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수산물 김치의 발효과정 중 정미성분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618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proximate compounds, reducing sugar, organic acid, ATP and related compounds, and free amino acid) of beachu kimchi (BK) with octopus, abalong, squid and webfoot octopu...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proximate compounds, reducing sugar, organic acid, ATP and related compounds, and free amino acid) of beachu kimchi (BK) with octopus, abalong, squid and webfoot octopus added during its storage at 4℃ for 35 days.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seafood Kimchi, 1.98~3.41%,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K. The organic acid level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the four kinds of seafood during their fermentation, and their malate and succinate contents decreased while their lactate content increased. The levels of the ATP and related compound substances of the hypoxanthine contents were high but decreased during their fermentation. However, 3.40 μmol/g of IMP was detected in the Kimchi with octopus added; 0.67 μmol/g in the Kimchi with abalone added; and 1.80 μmol/g in the Kimchi with squid added after they were fermented for 21 das, but the same were not detected in the BK. The taurine and γ-amino-n-butyric acid contents of the free amino acids in the seafood Kimchi were approximately two to 10 times and 1.5 to three times higher than in the BK, respectiv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oo-Yeong Park, "홍해삼 첨가 김치의 저장기간 중 품질 특성 및 기호도 변화"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5 (55): 135-140, 2012

      2 이영재, "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의 연령에 따른 육과 내장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849-860, 2009

      3 김학렬, "전복(Haliotis discus hannai) 추출물의 혈압강하, 항산화능 및 항혈전능에 대한 in vitro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835-840, 2006

      4 이상진, "시중 유통 막걸리의 유기산 조성과 생리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3 (43): 206-212, 2011

      5 장미순, "수산물을 첨가한 배추김치의 영양성분 분석"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535-545, 2011

      6 우민지, "수산물 첨가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및 관능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771-1777, 2012

      7 이혜영, "산 및 열처리에 따른 오징어의 이화학적 특성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539-549, 2012

      8 류근영,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일반성분 및 맛 성분의 계절별 변화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069-1075, 2009

      9 장미순, "북어국물과 감초국물을 사용한 전복물김치의 발효특성 및 영양성분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44 (44): 613-620, 2012

      10 구경형, "부재료가 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267-276, 2005

      1 Soo-Yeong Park, "홍해삼 첨가 김치의 저장기간 중 품질 특성 및 기호도 변화"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5 (55): 135-140, 2012

      2 이영재, "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의 연령에 따른 육과 내장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849-860, 2009

      3 김학렬, "전복(Haliotis discus hannai) 추출물의 혈압강하, 항산화능 및 항혈전능에 대한 in vitro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835-840, 2006

      4 이상진, "시중 유통 막걸리의 유기산 조성과 생리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3 (43): 206-212, 2011

      5 장미순, "수산물을 첨가한 배추김치의 영양성분 분석"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535-545, 2011

      6 우민지, "수산물 첨가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및 관능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771-1777, 2012

      7 이혜영, "산 및 열처리에 따른 오징어의 이화학적 특성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539-549, 2012

      8 류근영,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일반성분 및 맛 성분의 계절별 변화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069-1075, 2009

      9 장미순, "북어국물과 감초국물을 사용한 전복물김치의 발효특성 및 영양성분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44 (44): 613-620, 2012

      10 구경형, "부재료가 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267-276, 2005

      11 이윤미, "배추김치의 dichloromethane 획분으로부터 항산화 물질의 분리 및 동정" 한국식품과학회 36 (36): 129-133, 2004

      12 정용진, "발아현미 추출물 첨가 배추김치와 시판배추김치의 품질특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789-795, 2006

      13 성정민, "반건조 고추의 씨함량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 (15): 427-436, 2008

      14 배명숙, "미더덕을 첨가한 김치의 발효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573-579, 2008

      15 성정민, "명태를 첨가한 김치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772-781, 2009

      16 김수영, "김치에서 항균활성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한국식품과학회 43 (43): 446-452, 2011

      17 유미희,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항고혈압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1 (41): 428-434, 2009

      18 공연희, "김치를 이용한 타블렛 조성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흰쥐의 비만 억제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529-1536, 2007

