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본주의모델과 불안정노동: 생애일자리 관점에서 본 미국, 독일, 한국의 비교 = Market Economies and Precarious Work: Comparative Perspective on Work Trajectories in USA, Germany and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42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본주의 체제 유형에 따른 노동시장궤적유형을 종단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 불안정 노동자의 규모 및 특성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독일, 미국, 한국의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30-35세 이상 샘플의 18년 간 노동시장경험 궤적을 추적하였다. 이를 위해 고용지위와 숙련도, 사회보장의 여러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세 국가에서 전문직⋅전일제형, 숙련노동안정형, 비경제활동형의 세 가지 유형이 공통적으로 발견되었다. 반면, 국가별로 상이한 생애 노동시장경험 궤적의 특성도 발견되어, 불안정노동자의 경험과 특성도 자본주의 모델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불안정노동자의 규모는 국가주도 시장경제모델인 한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다. 한국의 경우 불안정노동자 집단은 사회보장에서 소외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미국 불안정노동자집단의 경우 고용지위 혹은 노동시장에서의 취약성이 곧 사회보장으로 연결되지 않았다. 또한, 자본주의 체제 유형에 따라 노동시장 분절성과 성별간의 관계가 상이하게 나타난다. 독일과 한국은 노동시장 분절성이 성별과 긴밀하게 연결되어있으나 미국의 경우 여성이 독일과 한국에 비해 저숙련불안정노동형과 노동시장이탈형에서 여성의 비율이 높지 않고, 반대로 안정적 노동궤적에 많이 분포되어 있어 차별화된다. 본 연구는 노동시장 불안정성을 근속연수, 일자리의 이동으로 이해하기보다 생애 전반에 걸친 노동궤적으로 본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구별된다. 한국 사회에 적합한 사회보장을 탐색하는 데 일조하여 한국 노동시장과 복지국가에 정책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자본주의 체제 유형에 따른 노동시장궤적유형을 종단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 불안정 노동자의 규모 및 특성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독일, 미국, 한국의 패널데이터...

      본 연구는 자본주의 체제 유형에 따른 노동시장궤적유형을 종단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 불안정 노동자의 규모 및 특성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독일, 미국, 한국의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30-35세 이상 샘플의 18년 간 노동시장경험 궤적을 추적하였다. 이를 위해 고용지위와 숙련도, 사회보장의 여러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세 국가에서 전문직⋅전일제형, 숙련노동안정형, 비경제활동형의 세 가지 유형이 공통적으로 발견되었다. 반면, 국가별로 상이한 생애 노동시장경험 궤적의 특성도 발견되어, 불안정노동자의 경험과 특성도 자본주의 모델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불안정노동자의 규모는 국가주도 시장경제모델인 한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다. 한국의 경우 불안정노동자 집단은 사회보장에서 소외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미국 불안정노동자집단의 경우 고용지위 혹은 노동시장에서의 취약성이 곧 사회보장으로 연결되지 않았다. 또한, 자본주의 체제 유형에 따라 노동시장 분절성과 성별간의 관계가 상이하게 나타난다. 독일과 한국은 노동시장 분절성이 성별과 긴밀하게 연결되어있으나 미국의 경우 여성이 독일과 한국에 비해 저숙련불안정노동형과 노동시장이탈형에서 여성의 비율이 높지 않고, 반대로 안정적 노동궤적에 많이 분포되어 있어 차별화된다. 본 연구는 노동시장 불안정성을 근속연수, 일자리의 이동으로 이해하기보다 생애 전반에 걸친 노동궤적으로 본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구별된다. 한국 사회에 적합한 사회보장을 탐색하는 데 일조하여 한국 노동시장과 복지국가에 정책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혁용, "한국의 노동시장 이중구조화와 내부자-외부자 정치경제학" 한국정당학회 18 (18): 103-136, 2019

      2 조성재, "한국경제와 노동체제의 변화"

      3 이승윤 ; 백승호 ; 김미경 ; 김윤영, "한국 청년노동시장의 불안정성 분석"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54) : 487-521, 2017

      4 이승윤 ; 백승호 ; 김윤영, "한국 이중노동시장과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이중화: 공적연금개혁안 시뮬레이션 분석"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63) : 193-232, 2019

      5 김원섭 ; 유진숙, "한국 복지국가의 성과와 한계 : 복지이원주의의 정치" 노동문제연구소 37 : 83-123, 2018

      6 고혜진, "한국 노동시장의 다중 분절" 한국사회복지연구회 50 (50): 169-200, 2019

      7 김수완 ; 안상훈, "한국 노동시장과 사회적 보호의 내부자-외부자 균열: 공적연금지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9 (29): 83-103, 2013

      8 조미라, "한국 기혼부부의 가구노동시간 유형화 연구- 남녀의 시간일지를 결합한 배열분석을 이용하여 -" 한국사회복지학회 70 (70): 7-32, 2018

      9 윤상우, "포스트 발전국가로의 전환: 한국·일본·대만의 경험" 아시아연구소 9 (9): 159-189, 2020

      10 이호연 ; 양재진, "퍼지셋 분석을 통해 본 한국 노동시장의 이중구조와 불안정 노동자" 한국정책학회 26 (26): 65-104, 2017

      1 권혁용, "한국의 노동시장 이중구조화와 내부자-외부자 정치경제학" 한국정당학회 18 (18): 103-136, 2019

      2 조성재, "한국경제와 노동체제의 변화"

