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三國遺事에 보이는 가야 관련 전승의 역사적 이해와 그 접근 방향을 모색하였다. 三國遺事는 가야를 여러 개의 독립적인 정치체로 인식했다. 일연은 「왕력」편에 삼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37067
문창로 (국민대학교)
2023
Korean
'Samgukyusa' ; Garakgukgi ; King Su-ro ; Heo Hwang-ok ; Founding myth ; '삼국유사' ; 가락국기 ; 수로왕 ; 허황옥 ; 건국 신화
KCI등재
학술저널
31-66(3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三國遺事에 보이는 가야 관련 전승의 역사적 이해와 그 접근 방향을 모색하였다. 三國遺事는 가야를 여러 개의 독립적인 정치체로 인식했다. 일연은 「왕력」편에 삼국�...
본고는 三國遺事에 보이는 가야 관련 전승의 역사적 이해와 그 접근 방향을 모색하였다. 三國遺事는 가야를 여러 개의 독립적인 정치체로 인식했다. 일연은 「왕력」편에 삼국과 함께 ‘가락’을 설정하고 「기이」편에는 현재 전하지 않는 (원본) 가락국기를 간추려 ‘駕洛國記’조를 실었다. 이는 종전 삼국 중심의 고대사 인식 범위와 체계를 가야사까지 확장하여 보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가락국기’의 명칭은 대부분 나라 이름을 사용한 「기이」편의 다른 항목과 달리 책 이름으로 되었는데 편찬 당시 확보할 수 있는 관련 자료의 한계에서 비롯한 것으로 추정된다.
‘가락국기’에 전하는 건국 신화의 줄거리는 일정한 역사성을 반영한 것으로 가락국의 기원과 정체성을 알리며, 首露王을 세우고 ‘大駕洛’이라고 한 것은 가야 여러 나라 가운데 큰 세력이라는 자존 의식이 투영된 것으로 보인다. 건국 신화는 오랜 기간에 걸쳐 여러 전승이 더해져서 점차 후대의 관념에 윤색되어 전한다. 수로와 脫解의 술법 겨루기와 아유타국 공주를 왕후로 맞는 혼인담은 수로 시조 전승에 결합하여 시조 왕의 신성성을 부각하려는 의도에 부합한다. 그 안에는 수로왕 등장 이전 선주 세력이었던 9간의 시조 전승과 나머지 5가야 건국 신화 등도 얽혀진 것으로 이해된다. 수로 전승은 뒷날 유교 문화와 연관되어 중국 고대의 전설상 聖帝 권위를 빌렸으며, 허왕후 관련 전승은 불교의 권위를 끌어와 신성화 관념을 모색하였다. 또 후대 역사적 인식의 산물이라 할 수 있는 ‘5가야’조와 ‘가락국기’조의 내용으로 가야의 세력범위를 논하는 것은 사실상 무의미할 수 있다.
‘5가야’조는 가야를 구성하는 여러 개의 정치체가 다섯 혹은 여섯으로 서로 다르게 인식한 원전 기록인 가락기의 ‘贊’과 本朝史略을 모두 전한다. 가락기의 ‘찬’은 ‘가락국기’에 실린 ‘銘’, 그리고 본조사략은 李齊賢이 편찬한 史略일 가능성이 크다. 지금주사 金良鎰이 지은 ‘명’은 수로왕 건국에 대한 개인적 축송을 목적으로 찬술했을 법하다. 그 뒤 ‘금관지주사 문인’은 (원본) 가락국기를 편찬하면서 ‘명’의 내용에 수로왕 이후 역사를 추가 보완하였고, 일연은 이를 간추려 ‘가락국기’조를 찬술한 것으로 보인다.
‘가락국기’조의 유일한 인용서목인 ‘開皇曆(錄)’은 고려 건국 시기 수로왕 직계 후손 집안에서 편찬한 가락국 역사서로 짐작된다. 개황력에는 신라가 법흥왕 19년에 가락국을 합병했다고 전하는데, 그 뒤 일연은 ‘가락국기’에서 신라 진흥왕 23년에 가락국이 멸망한 사실을 추가하였다. 이는 신라에 자진 합병한 사실을 꺼렸던 가락 왕손이 대가야 멸망 시기를 의도적으로 인용한 (원본) 가락국기에서 비롯한 것으로 이해된다.
