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교 교과 집중이수 실태 분석 및 차기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의 반영 방안  :  학교 교육과정 편성안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Intensive Course Taking Policy’ of Middle School Education for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Refor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90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1학년도 중학교 입학생부터 전면 적용되어 온 교과 집중이수의 적용 실태를 2011학년도에서 2013학년도 중학교 입학생 대상 학교 교육과정 편성안 분석을 통하여 파악하고 현재 진행 중에 있는 차기 국가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교과 집중이수 부분을 어떻게 개선 · 반영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편성안 분석 결과를 토대로 중학교 교과 집중이수와 관련된 부분을 차기 국가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방안으로서 다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총론 문서에 제시된 교과 집중이수 지침에서 학기당 이수 과목 수를 제한하는 표현을 삭제하고 교과 집중이수의 시행은 학교의 자율에 맡기는 방향으로 지침이 수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 집중이수 시행은 오로지 학생들에게 의미있는 학습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 하에서만 시행하도록 하고 집중이수를 한다고 하면서 수업시수를 감축하지 않도록 하는 국가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 이밖에도 교과 집중이수를 통한 수업 혁신 지원방안, 교사의 행정업무 경감 방안, 미이수 및 중복이수에 대한 기준 마련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1학년도 중학교 입학생부터 전면 적용되어 온 교과 집중이수의 적용 실태를 2011학년도에서 2013학년도 중학교 입학생 대상 학교 교육과정 편성안 분석을 통하여 파악하고 현재 ...

      본 연구는 2011학년도 중학교 입학생부터 전면 적용되어 온 교과 집중이수의 적용 실태를 2011학년도에서 2013학년도 중학교 입학생 대상 학교 교육과정 편성안 분석을 통하여 파악하고 현재 진행 중에 있는 차기 국가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교과 집중이수 부분을 어떻게 개선 · 반영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편성안 분석 결과를 토대로 중학교 교과 집중이수와 관련된 부분을 차기 국가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방안으로서 다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총론 문서에 제시된 교과 집중이수 지침에서 학기당 이수 과목 수를 제한하는 표현을 삭제하고 교과 집중이수의 시행은 학교의 자율에 맡기는 방향으로 지침이 수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 집중이수 시행은 오로지 학생들에게 의미있는 학습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 하에서만 시행하도록 하고 집중이수를 한다고 하면서 수업시수를 감축하지 않도록 하는 국가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 이밖에도 교과 집중이수를 통한 수업 혁신 지원방안, 교사의 행정업무 경감 방안, 미이수 및 중복이수에 대한 기준 마련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tensive Course Taking Policy’ refers to the policy in which the previous administration allowed schools to reduce the number of subjects per semester to 8 or lower. This was to relieve the students’ work loads in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and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1. Currentl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driving to reform 2009 National Curriculu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he Intensive Course Taking Policy’ of middle school education should be dealt with in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Reform through analyzing the school curriculum plans of the 94 middle schools randomly sampled by 3% of the total number of the middle schools for the new students of the year 2011, 2012, and 2013.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suggestions concerned with the fate of the intensive course taking policy of middle school education. Firstly, the present precepts written in the General Guideline of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concerned with The Intensive Course Taking Policy needed to be paraphrased without any restriction to the number of subjects per semester. Secondly, it should be discouraged at the national level that the class hours of the subject which is taught through the Intensive Course Taking are reduced. Besides, supporting strategies for innovating instruction though the intensive course taking, and ways to reduce teachers’ burden of administrative tasks in order for them to concentrate on preparing for their teaching has been suggested.
      번역하기

      ‘The Intensive Course Taking Policy’ refers to the policy in which the previous administration allowed schools to reduce the number of subjects per semester to 8 or lower. This was to relieve the students’ work loads in the 2009 Curriculum Revis...

      ‘The Intensive Course Taking Policy’ refers to the policy in which the previous administration allowed schools to reduce the number of subjects per semester to 8 or lower. This was to relieve the students’ work loads in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and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1. Currentl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driving to reform 2009 National Curriculu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he Intensive Course Taking Policy’ of middle school education should be dealt with in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Reform through analyzing the school curriculum plans of the 94 middle schools randomly sampled by 3% of the total number of the middle schools for the new students of the year 2011, 2012, and 2013.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suggestions concerned with the fate of the intensive course taking policy of middle school education. Firstly, the present precepts written in the General Guideline of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concerned with The Intensive Course Taking Policy needed to be paraphrased without any restriction to the number of subjects per semester. Secondly, it should be discouraged at the national level that the class hours of the subject which is taught through the Intensive Course Taking are reduced. Besides, supporting strategies for innovating instruction though the intensive course taking, and ways to reduce teachers’ burden of administrative tasks in order for them to concentrate on preparing for their teaching has been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 연구 분석에 따른 본 연구의 차별성
      • Ⅲ. 연구 방법
      • 1. 분석 대상
      • 2. 분석 방법
      • Ⅰ. 서론
      • Ⅱ. 선행 연구 분석에 따른 본 연구의 차별성
      • Ⅲ. 연구 방법
      • 1. 분석 대상
      • 2. 분석 방법
      • Ⅳ. 분석 결과
      • 1. 각 교과의 이수학기별 학교 수 및 비율
      • 2. 교과별 실제 집중이수 실시 학교 수 및 비율
      • 3. 학기당 이수 교과목 수
      • 4. 선택 과목별 채택비율 및 3개년 총 이수 시수 평균
      • Ⅴ. 결론: 중학교 교과 집중이수의 차기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반영 방안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