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mprovements for special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prgrams by reviewing current problems of special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systems and management.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can be sum...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68354
-
-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mprovements for special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prgrams by reviewing current problems of special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systems and management.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can be s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mprovements for special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prgrams by reviewing current problems of special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systems and management.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by two parts. First, a method of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s and analyzing data was used to find current trends regarding special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Second, a survey questionnaire was made to find current problems and needs of teachers with regard to special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Total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consisted of principals, supervisors and teachers in regular and speci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viewed from two aspects.
First, for the sake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opportunities for special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plan, and a variety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and improvement for the methodologies to evaluate in-service training program outcomes is also suggested.
Second, as improvement plan for management, the detailed plans to activate curriculum management and distance in-services training are needed, and the content of in-services training should be one that is able to provide the field with practical helps, and the instructors should be selected through the way like instruction evalu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educational conditions of the in-service training institutions.
The suggestions which have to be considered prior to apply the aforementioned improvement plans are as follows;
First, to extend the opportunities for special educators' in-service training, it has to be the first to conduct the fundamental studies about supply-and-demand of the participants, together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available institutions. Also, to prepare the regular education teachers for the future inclusion, long- and short-term plans for in-service training will need to be set up.
Second, a conference among diverse in-service training institutions which currently open in-service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should be constructed, and then there has to be a full discussion on the role allot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in-service training. In addition, the government has to support to develop institution-specific programs.
Third, it is required to renovate decisively the current methodologies to evaluate in-service training outcomes, to turn our eyes from current practices relying heavily on the paper-and-pencil evaluation to development of a variety of evaluation methodology, and to alter the conditions of the existing in-service training completion through such ways as utilizing absolute evaluation rather than relative evaluation and concreting the credit system.
Finally, together with conducting definite fundamental studies which will furnish the basis to realize the above-mentioned, the law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have to be reauthorized. It is of course essential to gain institutional and systematic backup in advance.
국문 초록 (Abstract)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연구의 내용 3 4. 연구 방법 및 절차 4 가.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의 분석 4 나. 질문지 조...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연구의 내용 3
4. 연구 방법 및 절차 4
가.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의 분석 4
나. 질문지 조사 4
다. 특수교육 교원연수 관련 전문가 협의회 개최 4
5. 연구의 범위 5
Ⅱ. 이론적 배경 6
1. 교원연수의 개념 및 유형 6
가. 교원연수의 개념 6
나. 현직 교원연수의 유형 7
다. 현직 교원연수제도의 변천과정 8
라. 국내외 동향 9
2. 특수교사 연수의 현황 11
가. 자격연수현황 12
나. 직무연수 현황 16
3. 효과적인 특수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특성 18
가. 교원연수에 대한 접근 시각 18
나. 효과적인 특수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특징 20
다. 효과적인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작성을 위한 과제 25
Ⅲ. 외국의 특수교사 연수의 동향 28
1. 미 국 28
가. 연수 프로그램의 목표 및 내용 29
나. 특수교사 연수의 방법 34
다. 현직 특수교원 연수의 구체적 사례 36
2. 일 본 40
가. 법적 기반과 연수의 목표 40
나. 현직연수의 형태 41
다. 현직연수의 유형별 특징 42
라. 시사점 56
3. 유 럽 61
가. 이탈리아 61
나. 영국 62
다. 스웨덴 64
Ⅳ. 특수교사 연수제도․운영상의 문제점 및 요구 분석 68
1. 연구 대상 68
2. 연구 도구 및 절차 69
3. 결과 70
가. 연수 제도 70
나. 연수 운영 방법 74
다. 교육과정 82
라. 평 가 86
마. 강 사 92
바. 연수 환경 95
사. 기타 연수 관련 건의 사항 97
4. 요 약 98
가. 연수제도 98
나. 운영 방법 99
다. 교육과정 101
라. 평가 101
마. 강사 102
바. 연수 환경 103
Ⅴ. 특수교사 연수제도의 개선방안 104
1. 특수교육 교원 연수 제도 개선방안 104
가. 특수교육 연수 기회 확대 방안 104
나.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다양화 105
다. 연수 결과에 대한 평가 105
2. 특수교육 연수 운영의 개선방안 106
가. 교육과정 운영 및 원격 연수의 활성화 106
나. 효율적인 연수 내용 및 강사 선정 107
다. 연수 기관의 교육 여건 107
Ⅵ. 요약 및 제언 109
1. 요 약 109
가. 교원연수의 개념 및 유형 109
나. 국내 특수교사 연수의 현황 110
다. 효과적인 특수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특성 110
라. 외국의 특수교사 연수의 동향 111
마. 연수 제도 및 운영에 대한 요구 조사 112
바. 특수교육 연수 제도 및 운영에 관한 개선방안 114
2. 제 언 115
참 고 문 헌 117
부 록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