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셜 로봇의 젠더 편향성: 4차 산업혁명 시대 사회복지적 함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 Social Robot and Gender Bias: The Implication of Social Welfar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316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examine gender bias in social robots from a gender perspective, which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social service resourc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hav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It was studied by reviewing news articles and literature related to gender in the social robot technology based on the gender analysis. Even though the social robot technology orients to human-cen tered innovation, it still remains in gender bias and gender inequality, and it is linked to gender bias with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social robots technology. Especially in respect of clients such as children or the aged in need of sensitive care, it is probable that gender stereotyped social robots would reinforce clients’ own gender stereotypes and spread discriminatory effects in diverse ways to their real lives. Therefore, the social robot technology as the social service resource for helping people should be discussed from the gender perspective in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thus become the gender equal technology.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examine gender bias in social robots from a gender perspective, which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social service resourc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hav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examine gender bias in social robots from a gender perspective, which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social service resourc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hav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It was studied by reviewing news articles and literature related to gender in the social robot technology based on the gender analysis. Even though the social robot technology orients to human-cen tered innovation, it still remains in gender bias and gender inequality, and it is linked to gender bias with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social robots technology. Especially in respect of clients such as children or the aged in need of sensitive care, it is probable that gender stereotyped social robots would reinforce clients’ own gender stereotypes and spread discriminatory effects in diverse ways to their real lives. Therefore, the social robot technology as the social service resource for helping people should be discussed from the gender perspective in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thus become the gender equal technolog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우리, "휴먼케어 로봇과 소셜 상호작용 기술 동향" 35 (35): 34-44, 2020

      2 이동임 ; 천정환, "효도로봇 개발 및 시행에 관한 연구" 한국효학회 (25) : 181-205, 2017

      3 김선화 ; 남일성 ; 김지희 ; 김태환 ; 이동림 ; 최선용 ; 이호상 ; 옥경인 ; 이하나, "한국형 소셜로봇 효돌이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우울증상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40 (40): 1021-1034, 2020

      4 이나영, "한국사회의 중층적 젠더 불평등: ‘평등 신화’와 불/변하는 여성들의 위치성" 한국여성학회 30 (30): 1-45, 2014

      5 박선희, "포스트휴먼의 젠더화와 관계론적 소외" 한국언론정보학회 94 : 65-91, 2019

      6 임소연 ; 김도연, "페미니즘은 과학을 바꾸는가? 페미니스트 과학, 젠더혁신, 페미니스트 과학학" 한국과학기술학회 20 (20): 169-193, 2020

      7 장길수,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의 발명품, 소셜돌봄로봇 ‘스티브’" 로봇신문

      8 성기옥 ; 김수진 ; 문정화, "코로나19로 인한 생활변화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소 18 (18): 99-129, 2021

      9 김정근,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미국의 AI/로봇을 활용한 노인 돌봄 사례와 이슈" 16-26, 2021

      10 박주현 ; 한정혜,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윤리 교육 내용 개발"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4 (4): 143-151, 2018

      1 고우리, "휴먼케어 로봇과 소셜 상호작용 기술 동향" 35 (35): 34-44, 2020

      2 이동임 ; 천정환, "효도로봇 개발 및 시행에 관한 연구" 한국효학회 (25) : 181-205, 2017

      3 김선화 ; 남일성 ; 김지희 ; 김태환 ; 이동림 ; 최선용 ; 이호상 ; 옥경인 ; 이하나, "한국형 소셜로봇 효돌이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우울증상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40 (40): 1021-1034, 2020

      4 이나영, "한국사회의 중층적 젠더 불평등: ‘평등 신화’와 불/변하는 여성들의 위치성" 한국여성학회 30 (30): 1-45, 2014

      5 박선희, "포스트휴먼의 젠더화와 관계론적 소외" 한국언론정보학회 94 : 65-91, 2019

      6 임소연 ; 김도연, "페미니즘은 과학을 바꾸는가? 페미니스트 과학, 젠더혁신, 페미니스트 과학학" 한국과학기술학회 20 (20): 169-193, 2020

      7 장길수,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의 발명품, 소셜돌봄로봇 ‘스티브’" 로봇신문

      8 성기옥 ; 김수진 ; 문정화, "코로나19로 인한 생활변화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소 18 (18): 99-129, 2021

