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지수 개념과 로그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n Analysis of 2009 mathematics curricula focused on exponents and logarith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90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지수 개념과 로그 개념은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와 다른 과목으로 편성되는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수학Ⅱ의 지수 개념과 로그 개념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교수 · 학습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지수 개념과 로그 개념의 이해의 측면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가 교수 · 학습 과정 또는 학생의 개념 이해 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서 학생들은 지수 개념과 로그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지수함수와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배제하고 지수를 실수까지 확장하거나 지수함수의 역함수의 형태로 로그 개념을 정의하고 있어, 지수함수의 역으로써의 로그 정의를 이해하기가 2007 개정 교육과정 때보다 더 어렵게 되었다. 둘째, 수학Ⅱ 과목에서 지수 개념과 로그 개념이 갖는 실생활에서의 유용성을 강조하기가 어려워졌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차기 교육과정에서는 지수와 지수함수, 로그와 로그함수를 동일 과목 내에 편성할 것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지수 개념과 로그 개념은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와 다른 과목으로 편성되는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수학Ⅱ의 지수 개념...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지수 개념과 로그 개념은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와 다른 과목으로 편성되는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수학Ⅱ의 지수 개념과 로그 개념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교수 · 학습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지수 개념과 로그 개념의 이해의 측면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가 교수 · 학습 과정 또는 학생의 개념 이해 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서 학생들은 지수 개념과 로그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지수함수와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배제하고 지수를 실수까지 확장하거나 지수함수의 역함수의 형태로 로그 개념을 정의하고 있어, 지수함수의 역으로써의 로그 정의를 이해하기가 2007 개정 교육과정 때보다 더 어렵게 되었다. 둘째, 수학Ⅱ 과목에서 지수 개념과 로그 개념이 갖는 실생활에서의 유용성을 강조하기가 어려워졌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차기 교육과정에서는 지수와 지수함수, 로그와 로그함수를 동일 과목 내에 편성할 것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2009 mathematics curricula, exponents and logarithms are detached with exponential functions and logarithm functions in another subject. This study aims to analyse 2009 mathematics curricula and mathematics textbooks focused on exponents and logarithms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that would be occurred in the learning exponents and logarithms.
      The first result of the study is that high school students would have mor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definition of exponents and logarithms in 2009 curricula than 2007 curricula. Expecially the definition of logarithm is more difficult than exponents because logarithms would be defined without the definition of the exponential functions. The second result is that emphasizing utilities of exponents and logarithms in the real situation would be difficult in the didactical situations.
      The study suggests that exponents, logarithms, exponential functions, and logarithm functions should be classified in the one subject in the next mathematics curricula.
      번역하기

      In the 2009 mathematics curricula, exponents and logarithms are detached with exponential functions and logarithm functions in another subject. This study aims to analyse 2009 mathematics curricula and mathematics textbooks focused on exponents and lo...

      In the 2009 mathematics curricula, exponents and logarithms are detached with exponential functions and logarithm functions in another subject. This study aims to analyse 2009 mathematics curricula and mathematics textbooks focused on exponents and logarithms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that would be occurred in the learning exponents and logarithms.
      The first result of the study is that high school students would have mor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definition of exponents and logarithms in 2009 curricula than 2007 curricula. Expecially the definition of logarithm is more difficult than exponents because logarithms would be defined without the definition of the exponential functions. The second result is that emphasizing utilities of exponents and logarithms in the real situation would be difficult in the didactical situations.
      The study suggests that exponents, logarithms, exponential functions, and logarithm functions should be classified in the one subject in the next mathematics curricul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지수 개념과 로그 개념 이해의 측면
      • 1. 지수 개념과 로그 개념의 이해 정도
      • 2. 지수와 로그에 대한 교과서 분석 연구
      • Ⅲ.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 Ⅰ. 서론
      • Ⅱ. 지수 개념과 로그 개념 이해의 측면
      • 1. 지수 개념과 로그 개념의 이해 정도
      • 2. 지수와 로그에 대한 교과서 분석 연구
      • Ⅲ.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 1. 2009 개정 교육과정 문서 분석
      • 2. 교과서 내용 분석
      • Ⅳ. 요약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정수, "학교수학 관점에서 살펴본 로그의 역사적 배경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 25 (25): 557-575, 2011

      2 황선욱,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과 내용 개선 및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3 이화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에 관한 오류 유형분석 및 교정지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 최재호, "지수의 역관계로서 로그 개념에 대한 실태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5 민세영, "역사발생적 수학 학습-지도 원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6 김부윤, "수학적 개념에 대한 조작적 접근과 구조적 접근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2007 (2007): 499-514, 2007

      7 교육인적자원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별책8]"

      8 교육과학기술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별책8]"

      9 윤미순, "로그단원에 대한 오류분석 및 교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0 이정아, "로그 단원의 역사-발생적 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 조정수, "학교수학 관점에서 살펴본 로그의 역사적 배경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 25 (25): 557-575, 2011

      2 황선욱,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과 내용 개선 및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3 이화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에 관한 오류 유형분석 및 교정지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 최재호, "지수의 역관계로서 로그 개념에 대한 실태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5 민세영, "역사발생적 수학 학습-지도 원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6 김부윤, "수학적 개념에 대한 조작적 접근과 구조적 접근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2007 (2007): 499-514, 2007

      7 교육인적자원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별책8]"

      8 교육과학기술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별책8]"

      9 윤미순, "로그단원에 대한 오류분석 및 교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0 이정아, "로그 단원의 역사-발생적 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1 김현정, "로그 개념에 대한 이해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2 이진, "교과서의 수학사와 실생활 문제 활용 분석 연구 : 고등학교 2학년 지수와 로그, 수열단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3 신항균, "고등학교 수학Ⅱ" ㈜ 지학사 2014

      14 김창동, "고등학교 수학Ⅱ" ㈜교학사 2014

      15 김원경, "고등학교 수학Ⅱ" 비상교육 2014

      16 신항균, "고등학교 미적분Ⅱ" ㈜ 지학사 2014

      17 Smith, E., "The development of multiplicative reasoning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33-360, 1994

      18 Weber, K., "Students’ understanding of exponential and logarithmic functions" Murray State University 2002

      19 Confrey, J., "Splitting, covariation, and their role in the development of exponential functions" 26 : 66-86, 1995

      20 Sfard, A., "On the dual nature of mathematical conceptions" 22 : 1-36, 1991

      21 Berezovski, T., "Manifold nature of logarithms: Numbers, operations, and functions" 2006

      22 Klein, F., "Elementary mathematics from advanced standpoint: Geometry" Dover Publication 1924

      23 Weber, K., "Develop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exponents and logarithms" 1019-1027, 2002

      24 Dubinsky, E.,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Kluwer 95-126, 1991

      25 Tabaghi, S. G., "APOS analysis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logarithms" Concordia University. 2007

      26 신이섭,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7 1.353 0.8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