화동의 대학로나, 홍익대학교, 건국대학교 등의 대학 명칭으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대학로 등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대학교 역시 지역과의 관계 강화 및 체험·문화·상업 등의 커뮤니티 확장을 위한 캠퍼스 타운 및 대학로의 형성으로 볼 수 있다.
      먼저 캠퍼스와 커뮤니티의 설계 기본사항에 대해 파악하기 위하여 캠퍼스마스터플랜과 커뮤니티의 이론적 고찰을 선행한 후 대상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대상지 분석에서는 거시적 관점의 도시 분석과 대상지의 현황에 대한 미시적 관점의 분석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분석 항목은 교통과 인프라 입지에 대한 거시분석을 선행한 후 대상지 인근의 건축물, 경사, 자연요소, 휴게 및 보행 환경, 지역 인프라 분석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대상지의 물리적 특성은 북한산과 북악산이 형성하는 구릉지형에 위치하고 있어 경사가 심한 조건을 가지고 있고, 이에 따라 조건이 불리하다. 이와 동시에 오래된 건축물과 낡은 도시 외부 환경, 침체된 상권 등 전제적으로 도시침체가 유지되며, 대학 캠퍼스와의 상생관계 구축이 어려운 것으로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수 있다.
      분석 내용을 토대로 설계 전략을 7가지의 항목으로 수립하였고 첫 번째로 지역주민을 위한 캠퍼스 개방공간, 두 번째로 보행구간 사이 낙후된 휴게 공간 정비 및 확보, 세 번째 유연한 대지경사 극복, 네 번째 대학 강의, 동아리, 연구실의 분배, 다섯 번째 지하연결을 통한 확장성 및 동선 유연성 확보, 여섯 번째 대학 인근 문화 및 상권형성, 일곱 번째 국민대의 정문으로서의 상징성 강화의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설계는 국민대학교에 부재한 중앙광장 형성을 중심으로 지하로는 캠퍼스 연결, 자상으로는 매스의 확장성을 예측하여 계획되었으며, 기존 캠퍼스의 마감계획과 경사에 순응하는 매스계획을 통해 기존 캠퍼스와의 통일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정릉 3동 일대 부지는 대학 캠퍼스 타운과 국민대학교의 대학로의 시작점으로서 계획되었으며, 여기에는 상업 및 문화, 운동시설과 창업지원 등의 학생지원시설이 일부 배치되었다. 공통적으로 지하공간은 주차장이 주요 프로그램으로 설정되었고, 기존에 부족한 교내 주차공간을 확보함에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는 정릉권역 종합발전계획 수립 용역 보고서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실제 캠퍼스를 이용하는 교직원 및 학생들의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이 존재함에 따라, 추가적 데이터 보완 및 확보가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okmin University, located in Jeongneung-dong, Seongbuk-gu, has not yet established a relationship with Baebatgol in Jeongneung 3-dong, the neighboring area. From a regional perspective, it is important to foster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campus and the surrounding region. This relationship is often exemplified by the presence of a vibrant university street, such as Daehak-ro in Hyehwa-dong, or commonly known university streets like those near Hongik University and Konkuk Univers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a campus town and university road for Kookmin University, enhancing its ties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fostering opportunities for shared experiences, culture, and commerce.
      To begin, the study commenced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campus master planning and community development. This was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 target site. The site analysis was conducted from both a macro and micro perspective, encompassing an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the target site's buildings, slopes, natural elements, nearby recreational and pedestrian environments, and local infrastructure.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ite, situated amidst the hilly terrain formed by Bukhansan Mountain and Bukaksan Mountain, pose challenges due to severe slope conditions. Furthermore, the analysis suggests that the urban environment surrounding the target site exhibits signs of decline, including aging buildings, neglected external surroundings, and stagnant commercial districts. Consequently, establishing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with the university campus becomes challenging.
      Based on the analysis, a design strategy was formulated with seven key considerations.
      First, Creation of campus open spaces for local residents.
      Second, Enhancement of underdeveloped rest areas along pedestrian routes.
      Third, Adaptable land slope management.
