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산지역의 부마항쟁에 관한 고찰 = 지역사회운동의 관점에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79년 10월에 발생한 부마항쟁은 한국의 민주화운동사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 본고에서는 유신체제의 부괴로 이어진 부마항쟁을 통해 당시의 시대상황을 개관하고 지역에서 발생한 사회운동으로서의 부마항쟁에 관하여 다룰 것이다.
      부마항쟁은 반정권 활동에 대한 정권의 억압이 가중되던 1970년대의 긴급조치 시대에 발생하여 1970년대 말기의 불안정한 권력 구조를 표출시킨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운동발생 초기에 주체적인 세력을 형성하였던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정치체제에 대한 인식과 불만을 고찰하고, 운동의 참가자들이 제한된 정치적 기회를 이용 혹은 역이용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단기간에 걸쳐 발생한 부마항쟁이 당시의 불안정해진 권력구조를 표면화시키고 결국 정권의 붕괴로 이어지면서 한국의 민주화운동사에서 지니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또, 본고에서는 지역사회운동의 기반이 저해된 유신체제 아래에서 지역의 학생, 시민, 노동자 등이 어우러져 발생한 부마항쟁에 관하여 지역사회운동으로서의 성격을 조명하고자 한다. 지역의 대학생들이 운동을 주도하여 시가지로 확대해가면서 일반시민이 운동에 동원되는데, 그 과정에서 운동의 수단, 방법, 장소 등 3일간 부산에서의 저항의 행태를 통해 지역적 특성에 관해 검토할 것이다. 국가구도가 아닌 지역구도의 사회운동으로서 부마항쟁의 특징을 논함으로써 부마항쟁이 부산지역 사회운동에 있어 상징적인 요소로 작용하며 현재의 지역사회운동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고 민주화 운동사에 있어서 지역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는 시도가 될 것이다.
      번역하기

      1979년 10월에 발생한 부마항쟁은 한국의 민주화운동사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 본고에서는 유신체제의 부괴로 이어진 부마항쟁을 통해 당시의 시대상황을 개관하고 지역에서 발생한 ...

      1979년 10월에 발생한 부마항쟁은 한국의 민주화운동사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 본고에서는 유신체제의 부괴로 이어진 부마항쟁을 통해 당시의 시대상황을 개관하고 지역에서 발생한 사회운동으로서의 부마항쟁에 관하여 다룰 것이다.
      부마항쟁은 반정권 활동에 대한 정권의 억압이 가중되던 1970년대의 긴급조치 시대에 발생하여 1970년대 말기의 불안정한 권력 구조를 표출시킨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운동발생 초기에 주체적인 세력을 형성하였던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정치체제에 대한 인식과 불만을 고찰하고, 운동의 참가자들이 제한된 정치적 기회를 이용 혹은 역이용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단기간에 걸쳐 발생한 부마항쟁이 당시의 불안정해진 권력구조를 표면화시키고 결국 정권의 붕괴로 이어지면서 한국의 민주화운동사에서 지니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또, 본고에서는 지역사회운동의 기반이 저해된 유신체제 아래에서 지역의 학생, 시민, 노동자 등이 어우러져 발생한 부마항쟁에 관하여 지역사회운동으로서의 성격을 조명하고자 한다. 지역의 대학생들이 운동을 주도하여 시가지로 확대해가면서 일반시민이 운동에 동원되는데, 그 과정에서 운동의 수단, 방법, 장소 등 3일간 부산에서의 저항의 행태를 통해 지역적 특성에 관해 검토할 것이다. 국가구도가 아닌 지역구도의 사회운동으로서 부마항쟁의 특징을 논함으로써 부마항쟁이 부산지역 사회운동에 있어 상징적인 요소로 작용하며 현재의 지역사회운동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고 민주화 운동사에 있어서 지역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는 시도가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at does the 1979 Buma uprising mean for the democratization process in South Korea?
      This paper analyzes and discusses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Buma uprising and looks at aspects of the local social movement during the time. In the 1970s, a time often referred to as "The Period of Emergency Measures", there was increased oppression of anti-government activities by the ruling dictatorship government in power. The author points out that instability of the dictatorship government actually caused an increase in oppression. The Buma uprising consequently showed up weaknesses of the dictatorship and took advantage of turmoil within the ranks of the government.
      This paper discusses how the movement activists, mostly university students. built up dissatisfaction in the population towards the government and how effectively they utilized their very limited political opportunities. It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the Buma uprising as a democratic movement within the democratization process as a whole by showing that although brief the uprising represented the early stages of the end days of the weakened government. It was also significant in demonstrating the method by which the weakened government could be brought down.
      Another major factor was how it continued to rise up in local areas by local people even when the social movement's roots in local area were hindered by the dictatorship. This paper describes how university students, who led the movement, mobilized people from university campuses to downtown areas.
      The author deduces features of the uprising from details such as the movement's measure, agenda, issue etc. In conclusion, this paper aims to give meaning to the Buma uprising as a symbol in the social movement in local areas and to consider local cities' roles in the democratization process.
      번역하기

      What does the 1979 Buma uprising mean for the democratization process in South Korea? This paper analyzes and discusses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Buma uprising and looks at aspects of the local social movement during the time. In the 1970s, ...