      19 전혜년, "김치 용매획분이 고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토끼의 심장, 신장 및 폐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250-255, 2003

      20 차용준, "김장김치 담금시 부재료 특성 및 지역별 기호도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555-561, 2003

      21 정복미, "굴 패각 가루와 함초 가루를 첨가하여 제조한 갓김치의 품질특성과 저장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6 (26): 188-197, 2010

      22 김순동, "과메기 첨가 김치의 숙성과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4 (14): 526-530, 2007

      23 이현아, "감태 첨가가 배추김치의 숙성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83-88, 2013

      24 Mil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31 : 426-428, 1959

      25 Chung SY, "The taste Compounds in Fermented Entrails of Trepang Stichopus Japonicus" 10 : 1-16, 1981

      26 Donald AV, "The biochemical basis for the conjugation of bile acids with either glycine or taurine" 174 : 621-626, 1978

      27 Okezie IA, "The antioxidant action of taurine, hypotaurine and their metabolic precursors" 256 : 251-255, 1988

      28 Lourenco R, "Taurine: a conditionally essential amiacid in humans? an overview in health and disease" 17 : 262-270, 2002

      29 Kim JI, "Studies on identification and composition of nucleosides from mustard leaf and mustard leaf Kimchi" 29 : 796-801, 2000

      30 Jeong ST, "Quality characteristics of winter chinese cabbage and changes of quality during the Kimchi fermentation" 6 : 179-183, 1999

      31 Kim YJ, "Physiological Properties of Kimchi" 4 : 59-65, 1999

      32 Ryu BM,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nchovy added Kimchi" 25 : 460-469, 1996

      33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5

      34 Alan WB, "Metabolism and functions of gamma-aminobutyric acid" 115 : 446-452, 1997

      35 Irving HF, "Metabolic basis for disorders of purine nucleotide degradation" 30 : 616-634, 1981

      36 배미옥, "GABA 생성능 우수 김치 젖산균 Lactobacillus sp. OPK2-59의 간 기능 개선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499-1505, 2009

      37 Passi S, "Fatty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nt levels in muscle tissue of different Mediterranean marine species of fish and shellfish" 50 : 7314-7322, 2002

      38 Chung HJ, Jang SH, Cho HY, Lim ST, "Effects of steeping and anaerobic treatment on GABA (gamma-aminobutyric acid) content in germinated waxy hull-less barley" 42 : 1712-1716, 2009

      39 Park IK, "Effect of organic acid addition during salting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6 : 195-204, 1996

      40 Park TS, "Effect of dietary protein, taurine on cysteine catabolism in cat liver" 29 : 729-737, 1996

      41 Lee OH, "Effect of Cooked glutinous rice flour and soused shrimp on the changes of free amino acid, total vitamin C and ascorbic acid contents during Kimchi fermentation" 10 : 225-231, 1994

      42 Chung SY, "Compositions in amino acids and nucleotides of fermented entrails of yellow yorvina" 13 : 285-290, 1984

      43 Ha KH,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ale juice" 11 : 1-5, 1998

      44 Moon YJ, "Characterization of biological chemistry from over ripened Kimchi" 14 : 512-520, 2001

      45 Park SK, "Changes in the contents of sugar, organic acid, free amino acid and nucleic acid-related compounds during fermentation of leaf mustard-Kimchi" 24 : 48-53, 1995

      46 Gideon B, "Calmodulin binding to glutamate decarboxylase is required for regulation of glutamate and GABA metabolism and normal development in plants" 15 : 2988-2996, 1996

      47 Venugopal V, "Biosensors in fish production and quality control" 17 : 147-157, 2002

      48 Zhoua DY, "Antioxidant activity of hydrolysates obtained from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an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muscle" 132 : 815-822, 2012

      49 Cho SM,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of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 salted foods (Kimchi and Watery Kimchi)" 10 : 155-155, 2005

      50 Kim EM, "A study on the housewives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seafoods and fermented seafoods add Kimchi" 13 : 19-26, 1998

      51 Park KY, "A study on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s and crude fiber in Kimchi ingredients and Kimchi" 25 : 69-75, 1996

      52 Moon GS, "A Study of traditional Kimchi in Pusan and near Pusan area" 12 : 74-81,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0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3-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 1.63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