      Fourth, Incorporation of university lectures, clubs, and laboratories.
      Fifth, Prediction of underground campus connections and above-ground expansion to address the absence of a central square at Kookmin University.
      Sixth, Integration of the new site in Jeongneung 3-dong 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university campus town and Kookmin University's version of Daehak-ro.
      Seventh, Provision of student support facilities, such as commercial and cultural establishments, sports facilities, and start-up support. Additionally, addressing the insufficient parking spaces at the university has been prioritized, with underground parking lots designated as a primary feature of the plan.
      This study utilized the Jeongneung Regional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Establishment Service Report as its foundational data.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further data collection and supplementation are necessary, as there is a limitation in terms of available data from faculty and students who actively use the campus.
      번역하기

      Kookmin University, located in Jeongneung-dong, Seongbuk-gu, has not yet established a relationship with Baebatgol in Jeongneung 3-dong, the neighboring area. From a regional perspective, it is important to foster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be...

      Kookmin University, located in Jeongneung-dong, Seongbuk-gu, has not yet established a relationship with Baebatgol in Jeongneung 3-dong, the neighboring area. From a regional perspective, it is important to foster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campus and the surrounding region. This relationship is often exemplified by the presence of a vibrant university street, such as Daehak-ro in Hyehwa-dong, or commonly known university streets like those near Hongik University and Konkuk Univers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a campus town and university road for Kookmin University, enhancing its ties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fostering opportunities for shared experiences, culture, and commerce.
      To begin, the study commenced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campus master planning and community development. This was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 target site. The site analysis was conducted from both a macro and micro perspective, encompassing an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the target site's buildings, slopes, natural elements, nearby recreational and pedestrian environments, and local infrastructure.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ite, situated amidst the hilly terrain formed by Bukhansan Mountain and Bukaksan Mountain, pose challenges due to severe slope conditions. Furthermore, the analysis suggests that the urban environment surrounding the target site exhibits signs of decline, including aging buildings, neglected external surroundings, and stagnant commercial districts. Consequently, establishing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with the university campus becomes challenging.
      Based on the analysis, a design strategy was formulated with seven key considerations.
      First, Creation of campus open spaces for local residents.
      Second, Enhancement of underdeveloped rest areas along pedestrian routes.
      Third, Adaptable land slope management.
      Fourth, Incorporation of university lectures, clubs, and laboratories.
      Fifth, Prediction of underground campus connections and above-ground expansion to address the absence of a central square at Kookmin University.
