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여러 선진국을 보면 국제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는 점차 노동자의 인적자원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 산업에의 집중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914855
전명숙 (힌국노동연구원)
2010
Korean
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US ; Regional labor-management -government partnership ; Workforce Investment Act ; One-Stop Center ; Wisconsin Regional Training Partnership ; 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US ; Regional labor-management -government partnership ; Workforce Investment Act ; One-Stop Center ; Wisconsin Regional Training Partnership ; 미국의 지역인적자원개발 ; 지역노사정 파트너쉽 ; 인력투자법 ; 원스탑센타 ; 위스컨신 지역훈련센타
KCI등재
학술저널
287-310(24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세계의 여러 선진국을 보면 국제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는 점차 노동자의 인적자원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 산업에의 집중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
세계의 여러 선진국을 보면 국제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는 점차 노동자의 인적자원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 산업에의 집중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노사 이해당사자와 관련 정부 기관이 파트너쉽을 통해 노동자의 숙련 형성 및 향상에 함께 참여한다는 것이다. 이는 어느 일방의 이해관계에 따라 진행되는 노동자의 훈련 프로그램은 그 효과가 충분히 실현되는 것이 어렵다는 인식에 기반한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유럽의 선진 국가에서 나타나는 노사정 파트너십과 노동자의 인적자원개발전략에 많은 주목을 해왔다. 이러한 사례연구를 보면 유럽 국가에서는 강력한 노동조합을 통해 노사정 파트너쉽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각 이해당사자는 협력을 통해 노사가 공동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고용 및 훈련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에 반해 세계 주요 선진국 중 대표적인 미국에서의 노사 참여적인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데 그 이유는 분권화의 전통이 강하고 시장원리가 보다 더 강조되는 미국에서는 전국차원에서 노사정 파트너쉽을 구축할 수 있는 기제가 발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록 미국의 경우 연방 차원에서는 노사정 간의 사회적 대화기제를 찾기 어렵다고 하더라도 지역 차원이나 다양한 업종별 프로그램에서는 이해당사자가 파트너쉽을 통해 공동의 문제를 함께 풀어나가는 사례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력투자법 (Workforce Investment Act)에 근거한 원스톱 센터와 위스컨신 지역훈련파트너쉽 (Wisconsin Regional Training Partnership)을 통해 미국에서 지역 차원의 노사정 파트너쉽이 어떻게 작동하며 어떠한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는 지를 분석하고 있다. 원스톱센터가 연방 정부법에 의해 각 주에서 제도적으로 전개되는 지역 노사정파트너쉽 모델이라면 WRTP 는 민간주도의 지역 노사정파트너쉽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두 사례는 OECD 에서도 대표적인 지역 파트너쉽 모범 사례로 소개되고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 지역인적자원개발정책의 주요 참고 사례가 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veloped nations are increasingly seeking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through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of workers in high value-added industries. And what is especially important in this process is the fact that wo...
Developed nations are increasingly seeking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through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of workers in high value-added industries. And what is especially important in this process is the fact that workers, employers, and concerned government agencies are participating together in building and improving workers' skills through partnerships. This i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workers training programs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terest of one side are difficult to bring desired results. For the past decades, Korea has focused mostly on labor-management-government partnerships and strategies for developing the human resources of workers in developed nations in Europe. Related case studies show labor-management-government partnerships in European countries established through powerful trade unions, and interested parties actively cooperate and participate in employment and training programs that benefit both workers and employers. In contrast, studies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participated by workers and employers are relatively rare in the US, the reason being the lack of a mechanism for establishing labor-management-government partnership due to the country's strong tradition of decentralization and the emphasis on market principles.
