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반 공립학교(초·중·고등학교)에 입학하는 다문화 가정을 배경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학교라는 사회에서 적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일반 공립학교(초·중·고등학교)에 입학하는 다문화 가정을 배경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학교라는 사회에서 적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습�...
최근 일반 공립학교(초·중·고등학교)에 입학하는 다문화 가정을 배경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학교라는 사회에서 적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습을 위한 읽기 능력이 필요하다. 다문화 학습자들의 효율적으로 국어사용 능력 형성과 학교생활에 적응을 위해서는 이들의 학습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이들에 학습 특성에 맞는 한글 깨치기 방법이 필요하다. 오랜 외국 생활로 인해 외국식 교육에 친숙한 다문화 학습자들에게 기초학습 능력 형성 과정에서 글깨치기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효율적인 한글 깨치기를 위해서는 한글 특성에 근거한 구체적인 지도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실제적인 한글 깨치기 지도 원리와 방법을 제시하려고 한다. 다문화 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한글 교수 학습 원리와 방법이다. 첫째, 제1언어로 사용하고 있는 체류국 언어를 활용하여 문자에 대한 설명과 성음 원리를 제시해야 한다. 둘째, 한글 학습을 위한 도입으로 실제적 상황과 맥락이 담긴장면을 활용한다. 셋째, 사용 빈도가 높고 전이 효과가 큰 음절을 우선순위로 음절형성 원리를 지도한다. 다음은 한글이라는 문자가 가지는 고유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원리와 방법이다. 즉, 문자의 특성을 고려해 합리적인 자모 지도와 성음 원리지도가 이루어지기 위함이다. 첫째, 학습 초기부터 친숙하고 쉬운 단어를 활용하여 음절 인식 지도가 실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자음과 모음을 함께 제시하여 각각의 자모가 지니는 모양과 음가를 해당 체류국 언어와 관련시켜 학습하도록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umber of students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who enroll in public schools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have increased recently. The students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need to build up their reading abilities to adapt...
The number of students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who enroll in public schools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have increased recently. The students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need to build up their reading abilities to adapt to the school society. In order to develop the usage of Korean efficiently, and adapt themselves to the school life for the multicultural Korean learners, we should understand their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need to have an appropriate teaching method on beginning reading which should be based on their learning characteristics. Teaching how to keep a diary to the multicultural Korean learners will improve their basic learning abilities and it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students who feel more comfortable with the education systems in overseas. For the effective teaching on beginning reading, there should be specific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beginning reading theory.
This research will present practical beginning level of Korean on reading principle and methods. The main point of teaching Korean is to consider the multicultural Korean learners’characteristics. First, explain the characters and the vocal sound method of one’s first language of his country. Second, use the realistic situation and the conversation scene to help learning Korean. Third, instruct the syllable formation method and teach the frequent usage words and a large syllable first. The next method is to consider the proper Korean characters. Under its own characteristics, direct the vowels and consonants, and syllable formation. First,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use easy words to support the syllable formation method. Then, present the vowels and consonants to show its shapes and sound. Also, compare it with one’s first languag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규영, "회전되는 한글 단어 읽기에서 음절의 수 및 시각의 효과" 한국심학회지 1991
2 이차숙, "한글의 특성에 따른 한글 해독 지도 방법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23 (23): 5-26, 2003
3 권오식, "한글 읽기 발달의 이론과 그 응용" 20 (20): 2002
4 박권생, "한글 단어 재인에 관여하는 정신 과정" 5 : 1993
5 이관규, "학교문법론(음운론)" 월인 출판사 1999
6 김진철, "초등학교 영어 교수법" 학문 출판사 1998
7 노명완, "초기독서에서의 교수방법이 독서전략 형성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5
8 이차숙, "유아의 그림이야기책 읽기 활동에서 어머니의 매개적 역할이 유아의 문식성 발달 과정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2
9 김정원, "외국인 근로자 자녀 교육 문제와 다문화 교육" 325 : 2006
10 Brown, H.Douglas, "외국어 교수-학습의 원리" 한신문화사 1996
1 조규영, "회전되는 한글 단어 읽기에서 음절의 수 및 시각의 효과" 한국심학회지 1991
2 이차숙, "한글의 특성에 따른 한글 해독 지도 방법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23 (23): 5-26, 2003
3 권오식, "한글 읽기 발달의 이론과 그 응용" 20 (20): 2002
4 박권생, "한글 단어 재인에 관여하는 정신 과정" 5 : 1993
5 이관규, "학교문법론(음운론)" 월인 출판사 1999
6 김진철, "초등학교 영어 교수법" 학문 출판사 1998
7 노명완, "초기독서에서의 교수방법이 독서전략 형성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5
8 이차숙, "유아의 그림이야기책 읽기 활동에서 어머니의 매개적 역할이 유아의 문식성 발달 과정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2
9 김정원, "외국인 근로자 자녀 교육 문제와 다문화 교육" 325 : 2006
10 Brown, H.Douglas, "외국어 교수-학습의 원리" 한신문화사 1996
11 김정오, "아이수 한글 프로그램 소개, 인터넷 자료"
12 윤혜경, "아동의 한글 읽기 발달에 관한 연구:자소 음소 대응규칙의 터득을 중심으로"
13 노명완, "문식성연구" 박이정 2002
14 최인실, "나미, 안녕?:뉴질랜드 재외국민을 위한 한국어 교재 1권" 2002
15 노명완, "글깨치기와 한글, 산문, 논문(세종성왕의 어문정책에 대한 글)"
16 송영복, "귀국반 어린이들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17 이병호, "국어과 교육 변천사 연구:광부 후의 국민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1986
18 Australian Center for Social Inovations:CSION, "The ‘Great Letter’ of the korean writing system, 인터넷 자료"
19 Marilyn J. Chambliss, "Textbooks for Learning" Publishers 1998
20 Perfetti, C. A., "Reading ability"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1985
21 Larry Andrews, "Language Exploration and Awareness:A resource Book for Teachers Third Edi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006
22 Adams, M. J., "Beginning to read:Thinking and print" Cambridge, MA:MIT Press 199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1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초등국어교육외국어명 : Jou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 | 0.9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4 | 1.458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