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로 촉진된 글로벌 대변혁과 중국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 The Great Changes Facilitated by COVID-19 and China’s Digital Transform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40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VID-19’s global pandemic is a product of globalization, but it is also an important driver and accelerator that deepen deglobalization.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recent COVID-19 crisis have revealed the vulnerability of the global value chain, which has linked various economic activities through division of labor and cooperation between production and consumer actors across borders. Even under such circumstances, it may be practically impossible for the global production network to collapse or for a global or regional production network to exclude or marginalize China.
      Starting with these two assumptions, I predict various scenario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current global revolution and China’s response to it.
      The digital transformation, which has functioned as a driving force to accelerate globalization due to its hyper-connectivity, is now an important means to promote deglobalization. Digital technology has become a key tool to strengthen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countries.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functions as a booster that explosively accelerates digital transformation, with globalization as an action and deglobalization as a reaction force in terms of physics. I analyze how the global transformation is being facilitated by the COVID-19 and how China's digital transformation is unfolding in response.
      The huge global change caused by COVID-19 poses a threat to every country on the planet, but it is also proving to be a strategic opportunity depending on how one responds to it. I analyze and forecast the future direction with a focus on the process of China’s reset of global production network and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to which the Chinese government is actively responding at the national level, recognizing the current crisis as a strategic opportunity. Based on such analysis and predictions, furthermore, I suggest South Korea's practical response strategy and measures to promote the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for new changes, In conclusion, I also emphasize that it is important for South Korea to subjectively interpret the ongoing global change and set up the direction of change.
      번역하기

      COVID-19’s global pandemic is a product of globalization, but it is also an important driver and accelerator that deepen deglobalization.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recent COVID-19 crisis have revealed the vulnerability of the global v...

      COVID-19’s global pandemic is a product of globalization, but it is also an important driver and accelerator that deepen deglobalization.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recent COVID-19 crisis have revealed the vulnerability of the global value chain, which has linked various economic activities through division of labor and cooperation between production and consumer actors across borders. Even under such circumstances, it may be practically impossible for the global production network to collapse or for a global or regional production network to exclude or marginalize China.
      Starting with these two assumptions, I predict various scenario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current global revolution and China’s response to it.
      The digital transformation, which has functioned as a driving force to accelerate globalization due to its hyper-connectivity, is now an important means to promote deglobalization. Digital technology has become a key tool to strengthen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countries.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functions as a booster that explosively accelerates digital transformation, with globalization as an action and deglobalization as a reaction force in terms of physics. I analyze how the global transformation is being facilitated by the COVID-19 and how China's digital transformation is unfolding in response.
      The huge global change caused by COVID-19 poses a threat to every country on the planet, but it is also proving to be a strategic opportunity depending on how one responds to it. I analyze and forecast the future direction with a focus on the process of China’s reset of global production network and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to which the Chinese government is actively responding at the national level, recognizing the current crisis as a strategic opportunity. Based on such analysis and predictions, furthermore, I suggest South Korea's practical response strategy and measures to promote the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for new changes, In conclusion, I also emphasize that it is important for South Korea to subjectively interpret the ongoing global change and set up the direction of chan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범유행은 글로벌화의 산물이지만, 탈글로벌화를심화시키는 중요한 동인이며 촉진제이기도 하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국경을 넘어 생산·소비 주체 간 분업과 협력을 통해 다양한 경제활동을 연결해오던 글로벌 가치사슬의 취약성이 드러났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글로벌 생산망이 붕괴하거나 중국을배제·주변화하는 글로벌 또는 지역 생산망 구축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 대변혁과 그에 대응하는 중국의 반응을 분석하여 향후 전개될 다양한 시나리오를 예측한다.
      초연결성을 특징으로 글로벌화를 가속하는 동력으로 기능했던 디지털전환은 현재 탈글로벌화를 촉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국가 간 물리적 거리 두기를 강화하는 핵심 도구로 변화했다. 물리학의 원리로 보면 글로벌화가 작용, 탈글로벌화가 반작용 동력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범유행이 디지털 전환을 폭발적으로가속하는 증폭기 역할을 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촉진되고 있는 글로벌 차원의 대변혁과 이에 대한 반응으로써 중국의 디지털 전환이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코로나19가 초래한 거대한 글로벌 변화는 지구상의 모든 국가에 위협이 되고 있지만,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전략적인 기회가 되기도 한다. 중국 정부가 현재의 위기를 전략적 기회로 인식하고 국가적 차원에서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중국발 글로벌 생산망의 재조정과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고 향후 방향을 예측한다. 더 나아가그러한 분석과 예측을 바탕으로 새로운 변화에 알맞은 한국의 실천적 대응 전략 및 한·중 협력 증진 방안을 제시하면서, 현재 진행 중인 거대한글로벌 변화에 대한 주체적 해석과 변화의 방향 설정도 매우 중요함을결론적으로 강조한다.
      번역하기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범유행은 글로벌화의 산물이지만, 탈글로벌화를심화시키는 중요한 동인이며 촉진제이기도 하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국경을 넘어 생...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범유행은 글로벌화의 산물이지만, 탈글로벌화를심화시키는 중요한 동인이며 촉진제이기도 하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국경을 넘어 생산·소비 주체 간 분업과 협력을 통해 다양한 경제활동을 연결해오던 글로벌 가치사슬의 취약성이 드러났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글로벌 생산망이 붕괴하거나 중국을배제·주변화하는 글로벌 또는 지역 생산망 구축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 대변혁과 그에 대응하는 중국의 반응을 분석하여 향후 전개될 다양한 시나리오를 예측한다.
      초연결성을 특징으로 글로벌화를 가속하는 동력으로 기능했던 디지털전환은 현재 탈글로벌화를 촉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국가 간 물리적 거리 두기를 강화하는 핵심 도구로 변화했다. 물리학의 원리로 보면 글로벌화가 작용, 탈글로벌화가 반작용 동력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범유행이 디지털 전환을 폭발적으로가속하는 증폭기 역할을 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촉진되고 있는 글로벌 차원의 대변혁과 이에 대한 반응으로써 중국의 디지털 전환이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코로나19가 초래한 거대한 글로벌 변화는 지구상의 모든 국가에 위협이 되고 있지만,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전략적인 기회가 되기도 한다. 중국 정부가 현재의 위기를 전략적 기회로 인식하고 국가적 차원에서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중국발 글로벌 생산망의 재조정과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고 향후 방향을 예측한다. 더 나아가그러한 분석과 예측을 바탕으로 새로운 변화에 알맞은 한국의 실천적 대응 전략 및 한·중 협력 증진 방안을 제시하면서, 현재 진행 중인 거대한글로벌 변화에 대한 주체적 해석과 변화의 방향 설정도 매우 중요함을결론적으로 강조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경우, "중국의 사회통합 위기와 새로운 사회통합 모델 모색" 현대중국학회 10 (10): 1-46, 2008