      9 김정근,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미국의 AI/로봇을 활용한 노인 돌봄 사례와 이슈" 16-26, 2021

      10 박주현 ; 한정혜,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윤리 교육 내용 개발"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4 (4): 143-151, 2018

      11 김하민, "초등 도덕과 미래형 교육과정 개정 방향 탐색: 인공지능 윤리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3) : 1-27, 2021

      12 이진영, "젠더감수성(Gender Sensitivity)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3 존 W. 스콧, "젠더: 역사 분석의 유용한 범주" 31 : 291-326, 1996

      14 박상준, "정부, 초고령사회 앞두고 돌봄로봇 육성 박차" 한국일보

      15 송원경, "재활, 보조, 돌봄을 위한 로봇" 17 (17): 4-6, 2020

      16 이혜숙, "인공지능은 왜 여성을 차별하는가"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09-22, 2020

      17 허유선, "인공지능에 의한 차별과 책임 문제 고찰을 위한 시론" 14-40, 2017

      1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산업실태조사" 통계청 2020

      19 한애라, "인공지능과 젠더차별" 젠더법학연구소 11 (11): 1-39, 2019

      20 이건명, "인공지능과 윤리"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61-92, 2020

      21 오요한 ; 홍성욱,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사람을 차별하는가?" 한국과학기술학회 18 (18): 153-215, 2018

      22 이승현, "인공지능 시대의 젠더규범에 대한 시론3)" 한국인터넷윤리학회 2 (2): 32-37, 2018

      23 정희원, "인공 행위자의 감정 능력과 젠더 이슈: 『미래의 이브』와 여성 안드로이드" 한국비교문학회 (82) : 233-259, 2020

      24 이광석, "인간이 숨은 체스기계처럼 인공지능에도 혐오의 인습이 스며들었다" 경향신문

      25 정원엽, "인간의 편견 그대로 배웠다, 혐오 내뱉는 AI 이루다 쇼크" 중앙일보

      26 김평수, "인간과 교감하는 감성로봇 관련 기술 및 개발 동향" 33 (33): 19-27, 2016

      27 조인혜, "이제 로봇의 젠더 문제에 관해 말할 때" 로봇신문

      28 전창배, "이루다 논란이 남긴 교훈과 숙제" 63 (63): 121-127, 2021

      29 김혜련, "여성주의 연구방법으로서 젠더분석과 기술혁신" 한국가톨릭철학회 (14) : 199-232, 2010

      30 주혜진, "여성과학기술인 지원정책에 ‘여성’은 있는가: 참여토론과 AHP를 통한 정책 발굴의 의의" 한국여성연구소 14 (14): 153-202, 2014

      31 최재서, "여성 AI '펨봇'은 성차별, "매력적이고 노예처럼 복종한다"" 서울경제

      32 유종수, "아동용 소셜 로봇 개발" 10-14, 2019

      33 김수아, "수원시, 치매예방로봇 ‘실벗’투입, 치매 예방 나선다" 세미나투데이

      34 장길수, "소니 애완 로봇 '아이보' 합동 장례식 화제" 로봇신문

      35 이혜숙, "성과 젠더요소를 고려한 연구개발 가이드라인: 공학·ICT융합 분야" 젠더혁신연구센터

      36 송유미, "서비스 로봇의 사회적 인터랙션 발현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241-254, 2019

      37 박동진 ; 김혜성 ; 최희철 ; 최권택, "사회복지사의 복지테크놀로지 개념 인식과 적용 사례"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387-399, 2021

      38 임소연, "비서 로봇은 꼭 여성이어야 할까?" 한겨레

      39 김수완 ; 임정원 ; 최종혁, "복지기술은 사회 혁신인가: 독거노인을 위한 기술기반 돌봄서비스 사례 연구"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71) : 7-41, 2021

      40 Perez, C., "보이지 않는 여자들, 편향된 데이터는 어떻게 세계의 절반을 지우는가" 북큐브네트웍스 2020

      41 김재홍, "반려로봇" 36 (36): 12-21, 2021

      42 임소연, "디지털 기술정치와 젠더: 여성차별적 기술, 기술친화적 여성" 15-15, 2019

      43 권도경, "드라마 〈보그맘〉의 애정전기소설 재매개화에 나타난 여성적 포스트바디의 재현과 근대 이전 프리바디와의 생태주의적 상동성"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71) : 115-157, 2021

