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급형 3D프린터를 이용한 인체 모형 뼈 팬텀 제작의 기초연구: Femur 대상으로 적층형 출력 방식 이용 = A Fundamental Study on the Fabrication of Human Model Bone Phantom using an Entry-Level 3D Printer: using FDM Method for the Femur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74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eate a phantom with a HU value similar to that of the human Femur using a 3D printer to replace the existing pig bone. A total of 372 people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HU value of human Femur. Using a 3D printer, a human bone model phantom was fabricated using PLA-Cu 20% and subjected to CT examination. Pig bones were 6 months old pigs, and bones 2 days after slaughter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the 3D printing phantom made with 80% of the internal filling showed a similar value to all data of the human body (p<0.05), and there was a difference from the pig bone (p>0.05).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HU value of Femur by age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value of HU decreased as the age group increased (p<0.05). 3D printing and HU values ​​confirme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pect to the stacking height, but confirm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R2 = 0.996) with 182.13±1.290 in the inner filling (p<0.05).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uman body model phantom using 3D printing can exhibit a similar level of HU value to the human body compared to the existing pig bone phantom, and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duction of a human body model phantom using a 3D print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eate a phantom with a HU value similar to that of the human Femur using a 3D printer to replace the existing pig bone. A total of 372 people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HU value of human Femur. Using a 3D prin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eate a phantom with a HU value similar to that of the human Femur using a 3D printer to replace the existing pig bone. A total of 372 people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HU value of human Femur. Using a 3D printer, a human bone model phantom was fabricated using PLA-Cu 20% and subjected to CT examination. Pig bones were 6 months old pigs, and bones 2 days after slaughter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the 3D printing phantom made with 80% of the internal filling showed a similar value to all data of the human body (p<0.05), and there was a difference from the pig bone (p>0.05).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HU value of Femur by age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value of HU decreased as the age group increased (p<0.05). 3D printing and HU values ​​confirme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pect to the stacking height, but confirm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R2 = 0.996) with 182.13±1.290 in the inner filling (p<0.05).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uman body model phantom using 3D printing can exhibit a similar level of HU value to the human body compared to the existing pig bone phantom, and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duction of a human body model phantom using a 3D print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보급형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체 Femur와 유사한 HU 값을 가진 팬텀을 제작하여 기존 돼지 뼈를 대체할 수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인체 Femur의 HU 값을 알아보기 위해 연령별 총 372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보급형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PLA-Cu 20%를 이용하여 인체 뼈 모형 팬텀을 제작하여 CT 검사하였다. 돼지 뼈는 생후 6개월 된 돼지로 도축된 지 2일이 지난 뼈를 이용하였다. 검사결과 내부 채움 80%로 제작한 3D 프린팅 팬텀이 인체의 모든 데이터와 유사한 값이 나타났고(p<0.05) 돼지뼈와는 차이가 있었다(p>0.05). 또한 연령대별 Femur의 HU 값의 경우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HU의 값은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p<0.05). 3D 프린팅과 HU 값은 적층 높이에 대해서는 약한 음의 상관성을 확인 하였지만 내부 채움에서는 182.13±1.290으로 강한 양의 상관성(R2=0.996)을 확인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3D 프린팅을 이용한 인체 모형 팬텀이 기존 돼지뼈 팬텀에 비해 인체와 유사한 정도의 HU 값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본 연구가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체 모형 팬텀의 제작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보급형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체 Femur와 유사한 HU 값을 가진 팬텀을 제작하여 기존 돼지 뼈를 대체할 수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인체 Femur의 HU 값을 알아보기 위해 연령...

      본 연구에서는 보급형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체 Femur와 유사한 HU 값을 가진 팬텀을 제작하여 기존 돼지 뼈를 대체할 수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인체 Femur의 HU 값을 알아보기 위해 연령별 총 372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보급형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PLA-Cu 20%를 이용하여 인체 뼈 모형 팬텀을 제작하여 CT 검사하였다. 돼지 뼈는 생후 6개월 된 돼지로 도축된 지 2일이 지난 뼈를 이용하였다. 검사결과 내부 채움 80%로 제작한 3D 프린팅 팬텀이 인체의 모든 데이터와 유사한 값이 나타났고(p<0.05) 돼지뼈와는 차이가 있었다(p>0.05). 또한 연령대별 Femur의 HU 값의 경우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HU의 값은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p<0.05). 3D 프린팅과 HU 값은 적층 높이에 대해서는 약한 음의 상관성을 확인 하였지만 내부 채움에서는 182.13±1.290으로 강한 양의 상관성(R2=0.996)을 확인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3D 프린팅을 이용한 인체 모형 팬텀이 기존 돼지뼈 팬텀에 비해 인체와 유사한 정도의 HU 값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본 연구가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체 모형 팬텀의 제작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옥, "성인의 연령, 체질량지수 및 생활습관과 골밀도의 관계" 대한방사선과학회 31 (31): 367-378, 2008

