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국인투자자의 투자성향에 따라 조세혜택이 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지는가? = Does the impact of tax benefits on investment depend on the investment orientation of foreign inves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28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tax benefits on corporate investment expenditure depends on the investment propensity of foreign investors. As a result of the currency crisis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internal reserves of Korean companies have increased, and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tax policies in order to induce internal reserves to flow out through investment and dividends. However, many examples and empirical studies show that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tax cuts for investment stimulus is questionable. In this situation, to ensure that disposable income from tax cuts can be invested in investments with positive net present value (NPV) that can increase corporate value, factors affecting decision-making about disposable income should be identifi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investment propensity of foreign investors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rocess of disposable income resulting from tax benefits leading to investment. Investment propensity of foreign investors can be measured in various ways. In this study, we define foreign direct investors as companion investors who value long-term corporate performance and foreign indirect investment is defined as foreign investor with short-term investment tendenc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foreign direct investors will have a discriminative effect compared to foreign indirect investors in the process of disposable income resulting from tax benefits leading to investment.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tax benefi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irms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investment expenditures and the tax benefi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irms have more impact on investment expenditure than the tax benefits of foreign indirect investment compani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cess leading to investment when establishing tax support policies for investment revitaliz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tax benefits on corporate investment expenditure depends on the investment propensity of foreign investors. As a result of the currency crisis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internal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tax benefits on corporate investment expenditure depends on the investment propensity of foreign investors. As a result of the currency crisis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internal reserves of Korean companies have increased, and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tax policies in order to induce internal reserves to flow out through investment and dividends. However, many examples and empirical studies show that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tax cuts for investment stimulus is questionable. In this situation, to ensure that disposable income from tax cuts can be invested in investments with positive net present value (NPV) that can increase corporate value, factors affecting decision-making about disposable income should be identifi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investment propensity of foreign investors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rocess of disposable income resulting from tax benefits leading to investment. Investment propensity of foreign investors can be measured in various ways. In this study, we define foreign direct investors as companion investors who value long-term corporate performance and foreign indirect investment is defined as foreign investor with short-term investment tendenc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foreign direct investors will have a discriminative effect compared to foreign indirect investors in the process of disposable income resulting from tax benefits leading to investment.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tax benefi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irms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investment expenditures and the tax benefi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irms have more impact on investment expenditure than the tax benefits of foreign indirect investment compani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cess leading to investment when establishing tax support policies for investment revitaliz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투자자의 투자성향을 외국인직접투자기업과 외국인간접투자기업으로 구분하여 감세정책으로 인한 기업의 증가된 가처분소득을 처분하는 의사결정에 외국인직접투자자가 외국인간접투자자와 비교하여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우리나라 기업들의 내부유보금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정부에서는 각종 조세정책을 통하여 기업의 내부유보금을 투자, 배당 등의 방식으로 외부에 유출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특히 기업의 투자를 유도하는 조세정책이 지금까지 꾸준히 시행되어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많은 사례와 실증적 연구들의 결과를 살펴보면 투자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감세정책의 실효성에는 많은 의문이 제기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세정책으로 인한 기업의 가처분소득이 기업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양(+)의 순현재가치를 가지는 투자안에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가처분소득을 처분하는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세혜택으로 인한 가처분소득의 증대가 투자확대로 이어지는 과정의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기업의 소유구조, 특히 외국인투자자의 투자성향에 초점을 맞추어 검증하고자 한다. 외국인투자자의 투자성향을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직접투자자를 장기적인 기업의 성과를 중요시하는 동반자적 투자자로 외국인간접투자자를 단기적 투자성향을 가진 외국인투자자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감세정책으로 인한 기업의 증가된 가처분소득을 처분하는 의사결정에 외국인직접투자자가 외국인간접투자자와 비교하여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증분석결과,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조세혜택이 기업투자지출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외국인간접투자기업의 조세혜택이 투자지출에 미치는 영향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투자활성화를 위한 조세지원정책을 제정할 때 투자로 이어지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자본유입, 기술이전, 고용창출 등을 통한 국내 산업발전을 도모하고자 외국인직접투자 유치를 위해 지속적이고 다각적인 정책(조세지원 등)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특성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외국인직접투자자가 장기적인 기업의 성과를 중요시하는 동반자적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투자자의 투자성향을 외국인직접투자기업과 외국인간접투자기업으로 구분하여 감세정책으로 인한 기업의 증가된 가처분소득을 처분하는 의사결정에 외국인직접...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투자자의 투자성향을 외국인직접투자기업과 외국인간접투자기업으로 구분하여 감세정책으로 인한 기업의 증가된 가처분소득을 처분하는 의사결정에 외국인직접투자자가 외국인간접투자자와 비교하여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우리나라 기업들의 내부유보금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정부에서는 각종 조세정책을 통하여 기업의 내부유보금을 투자, 배당 등의 방식으로 외부에 유출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특히 기업의 투자를 유도하는 조세정책이 지금까지 꾸준히 시행되어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많은 사례와 실증적 연구들의 결과를 살펴보면 투자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감세정책의 실효성에는 많은 의문이 제기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세정책으로 인한 기업의 가처분소득이 기업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양(+)의 순현재가치를 가지는 투자안에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가처분소득을 처분하는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세혜택으로 인한 가처분소득의 증대가 투자확대로 이어지는 과정의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기업의 소유구조, 특히 외국인투자자의 투자성향에 초점을 맞추어 검증하고자 한다. 외국인투자자의 투자성향을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직접투자자를 장기적인 기업의 성과를 중요시하는 동반자적 투자자로 외국인간접투자자를 단기적 투자성향을 가진 외국인투자자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감세정책으로 인한 기업의 증가된 가처분소득을 처분하는 의사결정에 외국인직접투자자가 외국인간접투자자와 비교하여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증분석결과,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조세혜택이 기업투자지출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외국인간접투자기업의 조세혜택이 투자지출에 미치는 영향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투자활성화를 위한 조세지원정책을 제정할 때 투자로 이어지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자본유입, 기술이전, 고용창출 등을 통한 국내 산업발전을 도모하고자 외국인직접투자 유치를 위해 지속적이고 다각적인 정책(조세지원 등)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특성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외국인직접투자자가 장기적인 기업의 성과를 중요시하는 동반자적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원섭, "코스닥기업의 외국인투자와 배당에 대한 연구" 한국세무학회 12 (12): 345-374, 2011

