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반 논문 : 해례본 『훈민정음』에 대한 또 다른 시각: 정보 수용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Hunminjeonge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032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해례본 『훈민정음』(解例本訓民正音)은 새 문자 체계 훈민정음의 창제 배경, 창제 원리, 운용법 등을 수록한 일종의 정보처(情報處)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정보 수용자의 관점을 고...

      해례본 『훈민정음』(解例本訓民正音)은 새 문자 체계 훈민정음의 창제 배경, 창제 원리, 운용법 등을 수록한 일종의 정보처(情報處)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정보 수용자의 관점을 고려할 때 이 책이 담고 있는 정보의 내용뿐 아니라 구성 방식과 내용 전개 방식은 그 자체로서 탐구와 고찰의 대상이 되기에 충분하며 실제로 이 책은 정보 전달과 수용을 배려한 구성 방식과 내용 전개 양상을 보인다. 이 책에서는 세종의 <예의> 내용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제자해>, <합자해> 등에 ``반복``, ``대칭``, ``확대``, ``심화`` 등의 구조적 양상을 띠면서 일종의 나선형적 구조로 나타남으로써, 정보 수용자의 새 정보에 대한 효율적 수용을 유리하게 하는 구성 방식을 살펴볼 수 있다. 아울러 이 책에서는 상향적 접근의 기술 방식, 하향적 접근의 기술 방식, 상호작용적 접근의 기술 방식, 자모 위치 기술, 반복되는 한자들, 訣의 제시 등으로 정보 수용자를 배려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내용 전개 방식을 살펴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nminjeongeum(解例本訓民正音) was published in 1446 as a manual for the new writing system, Hunminjeongeum(訓民正音), which was invented by King Sejong in 1443. This book has not been studied much by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ers m...

      Hunminjeongeum(解例本訓民正音) was published in 1446 as a manual for the new writing system, Hunminjeongeum(訓民正音), which was invented by King Sejong in 1443. This book has not been studied much by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ers mainly because it was written in old Chinese. However, it includes meaningful contents for information receivers. Its structure as a alphabet manual is noteworthy both on the macro and micro level. On the macro level, it has a spiral structure that is useful for information receivers to acquire the new writing system Hunminjeongeum(訓民正音). On the micro level, it shows various models including bottom-up, top-down, and schematic models for increasing learning efficiency of new alphabets. The poems ``gyeol``(訣) and the history of Korean written system in the book are a kind of receiver centred devices for easy lear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지연, "훈민정음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 25 (25): 73-74, 2000

      2 문효근, "훈민정음의 ‘종성부용초성’의 이해: ‘종성해’와 관련에서" 한글학회 193 : 139-162, 1986

      3 이현희, "훈민정음,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615-635, 1990

      4 이기문,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문제" 1-15, 1974

      5 이성연, "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 185 : 46-72, 1984

      6 강창석, "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 , In 광복50주년 국학, 성과와 과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91-294, 1995

      7 박창원,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2005

      8 안병희, "한글의 창제와 보급,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0

      9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1996

      10 박종국,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76

      1 신지연, "훈민정음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 25 (25): 73-74, 2000

      2 문효근, "훈민정음의 ‘종성부용초성’의 이해: ‘종성해’와 관련에서" 한글학회 193 : 139-162, 1986

      3 이현희, "훈민정음,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615-635, 1990

      4 이기문,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문제" 1-15, 1974

      5 이성연, "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 185 : 46-72, 1984

      6 강창석, "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 , In 광복50주년 국학, 성과와 과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91-294, 1995

      7 박창원,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2005

      8 안병희, "한글의 창제와 보급,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0

      9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1996

      10 박종국,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76

      11 노명완․, "언어와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172-247, 1990

      12 강신항, "수정증보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13 김슬옹,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2010

      14 김주원, "세계 기록유산 훈민정음4: 해례본 『훈민정음』" (302) : 2-8, 2005

      15 이기문,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25-26, 1963

      16 안병희, "便於日用易" 1996

      17 Rumelhart, D.E, "Towards an Interactive Model of Reading, Attention and Performance 4" Erlbaum 1977

      18 Bruner, J, "Towards a Theory of Instruc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65

      19 Goodman K.S, "The Psycholinguistic Nature of Reading, The Psycholinguistic Nature of Reading Process"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968

      20 Bruner, J, "The Process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60

      21 Gough, P.B, "One Second of Reading, In Language by Ear and by Eye" MIT Press 197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7-0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Chosun universi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978 0.4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