      44 주현정, "기술 진보와 사회서비스의 미래" 8 (8): 111-130, 2017

      45 문혜정, "국내 아동 TV 애니메이션의 여성 캐릭터 표현 연구-<로보카폴리>를 중심으로-" 264-265, 2019

      46 이효빈, "과학기술과 젠더혁신 정책방향" 425-426, 2017

      47 정인경, "과학기술 젠더거버넌스" 225-243, 2016

      48 Wacjman, J., "과학과 기술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판" 29-55, 2005

      49 김반석 ; 김승인, "공공서비스 로봇의 의인화에 관한 사용자 선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61-366, 2020

      50 김동한, "“초고령사회 사람 중심의 로봇기술” 노인돌봄인력 보완으로서 돌봄기술(돌봄로봇) 활용 가능성" 165-189, 2021

      51 박다해, "“여성은 감점”하는 인공지능, AI 성차별’은 어떻게 막나" 한겨레

      52 이시연, "“(인공)지능은 성별이 없다고?”" 인문콘텐츠연구소 1 : 77-93, 2018

      53 김향미, "‘보그맘’ 인공지능이라더니 조선시대 현모양처로 묘사" 경향신문

      54 김향미, "‘대면복지’ 빈자리 채우는 ‘돌봄 로봇’" 경향신문

      55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산업부-복지부, 돌봄로봇 활성화를 위한 첫발 내디뎌"

      5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사람이 중심이 되는 인공지능(AI) 윤리기준 마련"

      57 Tay, B., "When stereotypes meet robots: The double-edge sword of robot gender and personality in human-robot interaction" 38 : 75-84, 2014

      58 Stroessner, S. J., "The social perception of humanoid and non-humanoid robots: Effects of gendered and machinelike features" 11 : 305-315, 2019

      59 Trovato, G., "She’s electric-The influence of body proportions on perceived gender of robots across cultures" 7 (7): 50-, 2018

      60 이동훈, "Science Technology-소셜 로봇이란?" 178 : 68-69, 2018

      61 Nomura, T., "Robots and gender" 1 (1): 18-25, 2017

      62 Epley, N., "On seeing human: A three-factor theory of anthropomorphism" 114 (114): 864-886, 2007

      63 World Economic Forum, "Industry agenda: AI has a gender problem. Here’s what to do about it"

      64 최지은, "ICT 산업의 여성인력 노동시장 성과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9

      65 UNESCO, "I'd blush if I could: Closing gender divides in digital skills through education"

      66 European Institute for Gender Equality, "Glossary & thesaurus"

      67 World Economic Forum, "Global agenda: This is why AI has a gender problem"

      68 Gender Equality Commission of the Council of Europe, "Gender equality glossary"

      69 Jung, E. H., "Feminizing robots: User responses to gender cues on robot body and screen" 3107-3113, 2016

      70 Makatchev, M., "Expressing ethnicity through behaviors of a robot character" 357-364, 2013

      71 Mantha, Y., "Estimating the gender ratio of AI researchers around the world" Medium

      72 이준식 ; 박도형, "Are you a Machine or Human?: 소셜 로봇의 인간 유사성과 소비자 해석수준이 의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7 (27): 129-149, 2021

      73 이희은, "AI는 왜 여성의 목소리인가?: 음성인식장치 테크놀로지와 젠더화된 목소리" 한국언론정보학회 90 : 126-153, 2018

      74 변성혁 ; 조창환, "AI 금융 챗봇 추천 메시지의 의인화와 개인화 수준이 고객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22 (22): 466-502, 2020

      75 차산업혁명위원회, "4차산업혁명 대정부권고안" 2019

      76 이윤수, "4차 산업혁명의 과학기술을 적용하는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와 가치" 850-873, 2018

      77 장민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소셜로봇 현황과 미래 전망" 45 (45): 35-43, 2018

      7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년 기술영향평가 결과: 소셜로봇의 미래" 2020

      79 Eyssel, F., "(S)he's got the look: Gender stereotyping of robots" 42 (42): 2213-2230, 2012

      80 권봉석, ""디지털 문맹은 옛말?" 디지털 격차 해소 '돌봄로봇' 확산" 지디넷 코리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6-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소 -> 사회과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 Institute of Social Sci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23 1.77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