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매체 언어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Critical Review of Media Language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95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 languag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e results.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framework was establish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analysis framework for media text understanding is composed of four perspectives of production, language, representation, and audience. In addition, the analysis framework for the production of media text is composed of seven perspectives of planning, storyboard-writing, filming preparation, filming, editing, presentation, and online sharing. Based on the above analysis framework, the results were presented as to how media language textbooks appeared in terms of media text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Finall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edia language textbooks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 languag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e results.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framework was establish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 languag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e results.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framework was establish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analysis framework for media text understanding is composed of four perspectives of production, language, representation, and audience. In addition, the analysis framework for the production of media text is composed of seven perspectives of planning, storyboard-writing, filming preparation, filming, editing, presentation, and online sharing. Based on the above analysis framework, the results were presented as to how media language textbooks appeared in terms of media text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Finall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edia language textbooks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매체 언어 교과서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해 매체 텍스트의 이해와 생산의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 틀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매체 텍스트 이해와 관련하여 첫째, 매체 언어 교과서는 매체 텍스트 생산자의 이해관계 등을 고려하며 매체 텍스트를 이해하도록 하지는 못하였다. 둘째, 매체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와 관련지어 왜 특정한 언어 양식이 활용되었는지를 사고하도록 하는 내용이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매체 텍스트의 관점을 파악하는 내용이 공정성의 위배나 왜곡의 문제를 사고하도록 하는 수준으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넷째, 시청각적 요소에서 드러나는 심미적 가치를 이해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다음으로 매체 텍스트 생산과 관련하여, 첫째, 매체가 정해져 있는 상태로 학습활동 과제가 부여되어 매체 선정의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게 되어 있었다. 둘째, 스토리보드 작성이 필수적인 절차로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촬영 준비 절차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으며, 넷째, 촬영과 편집을 위한 전략이 교육 내용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다섯째, 온라인 공유 과정을 통한 성찰 기회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매체 언어 교과서 개발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매체 언어 교과서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해 매체 텍스트의 이해와 생산의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매체 언어 교과서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해 매체 텍스트의 이해와 생산의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 틀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매체 텍스트 이해와 관련하여 첫째, 매체 언어 교과서는 매체 텍스트 생산자의 이해관계 등을 고려하며 매체 텍스트를 이해하도록 하지는 못하였다. 둘째, 매체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와 관련지어 왜 특정한 언어 양식이 활용되었는지를 사고하도록 하는 내용이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매체 텍스트의 관점을 파악하는 내용이 공정성의 위배나 왜곡의 문제를 사고하도록 하는 수준으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넷째, 시청각적 요소에서 드러나는 심미적 가치를 이해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다음으로 매체 텍스트 생산과 관련하여, 첫째, 매체가 정해져 있는 상태로 학습활동 과제가 부여되어 매체 선정의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게 되어 있었다. 둘째, 스토리보드 작성이 필수적인 절차로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촬영 준비 절차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으며, 넷째, 촬영과 편집을 위한 전략이 교육 내용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다섯째, 온라인 공유 과정을 통한 성찰 기회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매체 언어 교과서 개발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지애, "학습자의 매체 텍스트 제작 경험에 대한 연구 - 고등학생의 UCC 제작 경험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32) : 1-40, 2013

      2 Messaris, P., "프레이밍과 공공생활: 미디어와 사회현실에 대한 이해" 도서출판 한울 2007

      3 주창윤, "영상이미지의 구조" 나남 2003

      4 정현선, "언어·텍스트·매체 ·문화'범주와 '복합 문식성'개념을 통한미디어교육의 국어교육적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8) : 307-338, 2005

      5 McLuhan, M.,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1964

      6 Buckingham, D., "미디어 교육: 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제이앤북 2004

      7 정혜승, "문식성(literacy)의 변화와 기호학적 관점의 국어과 교육과정 모델"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49-172, 2008

      8 최지현,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탐구" 국어교육학회 (28) : 143-182, 2007

      9 김대행, "매체언어 교육론 서설" 97 : 7-44, 1998

      10 김대희, "매체 언어 쓰기 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8) : 5-28, 2008

      1 남지애, "학습자의 매체 텍스트 제작 경험에 대한 연구 - 고등학생의 UCC 제작 경험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32) : 1-40, 2013

      2 Messaris, P., "프레이밍과 공공생활: 미디어와 사회현실에 대한 이해" 도서출판 한울 2007

      3 주창윤, "영상이미지의 구조" 나남 2003

      4 정현선, "언어·텍스트·매체 ·문화'범주와 '복합 문식성'개념을 통한미디어교육의 국어교육적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8) : 307-338, 2005

      5 McLuhan, M.,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1964

      6 Buckingham, D., "미디어 교육: 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제이앤북 2004

      7 정혜승, "문식성(literacy)의 변화와 기호학적 관점의 국어과 교육과정 모델"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49-172, 2008

      8 최지현,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탐구" 국어교육학회 (28) : 143-182, 2007

      9 김대행, "매체언어 교육론 서설" 97 : 7-44, 1998

      10 김대희, "매체 언어 쓰기 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8) : 5-28, 2008

      11 Fairclough, N., "대중매체 담화 분석" 한국문화사 1995

      12 박준홍, "뉴스 이해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 호주, 캐나다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73-495, 2019

      13 박기범, "국어과 영화 제작 수업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27) : 307-338, 2008

      14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제2015-74호[별책 5])"

      15 교육인적자원부, "국어과 교육과정(제2007-79호[별책 5])"

      16 이채연, "국어과 UCC 협동과제에서 제작 단계별전략 추출 양상" 한국문법교육학회 22 : 113-138, 2014

      17 최형용,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창비 2019

      18 이삼형,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지학사 2019

      19 이관규,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비상교육 2019

      20 방민호,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미래엔 2019

      21 민현식,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천재교육 2019

      22 김라연, "UCC 매체 제작 전략 활용 양상 분석 연구 -예비교사의 UCC 제작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68 : 63-92, 2016

      23 Goodwyn, A., "English teaching and media education" Open University Press 1992

      24 Fairclough, 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Longman 1995

      25 Fairclough, N., "Analysing discourse: textual analysis for social research" Routledge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7-05-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4 1.72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