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의의 목표는 차이생성 읽기 방법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 논의는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을 교육적으로 논의한 김재춘・배지현(2016)의 <들뢰즈와 교육: 차이생성의 배움론>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89582
김도남 (서울교육대학교)
2019
Korean
차이생성 ; 동일성 ; 읽기 방법 ; 계열 ; 순환 ; generating differences ; sameness ; reading method ; the series relationship ; Procedural Progress
KCI등재
학술저널
161-195(3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의의 목표는 차이생성 읽기 방법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 논의는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을 교육적으로 논의한 김재춘・배지현(2016)의 <들뢰즈와 교육: 차이생성의 배움론>를 ...
이 논의의 목표는 차이생성 읽기 방법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 논의는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을 교육적으로 논의한 김재춘・배지현(2016)의 <들뢰즈와 교육: 차이생성의 배움론>를 토대로 하였다. 이 논의에서는 텍스트 중심 읽기와 독자 중심 읽기가 동일성 의미의 반복한다고 비판하였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 차이생성의 읽기를 세 가지 면에서 검토하였다. 첫 번째는 계열이다. 텍스트는 계열 관계에 따라 독자의 인식에 차이를 생성한다. 둘째는 차원이다. 이 차원은 현실적 차원과 잠재적 차원으로 구분되고, 잠재적 차원은 강도적 차원과 이념적 차원으로 나누어진다. 읽기에서 독자는 이들 차원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의식내용을 생성한다. 셋째는 작용이다. 작용은 잠재적 차원의 독자 의식 활동이다. 이 의식 활동에서는 독자의 이념과 강도를 생성한다. 이 논의를 토대로 차이생성 읽기를 위한 방법을 세 가지 제시했다. 첫째는 차이생성의 과정을 따르는 것이다. 둘째는 특이점에서 실체화하기이다. 특이점은 이념과 강도의 경계 지점에 있는 변곡점이다. 이 특이점에서 텍스트의 이념을 파악하고, 독자 이념에 대한 강도의 내용을 실체화해야 한다. 셋째는 차이생성 읽기를 위한 네 가지 원리다. 네 가지는 계열의 바꿈, 차원의 순환, 미세지각, 의식내용의 변화이다. 이 원리를 통하여 차이생성 읽기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논의는 차이생성을 반복하는 읽기를 논리를 거칠게 살펴보았다. 이 읽기 방법에 대한 정교화고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ading methods for generating differences. This study is based on Kim Jae-chun and Bae Ji-hyun (2016) 's Deleuze and Education: Learning the Difference. In the context of this study, we first examined the problem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ading methods for generating differences. This study is based on Kim Jae-chun and Bae Ji-hyun (2016) 's Deleuze and Education: Learning the Difference. In the context of this study, we first examined the problems of the method of repetitive reading of identit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eading for generating difference is explored in three ways. First, notice the difference in the series relationship of the text. Second, we look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 and potential levels (strength and ideological). Third, this potential consciousness activity generates readers' distinct ideologies and strengths. In this study, we proposed three methods for reading difference-producing. The first is to follow the process of difference creation. The second is to specify the content of the strength of ideology in singularity. The third is to follow four principles: changing the series relationship, Procedural Progress, microperception, and changing consciousness. This principle allows you to perform differential generation reads. This reading method needs elaboration and various discussions
참고문헌 (Reference)
1 Y_D_영, "한국잔디 종류"
2 김도남, "텍스트 이해의 전체성과 동일성 비판- 레비나스의 타자 개념을 토대로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5) : 27-54, 2018
3 이홍우,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2006
4 박수자, "읽기 지도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5 김재춘, "들뢰즈와 교육" 학이시습 2016
6 손정표, "독서지도방법론" 학문사 1985
7 노명완, "국어교육론" 한샘 1991
8 노명완, "국어과교육론" 갑을출판사 1994
9 정동화, "국어과교육론" 선일문화사 1987
10 김원경, "국어과(교과) 교육학" 교육연구사 1997
1 Y_D_영, "한국잔디 종류"
2 김도남, "텍스트 이해의 전체성과 동일성 비판- 레비나스의 타자 개념을 토대로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5) : 27-54, 2018
3 이홍우,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2006
4 박수자, "읽기 지도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5 김재춘, "들뢰즈와 교육" 학이시습 2016
6 손정표, "독서지도방법론" 학문사 1985
7 노명완, "국어교육론" 한샘 1991
8 노명완, "국어과교육론" 갑을출판사 1994
9 정동화, "국어과교육론" 선일문화사 1987
10 김원경, "국어과(교과) 교육학" 교육연구사 1997
11 이대규, "국어 교육의 이론" 교육과학사 1998
12 한철우, "과정중심 독서지도" 교학사 2001
신교육목표분류학 적용을 통한 읽기 영역의 평가 문항 설계
자기소개서 첨삭 지도를 위한 루브릭 개발-현직 국어교사 대상 FGI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10-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2017-05-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1.04 | 1.728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