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존 FAUI 프로젝트의 조사항목을 체계적으로 재정비하고, 한국적 특수상황에 맞는 새로운 항목을 개발함과 동시에, 이를 국제 협력 연구진(University of Chicago의 T. Clark 교수, 日本 明...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21169
-
200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존 FAUI 프로젝트의 조사항목을 체계적으로 재정비하고, 한국적 특수상황에 맞는 새로운 항목을 개발함과 동시에, 이를 국제 협력 연구진(University of Chicago의 T. Clark 교수, 日本 明...
본 연구는 기존 FAUI 프로젝트의 조사항목을 체계적으로 재정비하고, 한국적 특수상황에 맞는 새로운 항목을 개발함과 동시에, 이를 국제 협력 연구진(University of Chicago의 T. Clark 교수, 日本 明治大學의 Nakamura Akira 교수 등)에게 피드백을 거치게 함으로써 지금까지 진행되었던 지방정부의 혁신역량에 관한 국제비교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자 시도되었다. 즉, 지방정부의 혁신역량의 개념화 작업과 구체적 지표 구성을 통해 실증적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지방정부의 역량강화 방안의 모색과 지방정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지향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방정부의 혁신역량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는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혁신역량에 대한 기초연구를 다지고 이를 통하여 국가간의 비교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혁신역량 강화방안을 찾는데 있는 바, 이러한 연구 목적 하에 진행된 연구내용 및 결과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역량 개념화 연구
□ 역량측정 모형 개발
□ 역량 측정지표 개발
□ 역량과 사회과학 이론 등 인접학문과의 연계연구
□ 역량 연구범위의 확장 및 실증분석
이 연구는 국제적 혁신 역량 비교를 통한 지방정부간 경쟁력 강화, 자립형 지방정부를 위한 중앙정부의 지방분권정책 개발, 그리고 국제적 비교기준을 통한 우리나라의 지방정부 혁신성의 좌표 설정 등의 실천적 기여와 지방자치단체 혁신역량에 관한 일반이론 개발, 중앙-지방정부-시민사회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일반이론 개발,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의 공개를 통한 지방정부역량에 관한 연구 활성화 등의 학문적 기여가 기대된다. 이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역량평가 및 지도개발을 통한 교육과의 연계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국문 초록 (Abstract)
1. 지방정부의 혁신역량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2. 일본 지방정부의 혁신역량을 위한 IT정책 3. 지방정부의 혁신역량에 관한 지표개발 4. 지방정부의 역량과 혁신제도의 활용 5. 지방정...
1. 지방정부의 혁신역량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2. 일본 지방정부의 혁신역량을 위한 IT정책
3. 지방정부의 혁신역량에 관한 지표개발
4. 지방정부의 역량과 혁신제도의 활용
5. 지방정부의 혁신을 위한 역량강화 방안 - 전라남도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6. 사회적 자본이 지방정부 외부역량에 미치는 영향 - 성남시 사례를 중심으로 -
7. 지방정부 정책결정자의 정당, 정치이념, 정책선호와의 관계
8. 지방정부의 역량에 관한 개념화 연구
9. 신정치문화(NPC)와 단체장의 신정치문화(NPC)적 성향분석
10. Empirical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Financial Capacity Focusing on Financial Index Analysis
11. 전자민주주의와 지방자치 역량: 기초자치단체의 홈페이지 분석
12. 지방정부 역량과 자치구의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 서울시 12개 자치구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13. 지방정부 역량과 단체장 역량과의 관계성 - 민선 10년 지방자치 실시 이후의 자치구와 시를 중심으로 -
14. 지방의 혁신과 어매니티정치문화: 엔터테인먼트 기구로서의 지방정부
15. 지방정부혁신역량 구조화 모델 : 기든스(A. Giddens)의 구조화 이론을 적용하여
16. 방폐장입지선정과 지방정부의 역량: 부안 위도 사례를 중심으로
17. 지방정부 정책행위자의 참여혁신 지지도 분석: 인식, 의지, 제도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