      What does the 1979 Buma uprising mean for the democratization process in South Korea?
      This paper analyzes and discusses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Buma uprising and looks at aspects of the local social movement during the time. In the 1970s, a time often referred to as "The Period of Emergency Measures", there was increased oppression of anti-government activities by the ruling dictatorship government in power. The author points out that instability of the dictatorship government actually caused an increase in oppression. The Buma uprising consequently showed up weaknesses of the dictatorship and took advantage of turmoil within the ranks of the government.
      This paper discusses how the movement activists, mostly university students. built up dissatisfaction in the population towards the government and how effectively they utilized their very limited political opportunities. It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the Buma uprising as a democratic movement within the democratization process as a whole by showing that although brief the uprising represented the early stages of the end days of the weakened government. It was also significant in demonstrating the method by which the weakened government could be brought down.
      Another major factor was how it continued to rise up in local areas by local people even when the social movement's roots in local area were hindered by the dictatorship. This paper describes how university students, who led the movement, mobilized people from university campuses to downtown areas.
      The author deduces features of the uprising from details such as the movement's measure, agenda, issue etc. In conclusion, this paper aims to give meaning to the Buma uprising as a symbol in the social movement in local areas and to consider local cities' roles in the democratization proc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문제제기
      • 2. 부마항쟁 분석의 이론적 검토: 지역사회운동과 정치적 기회구조
      • 3. 부산지역의 부마항쟁
      • 4. 부산의 부마항쟁과 정치적 기회구조
      • 〈국문초록〉
      • 1. 문제제기
      • 2. 부마항쟁 분석의 이론적 검토: 지역사회운동과 정치적 기회구조
      • 3. 부산지역의 부마항쟁
      • 4. 부산의 부마항쟁과 정치적 기회구조
      • 5. 끝맺음
      • 〈자료〉: 부마항쟁 참가자 앙케이트 조사항목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성, "현대일본의 사회운동론" 나남신서 2001

      2 유영국, "한국 정치변동과 부산시민의 정치적 역할: 4월혁명, 부마항쟁, 6 월항쟁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출판부 2004

      3 차성환, "참여 노동자를 통해서 본 부마항쟁 성격의 재조명" 부산대학교 2009

      4 임희섭,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고려대학교출판부 1999

      5 장우영, "정치적 기회구조와 사회운동: ‘총선연대’와 ‘노사모’의 사이버액티비즘을 중심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 13 (13): 49-68, 2006

      6 김희재, "인구변동 속의 부산사람들" 신라대학교 부산학 센터, 2 : 2004

      7 오창헌, "유신체제와 현대 한국정치" 오름 2001

      8 박철희, "사회집단 구성의 동태적 발전과 정치적 연계에 관한 한일비교, in 시민사회의 정치과정-한국과 일본의 비교" 아연출판부 2006

      9 부산일보50년사편찬위원회, "부산일보50년사" 부산일보사출판국 1996

      10 부산직할시사편찬위원회, "부산시사 제4권" 부산시 1991

      1 정진성, "현대일본의 사회운동론" 나남신서 2001

      2 유영국, "한국 정치변동과 부산시민의 정치적 역할: 4월혁명, 부마항쟁, 6 월항쟁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출판부 2004

      3 차성환, "참여 노동자를 통해서 본 부마항쟁 성격의 재조명" 부산대학교 2009

      4 임희섭,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고려대학교출판부 1999

      5 장우영, "정치적 기회구조와 사회운동: ‘총선연대’와 ‘노사모’의 사이버액티비즘을 중심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 13 (13): 49-68, 2006

      6 김희재, "인구변동 속의 부산사람들" 신라대학교 부산학 센터, 2 : 2004

      7 오창헌, "유신체제와 현대 한국정치" 오름 2001

      8 박철희, "사회집단 구성의 동태적 발전과 정치적 연계에 관한 한일비교, in 시민사회의 정치과정-한국과 일본의 비교" 아연출판부 2006

      9 부산일보50년사편찬위원회, "부산일보50년사" 부산일보사출판국 1996

      10 부산직할시사편찬위원회, "부산시사 제4권" 부산시 1991

      11 부산직할시사편찬위원회, "부산시사 제3권" 부산시 1991

      12 부산직할시사편찬위원회, "부산시사 제2권" 부산시 1990

      13 부산민주운동사편찬위원회, "부산민주운동사" 부산광역시 1998

      14 부산대학50년사편찬위원회, "부산대학50년사" 부산대학교출판부 1997

      15 김원, "부마항쟁과 도시하층민: ‘대중독재론’의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419-454, 2006

      16 "부마항쟁 참가자 3인 앙케이트 자료 (앙케이트 의뢰 및 회신기간: 2009.7 ∼2009.9)"

      17 손호철, "부마민주항쟁의 정치적 배경" 민주공 원 2006

      18 김경호, "부마민주항쟁의 배경과 정치사적 의의" 10 (10): 2000

      19 이행봉, "부마민주항쟁의 개관, 성격 및 역사적 의의" 민주공원 2006

      20 박철규, "부마민주항쟁과 학생운동" 민주공원 2006

      21 주무현, "부마민주항쟁과 노동운동" 민주공원 2006

      22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자료편찬위원회, "부마민주항쟁 10주년 기념자료집"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1989

      23 김하기, "부마민주항쟁"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4

      24 조희연, "박정희와 개발독재시대: 5․16에서 10․26까지" 역사비평사 2007

      25 임영태, "대한민국史 1945∼2008" 도서출판 들녘 2008

      26 박세길, "다시쓰는 한국현대사 2: 휴전에서 10.26까지" 돌베개 2002

      27 曽良中清司, "社会運動という公共空間ー理 論と方法のフロンティア" 成文堂 2004

      28 조정관, "“한국 민주화에 있어서 부마항쟁의 역할”" 21세기정치학회 19 (19): 73-98, 2009

      29 "http://contents.archives.go.kr"

      30 村井恭, "1990年代の日本の政治における環境庁の政治的機会構造" 日本公共政策学会 2000

      31 손호철, "1979년 부마항쟁의 재조명-정치적 배경을 중심으로, in 해방60년 의 한국정치 1945∼2005" 이매진 2006

      32 민청학련계승사업회, "1974년 4월: 실록․민청학련1" 학민사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3 1.36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