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양경찰법 제정 필요성과 주요 쟁점 = The Necessity of Enacting Korea Coast Guard Act and Major Issu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374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 Coast Guard, which was established in 1953, does not have an organizational law that defines the framework of the Korea Coast Guard or a functional law that clearly defines the details of its duties despite its long history. The basis of Korea Coast Guard's administrative action, which restricts people's basic rights, is weak, and thus has problems in principle of rule of law.
      There have been discussions in the past about enacting the Korea Coast Guard Act, which contains basic content on organization, duties and status, but recently, the Korea Coast Guard Act was proposed by the National Assembly as discussions on enacting the Korea Coast Guard Act were actively carried out. This will allow the Korea Coast Guard to form a basic framework and have pride of its members.
      In this study, the Korea Coast Guard Act, which was proposed to the National Assembly in January 2019, will be dealt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posed bill by major issues and to present a reasonable alternative to the reality of Korea Coast Guard.
      First, let's find out what position the Korea Coast Guard Act holds in the current legislations and how it will link it with the current legislations. It also looks at the need for enacting the Korea Coast Guard Act. We will review the major issues of the Korea Coast Guard Act and propose a reasonable alternative. Major issues include the character and name of the bill, the clause of duty of Korea Coast Guard, whether to establish a Korea Coast Guard committee, the job regulation of Korea Coast Guard, the qualification and term of the commissioner of Korea Coast Guard, and what to do with the Maritime Guard Act.
      번역하기

      Korea Coast Guard, which was established in 1953, does not have an organizational law that defines the framework of the Korea Coast Guard or a functional law that clearly defines the details of its duties despite its long history. The basis of Korea C...

      Korea Coast Guard, which was established in 1953, does not have an organizational law that defines the framework of the Korea Coast Guard or a functional law that clearly defines the details of its duties despite its long history. The basis of Korea Coast Guard's administrative action, which restricts people's basic rights, is weak, and thus has problems in principle of rule of law.
      There have been discussions in the past about enacting the Korea Coast Guard Act, which contains basic content on organization, duties and status, but recently, the Korea Coast Guard Act was proposed by the National Assembly as discussions on enacting the Korea Coast Guard Act were actively carried out. This will allow the Korea Coast Guard to form a basic framework and have pride of its members.
      In this study, the Korea Coast Guard Act, which was proposed to the National Assembly in January 2019, will be dealt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posed bill by major issues and to present a reasonable alternative to the reality of Korea Coast Guard.
      First, let's find out what position the Korea Coast Guard Act holds in the current legislations and how it will link it with the current legislations. It also looks at the need for enacting the Korea Coast Guard Act. We will review the major issues of the Korea Coast Guard Act and propose a reasonable alternative. Major issues include the character and name of the bill, the clause of duty of Korea Coast Guard, whether to establish a Korea Coast Guard committee, the job regulation of Korea Coast Guard, the qualification and term of the commissioner of Korea Coast Guard, and what to do with the Maritime Guard A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53년 창설된 해양경찰청은 긴 역사에도 불구하고 해양경찰 조직의 틀을 규정하는 조직법이나 직무의 내용을 명확히 규정하는 작용법이 부족한 실정이다. 국민의기본권을 제한하는 해양경찰 행정작용의 근거가 미약하여 법치주의 원칙상 문제점을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조직, 직무, 신분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담는 해양경찰법 제정에 관한 논의는과거에도 있어 왔지만 최근 해양경찰법 제정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어 최근 국회에서해양경찰법(안)이 발의되었다. 이를 통하여 해양경찰청의 조직기반의 틀을 조성하고조직원의 긍지와 자부심을 심을 수 있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2019년 1월 국회에 발의된 해양경찰법(안)을 다루어 보려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의된 법(안) 내용을 주요 쟁점별로 검토하고 해양경찰 현실에 맞는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먼저 해양경찰법이 현행 법령체계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현행법령과 어떻게연결시킬 것인지를 알아본다. 또한, 해양경찰법 제정의 필요성에 대하여도 살펴볼 것이며, 해양경찰법의 주요 쟁점을 검토하여 이에 따른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겠다.
      주요 쟁점에는 법(안)의 성격과 명칭, 해양경찰 책무 규정, 해양경찰위원회 신설 여부, 해양경찰청장 자격·임기 등, 해양경찰 직무 규정, 그리고 「해양경비법」과 관계설정은 어떻게 할 것인지 등이 포함된다.
      번역하기

      1953년 창설된 해양경찰청은 긴 역사에도 불구하고 해양경찰 조직의 틀을 규정하는 조직법이나 직무의 내용을 명확히 규정하는 작용법이 부족한 실정이다. 국민의기본권을 제한하는 해양경...

