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studies the interpretation of the rhythm of chŏngganbo 井間譜 of old manuscripts which remains as an unresolved research problem. In this paper, especially the interpretation of the rhythm through finding the standard beat is examined.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interpretation of the rhythm of chŏngganbo 井間譜 of old manuscripts which remains as an unresolved research problem. In this paper, especially the interpretation of the rhythm through finding the standard beat is examined. ...
This paper studies the interpretation of the rhythm of chŏngganbo 井間譜 of old manuscripts which remains as an unresolved research problem. In this paper, especially the interpretation of the rhythm through finding the standard beat is examined.
Being unspecified in the old chŏngganbo, the standard beat has to be found through the music elements like changgo 杖鼓 rhythmic cycle, tones, verses, etc. In this paper, first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andard beat and the music elements such as changgo rhythmic cycle and tones in today's traditional music are analyzed. Secondly,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andard beat and the rhythm of chŏngganbo are interpreted. Thirdly this interpretation is examined through the musical contents written in the old literature.
In most of the current chŏngak 正楽 which inherited the Chosŏn's court music, the unit for the touch point of changgo is one standard beat, and one touch point of changgo is played mostly in one or two beats. And sometimes a side touch is added in a beat. In one standard beat, zero to four tones are played, and among them one or two tones are the most common. One standard beat generally consists of three smaller beats in our traditional music and it consists of two smaller beats in Chinese traditional music. The old literature says that the music in the old music pieces was made to convey the meaning of its verses well and it is based on hyangak 郷楽 and koch'wiak 鼓吹楽. Among them, hyangak is in the same family as our minyo 民謠, and koch'wiak is in the same family as Chinese traditional music. All these musical contents match well with the music which is interpreted through the standard beat.
Consequently, it could be shown that the way to interpret the rhythm of old chŏngganbo through the standard beat is appropriate.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현재 학계에 숙제로 남아 있는 고악보 정간보의 리듬해석에 관한 것으로서, 고악보 정간보의 리듬을 기본박을 찾는 방법으로 해석한 것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고악보 정간보에는...
이 논문은 현재 학계에 숙제로 남아 있는 고악보 정간보의 리듬해석에 관한 것으로서, 고악보 정간보의 리듬을 기본박을 찾는 방법으로 해석한 것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고악보 정간보에는 별도로 기본박이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본박은 정간보에 기록되어 있는 장고장단, 음, 가사 등과 같은 음악적인 요인들을 통해서 찾아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현행의 전통음악을 통해 기본박이 장고점과 음 등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살펴본 다음, 그것을 기초로 하여 고악보 정간보에서 기본박을 찾아 리듬을 해석하였다. 그리고 이 방법으로 해석된 음악을 정간보의 음악에 대해 문헌에서 설명하고 있는 음악적인 내용과 비교하며 그 음악이 타당한지를 검토해 보았다.