      2 이태정, "조세혜택 및 세율인하가 기업투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21 (21): 329-354, 2006

      3 이균봉, "조세혜택 및 법인세율인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1 (21): 37-64, 2008

      4 김성민, "외국인투자자의 투자기간과 기업의 배당정책" 한국증권학회 41 (41): 781-812, 2012

      5 설원식, "외국인투자자가 기업의 배당에 미치는 영향" 한국증권학회 35 (35): 1-40, 2006

      6 박상용, "외국인주주와 기업의 배당결정"

      7 박현수, "외국인주식투자가 국내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삼성경제연구소 2004

      8 정석윤, "외국인 투자자의 투자성향과 정보비대칭" 한국국제회계학회 (68) : 71-101, 2016

      9 김아리, "외국인 투자자 유형과 기업의 배당 및 투자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전략경영학회 11 (11): 25-42, 2008

      10 오원선, "법인세율 및 자본비용의 변화가 기업규모별 자본투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소기업학회 25 (25): 75-102, 2003

      1 정원섭, "코스닥기업의 외국인투자와 배당에 대한 연구" 한국세무학회 12 (12): 345-374, 2011

      2 이태정, "조세혜택 및 세율인하가 기업투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21 (21): 329-354, 2006

      3 이균봉, "조세혜택 및 법인세율인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1 (21): 37-64, 2008

      4 김성민, "외국인투자자의 투자기간과 기업의 배당정책" 한국증권학회 41 (41): 781-812, 2012

      5 설원식, "외국인투자자가 기업의 배당에 미치는 영향" 한국증권학회 35 (35): 1-40, 2006

      6 박상용, "외국인주주와 기업의 배당결정"

      7 박현수, "외국인주식투자가 국내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삼성경제연구소 2004

      8 정석윤, "외국인 투자자의 투자성향과 정보비대칭" 한국국제회계학회 (68) : 71-101, 2016

      9 김아리, "외국인 투자자 유형과 기업의 배당 및 투자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전략경영학회 11 (11): 25-42, 2008

      10 오원선, "법인세율 및 자본비용의 변화가 기업규모별 자본투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소기업학회 25 (25): 75-102, 2003

      11 이윤재, "법인세 인하가 기업투자를 촉진시키는가?-한국기업을 중심으로 1986~1997" 111-128, 2004

      12 이준구, "미국의 감세정책 실험" 51 (51): 207-261, 2012

      13 김연용, "교육훈련비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재무적 특성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17 (17): 2309-2321, 2004

      14 박종국, "과연 조세혜택은 기업의 투자를 유발하는가?" 한국경영사학회 24 (24): 169-212, 2009

      15 박종국, "경제환경변화에 따른 재량적원가의 지출행태와 결정요인분석에 관한연구" 2006

      16 King, Mervin, "The Taxation of Income from Capita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4

      17 Hall, Robert E., "Tax Policy and Investment Behavior" 57 : 391-414, 1967

      18 Wilkie, P., "Measuring Explicit Tax(Dis)Advantage for Corporate Taxpayers : An Alternative to Average Effective Tax Rates" 15 : 46-71, 1993

      19 Borensztein, E., "How does foreign direct investment affect economic growth?" 45 : 115-135, 1998

      20 Gilchrist, S., "Evidence on the Role of Cash Flow for Investment" 36 : 541-572, 1995

      21 Wilkie, P. J., "Empirical Evidence of Implicit Taxes in the Corporate Sector" 14 : 97-116, 1992

      22 Blomstrom, M., "Convergence and Productivity:Gross-National Studies and Historical Evid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46-262, 1994

      23 Black, E. L., "Capital Investment Effects of Dividend Imputation" 122 : 40-59, 2000

      24 Friedman, J., "A Permanent Corporate Tax Rate Cut: The Wrong Medicine for Short – Term Economic ills" Center on Budget and Policy Priorities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75 1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