‘가락국기’의 허왕후 전승은 수로 전승보다 뚜렷하게 불교 신앙으로 신성화된 모습을 전한다. 그리고 ‘王后寺’ 건립 전승과 함께 ‘金官城婆娑石塔’에서 허황옥이 가져온 파사석탑 기록은 후대에 건국 신화에 덧붙여진 것으로 불교적 윤색에 따른 결과다. ‘魚山佛影’에서 만어산 나찰녀를 교화하여 불법의 효험을 부각하는 불교적 설화에 ‘가라국’의 수로왕 탄생과 역할을 연결한 기록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들 자료는 불교 전래 이후 가락국과 불교가 결부되어 ...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승충, "한국고대사 속의 가야" 혜안 2001
2 강인구, "역주 삼국유사 2" 이회문화사 2002
3 김두진,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연구" 일조각 2014
4 이강래, "삼국유사 의 사서적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40) : 287-350, 2005
5 김주성, "삼국유사 기이편 신고찰" 한국학연구소 34 : 503-527, 2010
6 최광식, "삼국유사 1" 고려대학교출판부 2014
7 남재우, "기록으로 본 가야문화의 성격" 구결학회 (34) : 5-40, 2015
8 이영식, "가야제국사연구" 생각과 종이 2016
9 이영식, "가야사연구의 성과와 전망" 신서원 2 : 2006
10 주보돈, "가야사 이해의 기초" 주류성 2018
1 백승충, "한국고대사 속의 가야" 혜안 2001
2 강인구, "역주 삼국유사 2" 이회문화사 2002
3 김두진,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연구" 일조각 2014
4 이강래, "삼국유사 의 사서적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40) : 287-350, 2005
5 김주성, "삼국유사 기이편 신고찰" 한국학연구소 34 : 503-527, 2010
6 최광식, "삼국유사 1" 고려대학교출판부 2014
7 남재우, "기록으로 본 가야문화의 성격" 구결학회 (34) : 5-40, 2015
8 이영식, "가야제국사연구" 생각과 종이 2016
9 이영식, "가야사연구의 성과와 전망" 신서원 2 : 2006
10 주보돈, "가야사 이해의 기초" 주류성 2018
11 주보돈, "가야사 새로 읽기" 주류성 2017
12 김헌선, "가락국기의 신화학적 연구" 6 : 1998
13 김열규, "가락국기의 신화적 탐색" 5 : 2000
14 남무희, "가락국기 평전" 한국학술정보(주) 2018
15 장성진, "가락국기 <명(銘)> 고찰" 1 : 1985
16 蔡尙植, "高麗史의 諸問題" 三英社 1986
17 남재우, "駕洛國의 建國神話와 祭儀" 부산경남사학회 (67) : 31-62, 2008
18 이영식, "駕洛國記의 史書的 檢討" 가락국사적개발원 5 : 2002
19 金泰植, "駕洛國記 所載 許王后 說話의 性格" 102 : 1998
20 金杜珍, "韓國古代의 建國神話와 祭儀" 一潮閣 1999
21 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朴英社 1976
22 金泰植, "韓國上古史-연구현황과 과제" 民音社 1989
23 백승옥, "加耶諸國의 존재형태와 ‘加耶地域國家論’" 부경역사연구소 (34) : 71-104, 2014
24 白承玉, "加耶各國史硏究" 혜안 2003
25 金杜珍, "加耶 建國神話의 성립과 그 변화" 19 : 1996
26 丁仲煥, "加羅史硏究" 혜안 2000
27 李基白, "佛敎와 諸科學"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7
28 李永植, "九干社會와 駕洛國의 성립" 伽倻文化硏究院 7 : 1994
29 남동신, "三國遺事의 史書로서의 特性" 불교학연구회 16 : 45-70, 2007
30 李基白, "三國遺事의 史學史的 意義" 6 : 1973
31 李基白, "三國遺事 王歷篇의 檢討" 107 : 1985
32 주보돈, "『삼국유사』를 통해본 일연의 역사 인식" 영남문화연구원 (63) : 127-162, 2017
33 남동신,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성립사 연구 -기이(紀異)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61) : 199-240, 2019
34 유우창, "『가락국기』 편찬과 역사적 의미"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6) : 243-276, 2020
35 유우창, "『駕洛國記』에 보이는 加羅國" 부경역사연구소 (39) : 153-190, 2016
36 윤선태, "『三國遺事』의 後人夾註에 대한 再檢討" 한국고대사학회 (78) : 357-385, 2015
37 남무희, "「삼국유사」 「왕력」과 「가락국기」・「오가야」조의 상관 관계" 29 : 2020
38 안홍좌, "「가락국기」로 본 가락국의 형성" 부경역사연구소 (48) : 73-99, 2021
39 이도학, "「駕洛國記」와 ‘6伽耶’ 성립 배경 검증" 호남사학회 (83) : 5-34, 2021
40 문창로, "‘변한과 가야’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고대사학회 (89) : 41-96, 2018
41 문창로, "‘韓國 古代 建國神話’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학연구소 42 : 55-96, 2014
조성환의 국외 독립운동 –중국 관내 지역 활동을 중심으로
‘명기(明器)’의 개념과 연원 고찰 -중국 삼대(三代)에서 송대(宋代)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