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가 수행하는 일련의 평가절차에 대한 의사결정의 해석틀로써 작용하기 때문에 특히 교사로서의 신념을 계발하기 시작하는 교사교육에서 교사의 평가인식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003461
2020
Korean
374
KCI등재
학술저널
129-148(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가 수행하는 일련의 평가절차에 대한 의사결정의 해석틀로써 작용하기 때문에 특히 교사로서의 신념을 계발하기 시작하는 교사교육에서 교사의 평가인식 ...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가 수행하는 일련의 평가절차에 대한 의사결정의 해석틀로써
작용하기 때문에 특히 교사로서의 신념을 계발하기 시작하는 교사교육에서 교사의 평가인식 양상이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의 주된 목적인 학습을 위한 평가인식에
주목하여, 초등 예비교사와 중등 예비교사 간의 ‘학습향상’ 평가인식 수준을 파악하고, 형성적 평가
경험과 숙달목표가 평가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형성적 평가 경험에는
피드백의 경험, 피드백 질, 피드백 활용을 포함하였다. 분석대상은 충청 및 경상권 소재의 6개
교원양성기관에 재학 중인 초·중등 예비교사 총 557명이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등 및 중등 예비교사의 학습향상 평가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다집단
구조모형 분석 결과, 교원양성기관 유형과 상관없이 예비교사가 경험한 형성적 피드백은 피드백 질과
숙달목표에 정적효과를 보였으며, 피드백 질을 높게 지각하거나 숙달목표가 높을수록 피드백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편 형성적 피드백 자체는 학습향상 평가인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피드백 질과 피드백 활용, 숙달목표와 피드백 활용을 통한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의 긍정적인 평가인식 발달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평가인식의
영향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pre-service teachers’ formative assessment experience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with their conceptions of assessment. Especially, the improvement conception which is regarded as a c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pre-service teachers’
formative assessment experience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with their conceptions of
assessment. Especially, the improvement conception which is regarded as a core feature
of ‘Assessment for Learning(AfL)’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with its antecedent
variables such as formative assessment experience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were
scrutin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data collected from
a sampl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N = 557) from teachers’ colleges
located in four districts of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y the latent mean analysis,
the conception of assessment for learn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Seco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improvement conception and its antecedent variables were
equivalent across the two groups. Thirdly, the formative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feedback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while it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improvement conception. The effects of the three mediating variables
such as the quality of feedback, use of feedback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between the
formative feedback and the improvement concep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positive conceptions of
assessment were discussed and this paper concludes with importance of the formative
assessment experience for per-service teachers’s conceptions and practi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정,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태도 차이 분석" 교육연구원 32 (32): 183-196, 2016
2 이주화,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 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311-326, 2005
3 박민애, "초등학생이 지각한 형성적 피드백과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초등교육학회 33 (33): 1-23, 2020
4 유수정, "초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피드백지향성과 피드백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교사-학생관계의 조절효과" 경북대학교 2019
5 강대중, "초등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실태 분석" 교육연구소 25 (25): 401-413, 2019
6 박정, "초등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15-33, 2013
7 고은성,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교과에서의 평가에 대한 인식" 대한수학교육학회 18 (18): 61-83, 2016
8 윤지현, "초등 예비 교사의 구성주의적 과학 평가관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9 (29): 86-92, 2010
9 안희상, "초·중등학교의 학교풍토와 교사의 피드백 인식이 피드백 실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30 (30): 445-465, 2017
10 손원숙,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 잠재프로파일 분석 : 피드백 경험과 성취목표와의 관계" 한국교육평가학회 32 (32): 375-395, 2019
1 김민정,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태도 차이 분석" 교육연구원 32 (32): 183-196, 2016
2 이주화,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 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311-326, 2005
3 박민애, "초등학생이 지각한 형성적 피드백과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초등교육학회 33 (33): 1-23, 2020
4 유수정, "초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피드백지향성과 피드백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교사-학생관계의 조절효과" 경북대학교 2019
5 강대중, "초등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실태 분석" 교육연구소 25 (25): 401-413, 2019
6 박정, "초등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15-33, 2013
7 고은성,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교과에서의 평가에 대한 인식" 대한수학교육학회 18 (18): 61-83, 2016
8 윤지현, "초등 예비 교사의 구성주의적 과학 평가관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9 (29): 86-92, 2010
9 안희상, "초·중등학교의 학교풍토와 교사의 피드백 인식이 피드백 실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30 (30): 445-465, 2017
