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金代後期 詩壇의 '奇正' 對立과 문학이론의 특질 = 金代後期詩壇之‘奇正’之爭與其文學理論之特質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565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論文以金朝後期詩壇之奇正之爭爲主線, 從而引出其主要文學理論. 以考察該時期文學理論之特徵. 兼而比諸南宋之文論, 則得知其北方之特微更突顯. 本文之次序如下:
      1. 奇正之對立: 當時李純甫以文壇領袖之一, 爲文偏喜奇異之語, 一時後進爭相追隨, 遂成一代風氣. 而趙秉文, 王若虛, 元好問等有志之士, 甚慮焉. 於是有奇正之爭.
      2. 文學理論之特質: 一) 提倡遍學古人, 反對偏重一體. 二) 重內容, 反對偏重形式. 三) 重眞情, 反對無病呻吟. 四) 重自然, 反對虛飾. 五) 重豪放質樸.
      번역하기

      本論文以金朝後期詩壇之奇正之爭爲主線, 從而引出其主要文學理論. 以考察該時期文學理論之特徵. 兼而比諸南宋之文論, 則得知其北方之特微更突顯. 本文之次序如下: 1. 奇正之對立: 當時...

      本論文以金朝後期詩壇之奇正之爭爲主線, 從而引出其主要文學理論. 以考察該時期文學理論之特徵. 兼而比諸南宋之文論, 則得知其北方之特微更突顯. 本文之次序如下:
      1. 奇正之對立: 當時李純甫以文壇領袖之一, 爲文偏喜奇異之語, 一時後進爭相追隨, 遂成一代風氣. 而趙秉文, 王若虛, 元好問等有志之士, 甚慮焉. 於是有奇正之爭.
      2. 文學理論之特質: 一) 提倡遍學古人, 反對偏重一體. 二) 重內容, 反對偏重形式. 三) 重眞情, 反對無病呻吟. 四) 重自然, 反對虛飾. 五) 重豪放質樸.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緖言
      • 2. ‘奇正’ 對立의 양상
      • 3. 문학이론의 특질
      • 4. 結語
      • 참고문헌
      • 1. 緖言
      • 2. ‘奇正’ 對立의 양상
      • 3. 문학이론의 특질
      • 4. 結語
      • 참고문헌
      • 중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