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40-60대 여성의 맞춤형 화장품 인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적욕구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 of Customized Cosmetics Perception on Purchase Intention of Women in Their 40s and 60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Beauty Desi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931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의 맞춤형 화장품 인식에 따른 미적 욕구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미적 욕구의 매개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맞춤형 화장품 인식의 요인으로 브랜드 이미지, 품질, 가격, 서비스를 설정하고, 여성들의 미적 욕구와 구매 의도를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2023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서울, 수도권, 경상도, 기타 지역에 거주하는 40대에서 60대 이상 여성 맞춤형 화장품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구글 온라인 설문과 자기기입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다. 부정확한 설문지 13부를 제외하고 총 487부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WIN 25.0을 통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맞춤형 화장품 인식은 미적 욕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 요인으로는 품질, 서비스, 가격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들이 맞춤형 화장품의 품질과 안정성을 신뢰하며 미적 욕구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둘째, 맞춤형 화장품 인식은 구매 의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 요인으로는 품질, 서비스, 가격, 브랜드 이미지 순이었다. 이는 여성들이 맞춤형 화장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추천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미적 욕구는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여성들이 동안 피부 유지와 피부 개선을 중요시하는 미적 욕구가 구매 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이다. 넷째, 미적 욕구는 맞춤형 화장품 인식과 구매 의도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였다. 이는 맞춤형 화장품 인식이 높을수록 미적 욕구가 관여하면 구매 의도가 높다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여성 소비자의 맞춤형 화장품 인식에 따른 미적 욕구와 구매 의도 간의 관계에서 미적 욕구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맞춤형 화장품 인식을 높이기 위해 소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으로 소비자의 니즈를 분석해 피부관리 정보, 맞춤형 화장품의 장점등을 설명하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취향과 차별화된 맞춤형 화장품이 4차산업혁명시대의 IT 기술 활용과 융합하여 뷰티 시장의 고부가가치 창출의 발전 방향의 토대가 되어 지속소비가능한 맞춤형 화장품 산업의 활성화가 활발하게 발전될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다양한 변수들이 투입되어 화장품 산업에 관련한 유의미한 결과를 제시하는 후속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여성의 맞춤형 화장품 인식에 따른 미적 욕구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미적 욕구의 매개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맞춤형 화장품 인식의 ...

      본 연구는 여성의 맞춤형 화장품 인식에 따른 미적 욕구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미적 욕구의 매개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맞춤형 화장품 인식의 요인으로 브랜드 이미지, 품질, 가격, 서비스를 설정하고, 여성들의 미적 욕구와 구매 의도를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2023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서울, 수도권, 경상도, 기타 지역에 거주하는 40대에서 60대 이상 여성 맞춤형 화장품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구글 온라인 설문과 자기기입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다. 부정확한 설문지 13부를 제외하고 총 487부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WIN 25.0을 통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맞춤형 화장품 인식은 미적 욕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 요인으로는 품질, 서비스, 가격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들이 맞춤형 화장품의 품질과 안정성을 신뢰하며 미적 욕구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둘째, 맞춤형 화장품 인식은 구매 의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 요인으로는 품질, 서비스, 가격, 브랜드 이미지 순이었다. 이는 여성들이 맞춤형 화장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추천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미적 욕구는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여성들이 동안 피부 유지와 피부 개선을 중요시하는 미적 욕구가 구매 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이다. 넷째, 미적 욕구는 맞춤형 화장품 인식과 구매 의도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였다. 이는 맞춤형 화장품 인식이 높을수록 미적 욕구가 관여하면 구매 의도가 높다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여성 소비자의 맞춤형 화장품 인식에 따른 미적 욕구와 구매 의도 간의 관계에서 미적 욕구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맞춤형 화장품 인식을 높이기 위해 소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으로 소비자의 니즈를 분석해 피부관리 정보, 맞춤형 화장품의 장점등을 설명하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취향과 차별화된 맞춤형 화장품이 4차산업혁명시대의 IT 기술 활용과 융합하여 뷰티 시장의 고부가가치 창출의 발전 방향의 토대가 되어 지속소비가능한 맞춤형 화장품 산업의 활성화가 활발하게 발전될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다양한 변수들이 투입되어 화장품 산업에 관련한 유의미한 결과를 제시하는 후속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beauty desire, and purchase intention,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beauty desire among people in their 40s to 60s or older living in Seoul, the metropolitan area, Gyeongsang-do, and other regions di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quality, price, and service, which are subfactors of perception of customized cosmetic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beauty desire. Second, brand image, quality, price, and service, which are subfactors of perception of customized cosmetic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ird, beauty desir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ourth, beauty desir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quality, price, and service, which are subfactors of recognition of customized cosmetics, an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n order to increase brand awareness, it will be necessary to collaborate with beauty influencers, promote the brand through social media campaigns, and create a community where consumer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connect with the brand both online and offline. In addition, in order to use high-quality raw materials, secure quality certificates, provide customized cosmetics in various price ranges, and promote the influx of consumers, marketing such as bundle discounts and benefits for repeat customers will be necessary. By providing content explaining skin care information and the benefits of customized cosmetics through various content marketing channels, we expect that the sustainable consumption of the customized cosmetics industry will be actively developed.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beauty desire, and purchase intention,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beauty desire among people in their 40s to 60s or ol...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beauty desire, and purchase intention,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beauty desire among people in their 40s to 60s or older living in Seoul, the metropolitan area, Gyeongsang-do, and other regions di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quality, price, and service, which are subfactors of perception of customized cosmetic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beauty desire. Second, brand image, quality, price, and service, which are subfactors of perception of customized cosmetic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ird, beauty desir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ourth, beauty desir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quality, price, and service, which are subfactors of recognition of customized cosmetics, an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n order to increase brand awareness, it will be necessary to collaborate with beauty influencers, promote the brand through social media campaigns, and create a community where consumer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connect with the brand both online and offline. In addition, in order to use high-quality raw materials, secure quality certificates, provide customized cosmetics in various price ranges, and promote the influx of consumers, marketing such as bundle discounts and benefits for repeat customers will be necessary. By providing content explaining skin care information and the benefits of customized cosmetics through various content marketing channels, we expect that the sustainable consumption of the customized cosmetics industry will be actively develop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