10 손원숙,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 잠재프로파일 분석 : 피드백 경험과 성취목표와의 관계" 한국교육평가학회 32 (32): 375-395, 2019
11 손원숙, "중등 예비교사용 평가인식 척도 타당화 및 지각된 피드백 환경과 평가전문성과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33 (33): 23-48, 2020
12 김신영,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과 교육실습의 효과"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79-97, 2008
13 최윤진, "예비교사들의 교직 정체성 형성과정: 공교육과 사교육 경험의 성찰과 재구성" 한국교육학회 55 (55): 77-115, 2017
14 허은정, "예비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1 (51): 1-25, 2013
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업과 연계한 과정 중심 평가, 어떻게 할까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16 김효원, "성취목표지향성과 수행피드백 제공방식이 대학생의 수업참여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443-466, 2014
17 김수영,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 mplus 예제와 함께" 학지사 2016
18 지은림, "교사의 형성평가 피드백 수행 척도 개발 및 타당화-Rasch 모형의 적용-" 한국교육평가학회 23 (23): 79-100, 2010
19 노현종, "교사의 숙제 피드백이 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과제가치,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28 (28): 879-902, 2015
20 임은영, "교사별 학생평가 도입을 위한 학교단위 학생평가 실태 및 교사별 학생평가 인식 조사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75-104, 2018
21 반재천,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05-130, 2018
22 Pat-El, R. J., "Validation of assessment for learning questionnaire for teachers and students" 83 (83): 98-113, 2013
23 Barnes, N., "U. S. teachers’ conceptions of the purposes of assessment" 65 : 107-116, 2017
24 Steelman, L. A., "The feedback environment scale : construct definition, measurement, and validation" 64 (64): 165-184, 2004
25 Hattie, J., "The Power of Feedback" 77 (77): 81-112, 2007
26 Brown, G. T. L., "Teachers’ conceptions of assessment: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11 (11): 301-318, 2004
27 Pajares, M. F.,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62 (62): 307-332, 1992
28 Brown, G. T. L., "Teacher beliefs about feedback within an assessment for learning environment : Endorsement of improved learning over student well-bing" 28 (28): 968-978, 2012
29 Xu, Y., "Teacher assessment literacy in practice : A reconceptualization" 47 : 149-162, 2016
30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rlbaum 1988
31 Fives, H., "Spring cleaning for the “messy” construct of teachers’beliefs: What are they? Which have been examined? What can they tell us" 2 : 471-499, 2012
32 Brown, G. T. L., "Self-regulation of assessment beliefs and attitudes : A review of the Students’ Conceptions of Assessment inventory" 31 (31): 731-748, 2011
33 Looney, A., "Reconceptualising the role of teachers as assessors: Teacher assessment identity" 25 (25): 442-467, 2017
34 박민애, "Rasch 평정척도모형을 통한 학습을 위한 평가 척도(AFL-Q)의 단축형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평가학회 31 (31): 411-434, 2018
35 Hollingsworth, S., "Prior beliefs and cognitive change in learning to teach" 26 : 160-189, 1989
36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ublications 2015
37 Remesal, A.,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conceptions of assessment : A qualitative study" 27 (27): 472-482, 2011
38 Ogan-Bekiroglu, F., "Pre-service teachers’ assessment literacy and its implementation into practice" 25 (25): 344-371, 2014
39 Muthén, L. K., "Mplus user’s guide" Muthén & Muthén 2017
40 Schunk, D. H.,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Prentice Hall 2008
41 Gibbs, G., "Measuring the response of students to assessment: the Assessment Experience Questionnaire" 2003
42 Brookhart, S. M., "How to give effective feedback to your student"
43 Hill, M. F., "Handbook of human and social conditions in assessment" Routledge 103-128, 2016
44 London, M., "Feedback orientation, feedback culture, and the longitudinal 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12 (12): 81-100, 2002
45 O’Quin, C. R., "Feedback for students: What do teachers believe?" the Consortium of Southeastern Louisiana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Louisiana Lafayette 2009
46 Fletcher, R. B., "Faculty and students’ conceptions of 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64 (64): 119-133, 2012
47 Cheung, G. W.,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9 (9): 233-255, 2002
48 Smith, L. F., "Designing assessment for quality learning" 303-323, 2014
49 Ilgen, D. R., "Consequences of individual feedback on behavior in organizations" 64 (64): 349-971, 1979
50 Remesal, A., "Conceptions of assessment when the teaching context and learner population matter : Compulsory school versus non-compulsory adult education contexts" 30 (30): 331-347, 2015
51 James, M., "Beyond method : Assessment and learning practices and values" 17 (17): 109-138, 2006
52 S. Earl Irving, "'One assessment doesn't serve all the purposes' or does it? New Zealand teachers describe assessment and feedback" 교육연구소 12 (12): 413-426, 2011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OECD Education 2030 역량 반영 양상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탐구실험」이 고등학생의 과학 및 일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12-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1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77 | 1.353 | 0.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