대부분의 현행 정악 장단에서 장고점은 기본박을 단위로 하여 대개 한 박 내지 두 박마다 한 점씩 나오고, 간혹 간점이 추가되기도 한다. 한 기본박은 대부분 0~4개의 음으로 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한 음 내지 두 음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가장 많다. 한 기본박은 우리 전통음악에서는 대부분 3소박으로 되어 있으나, 중국 전통음악에서는 대부분 2소박으로 되어 있다. 문헌에서는 고악보 정간보에 실려 있는 음악은 가사전달이 잘 되도록 만들어진 음악으로서 향악과 고취악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 중 향악은 우리의 민요와 같은 계통의 음악이고 고취악은 중국의 전통음악과 같은 계통의 음악이다. 이와 같은 음악적인 내용은 모두 기본박을 찾는 방법으로 해석된 고악보 정간보의 음악과 잘 맞았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본박을 찾는 방법으로 고악보 정간보의 리듬을 해석하는 방법이 타당한 것이라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숙희, "현악여민락의 리듬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40) : 133-164, 2008
2 이혜구, "한국의 기보법. in: 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3 이혜구, "한국음악이론" 민속원 2005
4 김영운, "한국민요 선법의 특징" 한국국악학회 28 : 2000
5 "한국무용사학회 복원연주 실황. 봉황음으로 처용무를"
6 김혜정, "한국 민요의 음악적 특성과 이해. in: 한국민요대관"
7 김태섭, "피리구음정악보" 은하출판사 1983
8 이혜구, "치화평과 진작. in: 한국음악논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9 정화순, "초기 정간보의 역학적 해석을 위한 시론" 한중철학회 (창간) : 1995
10 리우짜이성, "중국음악의 역사" 민속원 2004
1 문숙희, "현악여민락의 리듬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40) : 133-164, 2008
2 이혜구, "한국의 기보법. in: 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3 이혜구, "한국음악이론" 민속원 2005
4 김영운, "한국민요 선법의 특징" 한국국악학회 28 : 2000
5 "한국무용사학회 복원연주 실황. 봉황음으로 처용무를"
6 김혜정, "한국 민요의 음악적 특성과 이해. in: 한국민요대관"
7 김태섭, "피리구음정악보" 은하출판사 1983
8 이혜구, "치화평과 진작. in: 한국음악논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9 정화순, "초기 정간보의 역학적 해석을 위한 시론" 한중철학회 (창간) : 1995
10 리우짜이성, "중국음악의 역사" 민속원 2004
11 문숙희, "종묘제례악 기명과 독경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41) : 187-225, 2008
12 문숙희, "종묘제례악 귀인류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국악학회 46 : 81-116, 2009
13 송방송, "조선후기 여민락계 악곡의 전승양상" 한국국악학회 41 : 125-166, 2007
14 신대철, "조선조의 고취와 고취악" 한국학중앙연구원 1994
15 송방송, "조선조음악사연구" 민속원 2001
16 이혜구, "정간보의 정간․대강 및 장단" 세광음악출판사 1987
17 문숙희, "정간보의 시가해석 재고" 한국국악학회 45 : 89-118, 2009
18 이혜구, "정간보 대강의 해석" 한국음악사학회 12 : 1994
19 이보형, "장단의 여느리듬형에 나타난 한국음악의 박자구조연구-원형태 성악곡을 중심으로-" 국립국악원 8 : 1996
20 "세종장헌대왕실록 22 악보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3
21 이혜구, "생가요량과 고취악" 국민음악연구회 1957
22 남상숙, "봉황음 복원을 위한 정간보 해석 연구" 한국무용사학회 2008
23 강등학, "민요의 이해. in: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도서출판 월인 2002
24 이보형, "리듬형의 구조와 그 구성에 의한 장단분류 연구-사설의 율격이 음악의 박자와 결합되는 음악적 통사구조에 기하여-" 한국국악학회 23 : 1995
25 "대악후보 in: 한국음악학자료총서" 국립국악원 1979
26 김명원, "대국1,2,3곡의 비교연구:시용향악보 목록 중" 이화여자대학교 1980
27 홍정수, "대강보(大綱譜)의 절주방식(節奏方式)" 한국음악사학회 11 : 1993
28 정병호, "농악" 동방인쇄공사 1971
29 김혜정, "남도민요의 음악적 특성과 남도인의 정서적 지향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국악학회 34 : 143-164, 2003
30 이식, "국역 성호사설" 민족문화추진회 1977
31 장사훈, "국악개론" 한국국악학회 1975
32 "국립국악원 특별기획공연. 봉래의(鳳來儀), 봉황이여 오라"
33 "국립국악원 정악단 정기연주회. 세종대왕이 창제한 찬란한 문화유산 <여민락> <봉래의>"
34 "국립국악원 복원연주회. 18세기 종묘제례악"
35 "국립국악원 고음악연주회 공연 팜플렛 in: 18세기 종묘제례악"
36 안경희, "고려속요의 궁중가악으로의 수용양상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1997
37 김영운, "고려가요의 음악형식 연구. in: 한국음악산고" 한양대학교 전통음악연구회 1995
38 백대웅, "경기지방 민요의 음악적 특징. in: 한국민요대전-경기도민요 해설집" 주식회사 문화방송 1996
39 서한범, "개정판 국악통론" 태림출판사 2004
40 문숙희, "『시용향악보』 대국1·2·3과 구천 그리고 별대왕의 리듬 고찰" 한국음악사학회 (42) : 79-108, 2009
41 이혜구, "“정간보의 시가해석 재고” 독후감" 한국국악학회 46 : 283-293, 2009
42 Jonathan Condit, "Music of the Korean Renaiss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43 Jonathan Condit, "A fifteenth-century Korean score in mensural notation. in: Musica Asiatica"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44 문숙희, "16세기 이전 보허자의 리듬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국악학회 43 : 91-116, 200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2 | 0.963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