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상팔경 문화는 한국에 유행하여 문학, 미술, 조경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처럼 소상팔경문화가 한국에 유행한 이유는 무엇일까? 본고에서는 문학 분야 한국팔경시를 대상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698015
2014
Korean
소상팔경 ; 한국팔경시 ; 일상성 ; 전범성 ; 일상화 ; 사대부 ;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 Korean Palgyeongpoetry ; ordinariness ; canonicity ; popularization ; noblem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43-73(31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소상팔경 문화는 한국에 유행하여 문학, 미술, 조경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처럼 소상팔경문화가 한국에 유행한 이유는 무엇일까? 본고에서는 문학 분야 한국팔경시를 대상으...
중국 소상팔경 문화는 한국에 유행하여 문학, 미술, 조경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처럼 소상팔경문화가 한국에 유행한 이유는 무엇일까? 본고에서는 문학 분야 한국팔경시를 대상으로 그 이유를 살펴보았으며, 일상성과 전범성의 원리에 의해 한국팔경시가 유행하게 되었음을 밝혔다.
고려 명종대 유입된 소상팔경은 중국 명승인 소상강지역의 여덟 경승을 시와 그림으로 향유하는 탈속적이고 고고한 문화의 전범이었다. 그러나 이규보는 소상팔경시를 시재를 겨루는 도구로 인식하게 하고 소상팔경에 등장하는 기러기를 사람들의 주살을 두려워하는 생활속의 경물로 변화시켜 친근하고 일상적인 경관으로 만들었다. 이제현은 중국에 있으면서 고국의 수도 송도를 팔경시의 대상으로 삼아 팔경의 한국화를 이루었으며, 이에 따라 자신의 고향, 부임지 등 주변 경관의 일상적인 모습을 팔경시로 읊는 풍조가 유행하게 되었다. 이색은 자신의 고향인 한산을 팔경의 대상으로 삼아 한산팔경시를 지었고 안축은 자신의 부임지인 삼척을 대상으로 삼척팔경시를 지었다.
한국팔경시의 유행은 한국팔경시의 전범화를 촉진시켜 자신의 목적을 선전하는 도구로서 한국팔경시를 활용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정도전은 새로운 도읍을 팔경시로 노래하였고, 김종직은 자기 고향 사람들의 유교 생활 실천을 천양하였다. 심지어 수양을 중요시한 사림들이 은거지에서의 수양생활을 팔경의 대상으로 삼는데 까지 이르렀으며, 임금 또한 자신의 후원공간을 팔경의 대상으로 삼는 등 한국팔경시는 일상화와 전범화의 원리에 의해 지역과 계층을 초월하여 유행하게 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inese culture of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was in vogue in Korea and had enormous impacts on Korean culture, art, and landscaping. What were the reasons behind its fashion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reasons through the Palg...
The Chinese culture of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was in vogue in Korea and had enormous impacts on Korean culture, art, and landscaping. What were the reasons behind its fashion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reasons through the Palgyeong poetry of Korea and found that the poetry was in vogue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ordinariness and canonicity.
Being introduced in Goryeo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were a canon of unworldly and aloof culture to enjoy the eight picturesque sceneries of the Xiaoxiang River, one of the scenic spots in China, through poems and paintings. Lee Gyu-bo made the poetry of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perceived as a tool to compete over poetic materials and turned the wild geese in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into the natural features in life that were afraid of human arrows, thus making them as part of the familiar daily landscape. Staying in China, Lee Je-hyeon made Palgyeong a Korean style with the Palgyeong poems on Songdo, the capital of his home country. There was a trend in vogue which depicted the daily aspects of surrounding landscape such as one"s hometown and new post with Palgyeong poems. Lee Saek wrote Hansan Palgyeong poems with Hansan, his hometown, as the object of Palgyeong. Ahn Chuk wrote Samcheok Palgyeong poems with his new post Samcheok as the object.