However, while it is difficult to find such channels for dialogue between workers, employers, and the government in th US on the federal level, there are many regional-level or industry-level programs that tackle common problems through partnerships between interested parties. This study analyzes how the regional labor-management-government partnerships in the US work and examines the types of programs operated by investigating the One-Stop Center based on the Workforce Investment Act and the Wisconsin Regional Training Partnership. While the One-Stop Center is a regional labor-management-government partnership model that is institutionally executed in each state according to the Workforce Investment Act, the WRTP is a regional labor-management -government partnership model led by the private sector. The two examples are introduced in the OECD as best practice examples of regional partnerships, and are key references to Korea's curr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참고문헌 (Reference)
1 Vidal, Matt, "지역노동시장 재건: 위스컨신 지역훈련파트너쉽과 성과" 7 (7): 29-39, 2009
2 이호창, "지역고용거버넌스와 노사" 노사발전재단 2008
3 전명숙, "지역고용 및 인적자원개발정책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방안 연구" 법학연구소 21 (21): 187-213, 2010
4 전명숙, "새로운 지역고용거버넌스와 노사정의 역할" 한국노동연구원 2008
5 나영선, "미국의 인력투자법 시스템과 직업훈련 개혁 동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6 WRTP, "Wisconsin Regional Training Partnership: Implementation Plan" WRTP 1992
7 Neuenfeldt, Phil, "Wisconsin Regional Training Partnership: Building the Infrastructure for Workplace Change and Skill Development" AFL-CIO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1996
8 Social Policy Research Associates, "The Workforce Investment Act After Five Years: Results from the National Evalu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WIA" Prepared for the U.S. Department of Labor 2004
9 Parker, Eric, "The Wisconsin Regional Training Partnership: Lessons for National Policy" 1995
10 U.S. Department of Labor, "The Effect of Customer Choice: First Findings from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Experiment" ETA 2005
1 Vidal, Matt, "지역노동시장 재건: 위스컨신 지역훈련파트너쉽과 성과" 7 (7): 29-39, 2009
2 이호창, "지역고용거버넌스와 노사" 노사발전재단 2008
3 전명숙, "지역고용 및 인적자원개발정책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방안 연구" 법학연구소 21 (21): 187-213, 2010
4 전명숙, "새로운 지역고용거버넌스와 노사정의 역할" 한국노동연구원 2008
5 나영선, "미국의 인력투자법 시스템과 직업훈련 개혁 동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6 WRTP, "Wisconsin Regional Training Partnership: Implementation Plan" WRTP 1992
7 Neuenfeldt, Phil, "Wisconsin Regional Training Partnership: Building the Infrastructure for Workplace Change and Skill Development" AFL-CIO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1996
8 Social Policy Research Associates, "The Workforce Investment Act After Five Years: Results from the National Evalu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WIA" Prepared for the U.S. Department of Labor 2004
9 Parker, Eric, "The Wisconsin Regional Training Partnership: Lessons for National Policy" 1995
10 U.S. Department of Labor, "The Effect of Customer Choice: First Findings from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Experiment" ETA 2005
11 Eberts, W. Randall, "Regional Labor Market Policies in the U.S.: Job Training under the Workforce Investment Act" 한국노동연구원 2005
12 Crouch, Colin, "Local Production Systems in Europe: Rise or Demis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3 Zeitlin, Jonathan, "Industrial Districts and Local Economic Regeneration: Overview and Comment. in: Industrial Districts and Local Economic Regeneration" International Institute for Labor Studies 1992
14 OECD, "Decentralisation and Coordination: The Twin Challenges of Labor Market Policy" OECD LEED 2008
15 Hollingsworth J. Rogers, "Contemporary Capitalism: The Embeddedness of Institu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16 Social Policy Research Associates, "An Evaluation of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Eligible Training Provider Demonstration" prepared for the U.S, Department of Labor 2004
체제전환기 국가의 중앙은행 독립성 비교 연구 - 러시아, 체코, 폴란드를 중심으로
21세기 미주대륙과 대서양 해양안보의 딜레마: 미4함대의 등장과 남미지역과 갈등
근대 동해안 지역인식의 역사적 성찰 -환동해 지역연구를 위한 試論-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3-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국제지역학센터 -> 국제지역연구센터 | ![]() |
2009-03-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외국학종합연구센터 -> 국제지역학센터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62 | 0.861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