      2 원지환, "아세안 국가의 대외무역 현황 및 향후 발전방향" (3) : 2019

      3 윤경우, "사회개혁, 공산당 사활 걸린 양날의 칼⋯우회로 모색" 14-15, 2012

      4 윤경우, "국내 의료인력 중국진출 면허정보및 수요조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9

      5 Bo Meng, "Uncovering Value Added in Trade: New Approaches to Analyzing Global Value Chains" World Scientific Publishing 113-140, 2015

      6 Larus, Elizabeth Freud, "U.S. President Obama’s China Policy: a Critical Assessment" 12 (12): 7-29, 2017

      7 WTO, "Trade in Medical Goods in the Context of Tackling COVID-19" 2020

      8 Friedman, Thomas L., "The World Is Flat : A Brief History of the Twenty-first Century" Penguin Books 2005

      9 Smith, Adam, "The Wealth of Nations" W. Strahan and T. Cadell 1776

      10 Koo, Richard C., "The Other Half of Macroeconomics and the Fate of Globalization" Wiley 2018

      1 윤경우, "중국의 사회통합 위기와 새로운 사회통합 모델 모색" 현대중국학회 10 (10): 1-46, 2008

      2 원지환, "아세안 국가의 대외무역 현황 및 향후 발전방향" (3) : 2019

      3 윤경우, "사회개혁, 공산당 사활 걸린 양날의 칼⋯우회로 모색" 14-15, 2012

      4 윤경우, "국내 의료인력 중국진출 면허정보및 수요조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9

      5 Bo Meng, "Uncovering Value Added in Trade: New Approaches to Analyzing Global Value Chains" World Scientific Publishing 113-140, 2015

      6 Larus, Elizabeth Freud, "U.S. President Obama’s China Policy: a Critical Assessment" 12 (12): 7-29, 2017

      7 WTO, "Trade in Medical Goods in the Context of Tackling COVID-19" 2020

      8 Friedman, Thomas L., "The World Is Flat : A Brief History of the Twenty-first Century" Penguin Books 2005

      9 Smith, Adam, "The Wealth of Nations" W. Strahan and T. Cadell 1776

      10 Koo, Richard C., "The Other Half of Macroeconomics and the Fate of Globalization" Wiley 2018

      11 Baldwin, Richard, "The Great Convergence: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New Globalization"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

      12 Ricard, David, "On the Principle of Political Economy and Taxation" John Murray 1817

      13 Bossche, Patrick Van den, "Kearney’s Seventh Annual Reshoring Index" Kearney 2020

      14 爱学习, "K12教育培训机构疫情影响情况调查报告" 2020

      15 Guo, Baogang, "China’s Quest for Political Legitimacy : The New Equity-Enhancing Politics" Lexington Books 2010

      16 爱学习, "2020K12教育培训机构OMO專項调硏报告"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6-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China'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Center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China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