      1953년 창설된 해양경찰청은 긴 역사에도 불구하고 해양경찰 조직의 틀을 규정하는 조직법이나 직무의 내용을 명확히 규정하는 작용법이 부족한 실정이다. 국민의기본권을 제한하는 해양경찰 행정작용의 근거가 미약하여 법치주의 원칙상 문제점을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조직, 직무, 신분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담는 해양경찰법 제정에 관한 논의는과거에도 있어 왔지만 최근 해양경찰법 제정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어 최근 국회에서해양경찰법(안)이 발의되었다. 이를 통하여 해양경찰청의 조직기반의 틀을 조성하고조직원의 긍지와 자부심을 심을 수 있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2019년 1월 국회에 발의된 해양경찰법(안)을 다루어 보려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의된 법(안) 내용을 주요 쟁점별로 검토하고 해양경찰 현실에 맞는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먼저 해양경찰법이 현행 법령체계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현행법령과 어떻게연결시킬 것인지를 알아본다. 또한, 해양경찰법 제정의 필요성에 대하여도 살펴볼 것이며, 해양경찰법의 주요 쟁점을 검토하여 이에 따른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겠다.
      주요 쟁점에는 법(안)의 성격과 명칭, 해양경찰 책무 규정, 해양경찰위원회 신설 여부, 해양경찰청장 자격·임기 등, 해양경찰 직무 규정, 그리고 「해양경비법」과 관계설정은 어떻게 할 것인지 등이 포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영태, "해양경찰조직 관련 법제의 입법방향에 관한 고찰" 11 (11): 233-271, 2011

      2 손영태, "해양경찰법체계" 지식인 2014

      3 김재범, "해양경찰법 제정, 속도 내나"

      4 해양경찰청, "해양경찰법 제정 입법 공청회(오영훈 의원)"

      5 해양경찰청, "해양경찰법 제정 인천지역 토론회(오영훈 의원)"

      6 해양경찰청, "해양경찰법 제정 당·정협의 참고자료"

      7 최정호, "해양경찰 직무의 법적 근거에 대한 고찰" 한국해사법학회 24 (24): 283-306, 2012

      8 해양경찰청, "해양경찰 조직법 제정안 마련 및 발전방향 연구: 해양경찰법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2018

      9 임창수, "해양경찰 법률기반 고도화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3

      10 해양경찰청, "중국·일본 해양법령집" 2011

      1 손영태, "해양경찰조직 관련 법제의 입법방향에 관한 고찰" 11 (11): 233-271, 2011

      2 손영태, "해양경찰법체계" 지식인 2014

      3 김재범, "해양경찰법 제정, 속도 내나"

      4 해양경찰청, "해양경찰법 제정 입법 공청회(오영훈 의원)"

      5 해양경찰청, "해양경찰법 제정 인천지역 토론회(오영훈 의원)"

      6 해양경찰청, "해양경찰법 제정 당·정협의 참고자료"

      7 최정호, "해양경찰 직무의 법적 근거에 대한 고찰" 한국해사법학회 24 (24): 283-306, 2012

      8 해양경찰청, "해양경찰 조직법 제정안 마련 및 발전방향 연구: 해양경찰법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2018

      9 임창수, "해양경찰 법률기반 고도화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3

      10 해양경찰청, "중국·일본 해양법령집" 2011

      11 "일본 해상보안청 홈페이지"

      12 김경락, "육상경찰과 해양경찰의 직무와 관할의범위에 관한 법적 검토" 법학연구소 33 (33): 295-320, 2013

      13 "미국 연방인쇄국 홈페이지"

      14 우장호, "“독립기관 완성하는 해양경찰법 추진해야" 한목소리"

      15 손현규, "‘해양경찰법 제정하자’… 해상종합치안기관 법적 토대 필요"

      16 손영태, "(가칭) 해양경찰기본법 입법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10 (10): 396-407,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09 1.18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