      3 이승윤 ; 백승호 ; 김미경 ; 김윤영, "한국 청년노동시장의 불안정성 분석"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54) : 487-521, 2017

      4 이승윤 ; 백승호 ; 김윤영, "한국 이중노동시장과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이중화: 공적연금개혁안 시뮬레이션 분석"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63) : 193-232, 2019

      5 김원섭 ; 유진숙, "한국 복지국가의 성과와 한계 : 복지이원주의의 정치" 노동문제연구소 37 : 83-123, 2018

      6 고혜진, "한국 노동시장의 다중 분절" 한국사회복지연구회 50 (50): 169-200, 2019

      7 김수완 ; 안상훈, "한국 노동시장과 사회적 보호의 내부자-외부자 균열: 공적연금지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9 (29): 83-103, 2013

      8 조미라, "한국 기혼부부의 가구노동시간 유형화 연구- 남녀의 시간일지를 결합한 배열분석을 이용하여 -" 한국사회복지학회 70 (70): 7-32, 2018

      9 윤상우, "포스트 발전국가로의 전환: 한국·일본·대만의 경험" 아시아연구소 9 (9): 159-189, 2020

      10 이호연 ; 양재진, "퍼지셋 분석을 통해 본 한국 노동시장의 이중구조와 불안정 노동자" 한국정책학회 26 (26): 65-104, 2017

      11 전병유, "우리나라 노동시장 분절화의 구조와 시사점" 한국노동연구원 (10) : 21-35, 2018

      12 백승호, "서비스경제와 한국사회의 계급, 그리고 불안정 노동 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21 (21): 57-90, 2014

      13 김연명, "비정규직의 사회보험 사각지대 규모와 실태의 재검토"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7 (37): 155-179, 2010

      14 서정희 ; 박경하, "비정규 근로자와 자영업자의 불안정 노동: 불안정 노동 지표 구성과 고용형태별 추이" 한국사회정책학회 22 (22): 7-42, 2015

      15 임현진, "비교자본주의 시각에서 본 아시아의 발전국가: 한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아시아연구소 9 (9): 191-231, 2020

      16 김상철, "미니잡의 사회보험 및 노동법 적용" 한국노동연구원 (5) : 25-40, 2014

      17 김영미 ; 한준, "내부노동시장의 해체인가 축소인가 기업규모별 임금격차 분해를 통해 본 한국노동시장의 구조 변동, 1982~2004." 한국사회학회 42 (42): 111-145, 2008

      18 이성균 ; 조돈문 ; 신광영, "계급이동과 일자리이동의 비교사회연구: 자본주의 시장경제모델의 관점에서" 한국산업노동학회 11 (11): 1-32, 2005

      19 김난주,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과 재취업 이후 고용유지 분석"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6 (26): 1-27, 2016

      20 이철승, "결합노동시장지위와 임금불평등의 확대(2004∼2015년)" 비판사회학회 (115) : 103-144, 2017

      21 Estevez-Abe, M., "Varieties of Capit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145-183, 2001

      22 Hall, P., "Varieties of Capit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1-68, 2001

      23 Bonoli, G., "The politics of the new social policies : providing coverage against new social risks in mature welfare states" 33 (33): 431-449, 2005

      24 Aisenbrey, S., "The interplay of work and family trajectories over the life course :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in comparison" 122 (122): 1448-1484, 2017

      25 Häusermann, S., "The Age of Dua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26 Rueda, "Social democracy and active labour-market policies : Insiders, outsiders and the politics of employment promotion" 36 (36): 385-406, 2006

      27 "SOEP-Core V36EU Dataset Information"

      28 German Socio-Economic Panel(SOEP), "Produced and distributed by the German Institute for Economic Research (Deutsches Institut für Wirtschaftsforschung (DIW))"

      29 Kim, Y., "Precarious elderly workers in post-industrial south Korea" 48 (48): 465-484, 2018

      30 Iversen, T., "Partisan politics, the welfare state, and three worlds of human capital formation" 41 (41): 600-637, 2008

      31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public use dataset. Produced and distributed by the Survey Research Center,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MI"

      32 Taylor-Gooby, P., "New Risks and Social Chang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33 Olsthoorn, M, "Measuring precarious employment : A proposal for two indicators of precarious employment based on set-theory and tested with Dutch labor market-data" 119 : 421-441, 2014

      34 Eisenberg-Guyot, "Life-course trajectories of employment quality and health in the U.S.:A multichannel sequence analysis" 264 : 1-12, 2020

      35 Korean Labor,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set" Produced and distribut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2022

      36 Palier, B., "Institutionalizing dualism : Complementarities and change in France and Germany" 38 (38): 119-148, 2010

      37 Rueda, "Insider-Outsider politics in industrialized democracies : The challenge to social democratic parties" 99 (99): 61-74, 2005

      38 Kang, J., "Handbook of Family Policy" Edward Elgar Publishing 2010

      39 Prosser, T., "Dualization or liberalization? Investigating precarious work in eight European countries" 30 (30): 949-965, 2016

      40 정이환, "1990년대 한국 임금구조의 변화 : 내부노동시장은 약화되고 있는가" 52 : 156-183,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