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반연제(포스터) : P-21 ; 결핵배양검사에서 분리된 NTM(Non-tuberculous mycobacteria) 균종 분리율 및 동정 균종의 분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691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결핵배양검사에서 비결핵 항산균(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이 분리되었을 때오염균과 폐질환을 일으키는 병원균과의 구별을 위해서는 정확한 균 동정과 함께 적절한 임상적, 방사선...

      배경: 결핵배양검사에서 비결핵 항산균(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이 분리되었을 때오염균과 폐질환을 일으키는 병원균과의 구별을 위해서는 정확한 균 동정과 함께 적절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미생물학적 기준에 따른 진단이 필요하다. 결핵배양검사에서 NTM 균종의 분리율이 점차 높아지고 동정 균종에 따른 치료방법이 달라짐에 따라 NTM 균종의 동정이 중요하게 검사되고 있다. 이에 최근 3년간 본원에 의뢰된 결핵배양검사에서 분리된 NTM 균종의 분리율과 중합효소연쇄반응-역교잡법(Reverse Blot Hybridization Assay, RBHA)을 통해 분리된 NTM 균종의 분포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최근 3년간 본원에 의뢰된 결핵배양검사(액체배양, 고체배양)에서 분리된 NTM 균종의 분리율을 통계 처리하고, 본원 NTM 동정검사인 Mycobacteria 신속동정검사를 통해 동정된 NTM 균종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NTM 분리율 결과 액체배양, 고체배양 모두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점차 분리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PCR-RBHA 방법을 통해 NTM 동정한 결과 가장 많이 분리된 균은 최근 3년 동안 M. intracellulare 와 M. avium 균종으로 전세계적으로 NTM 폐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균인 M. avium complex (MAC)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일반 항결핵제 뿐만 아니라 많은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M. abscessus와 M. massiliense, 오염균으로 알려진 M. gordonae 등으로 나타났다. 고찰: 점차 더 많은 종류의 NTM이 분리되고 폐질환을 유발하는 NTM 균종 또한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결핵균과 달리 비결핵 항산균은 대부분 항결핵 약제가 아닌 항생제로 치료하므로 각 균종에 따라 항생제 내성기전이 다르다. NTM 균종의 치료는 원인균에 따라 결정되므로 정확한 균의 동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결핵배양에서 NTM 균종이 분리되면 정확한 치료를 위해 신속한 NTM 동정 검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