      Sixth, Integration of the new site in Jeongneung 3-dong 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university campus town and Kookmin University's version of Daehak-ro.
      Seventh, Provision of student support facilities, such as commercial and cultural establishments, sports facilities, and start-up support. Additionally, addressing the insufficient parking spaces at the university has been prioritized, with underground parking lots designated as a primary feature of the plan.
      This study utilized the Jeongneung Regional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Establishment Service Report as its foundational data.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further data collection and supplementation are necessary, as there is a limitation in terms of available data from faculty and students who actively use the campu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 1.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1.2.1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 1.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1.2.1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1.2.2 연구의 흐름도 6
      • 제 2 장 캠퍼스 개발 방향성과 커뮤니티 공간의 이론적 고찰 7
      • 2.1 마스터플랜의 이론적 고찰 8
      • 2.1.1 마스터플랜의 정의 8
      • 2.1.1.1 마스터플랜의 사전적 정의 8
      • 2.1.1.2 선행연구의 마스터플랜 정의 8
      • 2.2 마스터플랜 분석요소 10
      • 2.2.1 마스터플랜 대상지 분석 10
      • 2.2.1.1 지형 (Topography) 10
      • 2.2.1.2 경사도 (Slope Analysis) 11
      • 2.2.1.3 경관 및 조망요소 11
      • 2.2.1.4 축 (Axis) 11
      • 2.2.2 공간 프로그램 및 토지이용계획 12
      • 2.2.3 동선 및 위계 13
      • 2.2.4 조경 등 자연요소 14
      • 2.2.5 마스터플랜 개발 프로세스의 연계성 15
      • 2.3 캠퍼스 마스터플랜의 이론적 고찰 16
      • 2.3.1 대학 캠퍼스 형성 배경 16
      • 2.3.2 캠퍼스 마스터플랜의 정의 17
      • 2.3.3 캠퍼스 마스터플랜의 계획요소 18
      • 2.4 캠퍼스 타운의 이론적 고찰 19
      • 2.4.1 캠퍼스 타운의 정의 및 목적 19
      • 2.4.2 캠퍼스 타운 사업의 배경 및 방향성 20
      • 2.4.2.1 캠퍼스 타운 배경 및 방향성 20
      • 2.4.2.2 캠퍼스 타운 현황 20
      • 2.5 캠퍼스 타운 사업 사례 분석 22
      • 2.6 캠퍼스 타운 계획을 통한 지역과 캠퍼스의 연계 필요성 제안 26
      • 2.6.1 지역과 대학 캠퍼스 커뮤니티의 정의 및 고찰 26
      • 2.6.1.1 커뮤니티의 어원 26
      • 2.6.1.2 커뮤니티 공간의 정의 26
      • 2.6.1.3 지역 커뮤니티 공간의 정의 27
      • 2.6.1.4 대학 커뮤니티 공간의 정의 28
      • 2.7 소결 30
      • 제 3 장 대상지 분석 및 방향성 제안 32
      • 3.1 대상지 선정 33
      • 3.1.1 대상지 개요 33
      • 3.1.1.1 정릉권역 종합발전계획 개요 33
      • 3.1.1.2 정릉권역 마스터플랜 개요 34
      • 3.1.1.3 대상지 선정 및 개요 38
      • 3.1.2 관련 법규 검토 41
      • 3.2 도시 분석 44
      • 3.2.1 도시 입지분석 44
      • 3.2.2 도시 교통체계 분석 45
      • 3.2.3 도시 인구 분포 및 현황 분석 47
      • 3.3 대상지 분석 50
      • 3.3.1 건축물 분석 50
      • 3.3.2 경사 분석 53
      • 3.3.3 녹지 및 수변 공간 등 자연요소 인접 56
      • 3.3.4 휴게 공간 분석 58
      • 3.3.5 보행 및 차량동선 59
      • 3.3.6 지역 인프라 현황 60
      • 3.4 소결 62
      • 제 4 장 건축계획 63
      • 4.1 설계 전략 제안 64
      • 4.1.1 전략1) 지역주민을 위한 캠퍼스 개방공간 64
      • 4.1.2 전략2) 보행구간 사이 낙후된 휴게공간 정비 및 확보 65
      • 4.1.3 전략3) 유연한 대지경사 극복 66
      • 4.1.4 전략4) 대학 강의·동아리실 및 연구실 분배 67
      • 4.1.5 전략5) 지하 연결을 통한 확장성 및 동선 유연성 68
      • 4.1.6 전략6) 대학인근 문화 및 상권형성 71
      • 4.1.7 전략7) 국민대의 정문으로서의 상징성 강화 73
      • 4.2 분석 및 설계전략 소결 74
      • 4.3 디자인 키워드 및 개념 해석 75
      • 4.3.1 디자인 키워드 및 컨셉 75
      • 4.3.1.1 디자인 키워드 75
      • 4.3.1.2 디자인 컨셉 76
      • 4.3.2 디자인 개념 프로세스 78
      • 4.3.3 건축 매스 프로세스 79
      • 4.4 기본계획 80
      • 4.4.1 건축개요 80
      • 4.4.2 배치계획 81
      • 4.4.3 평면계획 82
      • 4.4.4 단면계획 97
      • 4.4.5 입면계획 102
      • 4.4.6 공간계획 104
      • 4.4.7 동선계획 107
      • 4.5 통합설계 109
      • 4.5.1 구조설계 109
      • 4.5.2 외피설계 112
      • 4.5.3 설비계획 113
      • 4.5.4 피난방재계획 115
      • 4.5.5 무장애 설계 117
      • 4.5.6 통합설계 121
      • 제 5 장 결론 122
      • 참고 문헌 125
      • Abstract 127
      • 부록 12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