      2 서정민, "방사선치료용 CT simulator와 진단용 CT의 구조 차이에 의한 CT number의 비교 평가"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7 (17): 215-219, 2015

      3 하성민, "반복적 재구성 알고리즘과 관전류 자동 노출 조정 기법의 CT 영상 화질과 선량에 미치는 영향: 관상동맥 CT 조영 영상 프로토콜 기반의 팬텀 실험" 한국의학물리학회 26 (26): 28-35, 2015

      4 오왕균, "공개용과 상업용 DICOM STL 파일변환 프로그램으로 출력한 삼차원 프린팅 쇄골 골절 모델의 품질비교" 대한방사선과학회 41 (41): 61-66, 2018

      5 T. Y. Kim, "Trend of osteoporosis and osteoporotic fractures using national big data"

      6 Sharon L. Edelstein, "Relation between Body Siz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Elderly Men and Women" Oxford University Press (OUP) 138 (138): 160-169, 1993

      7 A. Paterson, "Dose reduction in paediatric MDCT: general principles" Elsevier BV 62 (62): 507-517, 2007

      8 S. H. Lee, "Development of bone graft material for bone substitutes using porcine bone" 167-, 2013

      9 윤명성, "CT 데이터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뼈 모형 X선 팬텀 제작에 관한 연구" 한국방사선학회 12 (12): 879-886, 2018

      10 Cynthia H. McCollough, "CT dose index and patient dose: they are not the same thing" Radiological Society of North America (RSNA) 259 (259): 311-316, 2011

      1 박성옥, "성인의 연령, 체질량지수 및 생활습관과 골밀도의 관계" 대한방사선과학회 31 (31): 367-378, 2008

      2 서정민, "방사선치료용 CT simulator와 진단용 CT의 구조 차이에 의한 CT number의 비교 평가"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7 (17): 215-219, 2015

      3 하성민, "반복적 재구성 알고리즘과 관전류 자동 노출 조정 기법의 CT 영상 화질과 선량에 미치는 영향: 관상동맥 CT 조영 영상 프로토콜 기반의 팬텀 실험" 한국의학물리학회 26 (26): 28-35, 2015

      4 오왕균, "공개용과 상업용 DICOM STL 파일변환 프로그램으로 출력한 삼차원 프린팅 쇄골 골절 모델의 품질비교" 대한방사선과학회 41 (41): 61-66, 2018

      5 T. Y. Kim, "Trend of osteoporosis and osteoporotic fractures using national big data"

      6 Sharon L. Edelstein, "Relation between Body Siz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Elderly Men and Women" Oxford University Press (OUP) 138 (138): 160-169, 1993

      7 A. Paterson, "Dose reduction in paediatric MDCT: general principles" Elsevier BV 62 (62): 507-517, 2007

      8 S. H. Lee, "Development of bone graft material for bone substitutes using porcine bone" 167-, 2013

      9 윤명성, "CT 데이터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뼈 모형 X선 팬텀 제작에 관한 연구" 한국방사선학회 12 (12): 879-886, 2018

      10 Cynthia H. McCollough, "CT dose index and patient dose: they are not the same thing" Radiological Society of North America (RSNA) 259 (259): 311-316, 2011

      11 Ye Li, "Bone defect animal models for testing efficacy of bone substitute biomaterials" Elsevier BV 3 (3): 95-104, 2015

      12 Chuanyong Bai, "A generalized model for the conversion from CT numbers to linear attenuation coefficients"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50 (50): 1510-1515, 2003

      13 B. Lawrence Riggs, "A Unitary Model for Involutional Osteoporosis: Estrogen Deficiency Causes Both Type I and Type II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and Contributes to Bone Loss in Aging Men" Wiley 13 (13): 763-773, 1998

      14 M. C. Kim, "A Study on the exposure dose for the computed tomography" 27 (27): 21-27, 2004

      15 윤명성, "3D프린터를 이용한 CT 선량측정 팬텀 제작 및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방사선학회 12 (12): 737-743, 2018

      16 이준호, "3D 프린팅을 이용한 골밀도 팬텀 개발" 한국방사선학회 13 (13): 185-192, 2019

      17 신윤정, "3D 프린터 필라멘트 제작용 대나무/PLA 바이오복합재료 개발 연구" 한국목재공학회 46 (46): 107-113,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2-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방사선학회 -> 한국방사선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Radiology ->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452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