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용하, "해외의 독립운동사료(ⅩⅥ) 일본편 ④-最新唱歌集 附樂典" 국가보훈처 1996
2 노동은, "항일음악 330곡집" 민족문제연구소 2017
3 김수현, "한국근대음악기사자료집 ‒ 잡지편 1" 민속원 2008
4 "임시중등음악교본"
5 이경분, "잃어버린시간 1938~1944" 휴머니스트 2007
6 김덕균, "우리겨레의 항일가요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20 : 1998
7 장유정, "옛날 노래책에 빠지다 애국창가집, 『창가』(손봉호(孫鳳鎬), 1910년 발행)의 해제" 근대서지학회 7 : 2013
8 장사훈, "여명의 동서음악" 보진재 1974
9 "애국창가 (1916.5.13. 등사판)"
10 이명화, "애국가 형성에 관한 연구" 역사실학회 10·11 : 1999
1 신용하, "해외의 독립운동사료(ⅩⅥ) 일본편 ④-最新唱歌集 附樂典" 국가보훈처 1996
2 노동은, "항일음악 330곡집" 민족문제연구소 2017
3 김수현, "한국근대음악기사자료집 ‒ 잡지편 1" 민속원 2008
4 "임시중등음악교본"
5 이경분, "잃어버린시간 1938~1944" 휴머니스트 2007
6 김덕균, "우리겨레의 항일가요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20 : 1998
7 장유정, "옛날 노래책에 빠지다 애국창가집, 『창가』(손봉호(孫鳳鎬), 1910년 발행)의 해제" 근대서지학회 7 : 2013
8 장사훈, "여명의 동서음악" 보진재 1974
9 "애국창가 (1916.5.13. 등사판)"
10 이명화, "애국가 형성에 관한 연구" 역사실학회 10·11 : 1999
11 김도훈, "애국가 작사자 관련 논쟁에 대한 검토"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64) : 241-295, 2018
12 임진택, "애국가 논쟁의 기록과 진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0
13 노동은, "애국가 가사는 언제, 누가 만들었나" 역사비평사 1994
14 독립기념관, "신한청년" 독립기념관 2020
15 김보희, "북만주지역의 獨立運動歌謠 -1910년대 민족주의 독립운동가요를 중심으로-" 한국국악학회 43 : 15-49, 2008
16 김시덕, "북간도 명동학교 막새기와의 꽃문양에 나타난 민족의식"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48) : 101-147, 2014
17 부산근대역사관, "먼구름 한형석의 생애와 독립운동" 부산근대역사관 2006
18 "대한제국애국가, 000715"
19 "대한제국애국가"
20 "대한민국신문아카이브 사이트에서 검색한 1896~1946년까지 애국가 관련 이미지 자료"
21 "광복군가집"
22 "最新唱歌集 附樂典(광성학교, 1914.7.15. 등사판)"
23 반혜성, "1916년 하와이 호놀룰루 발행 『애국창가』 연구" 음악연구소 23 (23): 137-182, 2019
24 김보희, "1910년대 국외 ‘애국창가’에 대한 음악학적 연구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를 중심으로–" 동양학연구원 (78) : 175-202,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