The fashion of Korean Palgyeong poetry facilitated its canonization and thus resulted in cases of using it as a tool to promote one"s goals. Jeong Do-jeon sang about the new capital with Palgyeong poems, and Kim Jong-jik spread the practice of Confucian life among the people of his hometown. Even the Sarims that valued cultivation made their cultivation life at the retirement places the object of Palgyeong, and the kings made their back gardens the object of Palgyeong. Those cases indicate that the Korean Palgyeong poetry was in vogue regardless of region and social clas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popularization and canoniz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용수, "李後白의 瀟湘八景歌 辯證 李後白의 瀟湘八景歌 辯證" 1 : 1993
2 안휘준, "한국회화의 전통" 문예출판사 1988
3 김창규, "한국한림시평석"
4 안장리, "한국의 팔경문학" 집문당 2002
5 정순우, "퇴계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6 천이두, "춘향가의 몽중가 소고-심청가의 소상팔경 지나갈 제와 관련하여" 판소리학회 8 : 1997
7 서울학연구소, "창덕궁지" 1 : 1994
8 류재일, "이제현의 작품을 수용한 남원고사의 쇼상팔경 연구" 2 : 1994
9 김성룡, "여말선초 문학사상" 한길사 1995
10 박일용, "심청가 강상풍경 대목의 변이양상과 그 의미" 판소리학회 8 : 1997
1 정용수, "李後白의 瀟湘八景歌 辯證 李後白의 瀟湘八景歌 辯證" 1 : 1993
2 안휘준, "한국회화의 전통" 문예출판사 1988
3 김창규, "한국한림시평석"
4 안장리, "한국의 팔경문학" 집문당 2002
5 정순우, "퇴계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6 천이두, "춘향가의 몽중가 소고-심청가의 소상팔경 지나갈 제와 관련하여" 판소리학회 8 : 1997
7 서울학연구소, "창덕궁지" 1 : 1994
8 류재일, "이제현의 작품을 수용한 남원고사의 쇼상팔경 연구" 2 : 1994
9 김성룡, "여말선초 문학사상" 한길사 1995
10 박일용, "심청가 강상풍경 대목의 변이양상과 그 의미" 판소리학회 8 : 1997
11 서거정, "신증동국여지승람" 1967
12 정운채, "소상팔경을 노래한 시조와 한시에서의 경의 성격 소상팔경을 노래한 시조와 한시에서의 경의 성격" 79 : 1992
13 안장리, "소상팔경시와 삼척팔경시의 차운양상에 대하여" 한국한시학회 5 : 1997
14 전경원, "소상팔경-동아시아 시와 그림" 건국대출판부 2007
15 신연우, "사대부 시조와 유학적 일상성" 이회 2000
16 조동일, "문학연구방법" 지식산업사 1980
17 김시습, "매월당집" 민족문화추진회 13 : 1988
18 서거정, "동인시화" 경문사 1980
19 이규보, "동국이상국집" 민족문화추진회 2 : 1988
20 이희승, "가사 소상팔경 해설" 3 : 1939
21 呂基鉉, "雜歌 「瀟湘八景歌」의 形象化 特性" 31 : 2002
22 金永峯, "金宗直 詩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0
23 고연희, "瀟湘八景, 고려와 조선의 詩⋅畵에 나타나는 受容史" 9 : 2003
24 이정구, "月沙集1" 민족문화추진회 69 : 1988
25 차주환, "中國詞文學論考" 서울대 출판부 1982
26 안장리, "『新增東國輿地勝覽』의 ≪新都八景≫과 『大明一統志』의 ≪京師八景≫ 비교" 한국역사민속학회 (36) : 161-196, 2011
27 전수연, "「신도팔경」의 서경시적 특성」" 16 : 1993
28 정용수, "12,3세기 문인지식인의 현시인식과 세계관" 성균관대 23 : 198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1 | 0.41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797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