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상교통량 기반의 해상교통 집중관제 구역 도출에 관한 기초 연구 = A Basic Study on the Intensively Controlled Area based on Marine Traffic Volu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374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 Coast Guard have a Vessel Traffic Services(VTS) in the harbor and coastal area to ensure ship traffic safety and efficiency, and provides necessary information to vessels.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amine and control the encounter relations that are associated with multiple vessels in the VTS area within a limited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rea that should be intensively controlled for efficient maritime traffic control. First, we confirmed that the maritime traffic volume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VTS area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on VTS service zone setting. For the Busan New Port,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the traffic congestion due to the expansion of the berth, the distribution of vessel density, vessel collision risk distribution, and minimum distance were analyzed using AIS data for 5 days and compared with marine accidents occurred within the zone. As a result of analysis of ship density, it is analyzed that the distribution of ships per unit area is large in Gadeok-sudo area and relatively large ship is passing. As a result of the risk analysis of ship collision, the percentage of dangerous vessels was high in the coastal area outside Gadeok-sudo, but the ratio of very dangerous vessels was high inside Gadeok-sudo.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other vessels, 77.6% of the vessels that pass through the coastal area outside the Gadeok-sudo were navigating at a distance of 4cable or less. Since the opening of the Busan New Port VTS, marine casualtie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coastal areas outside the Gadeok-sudo, compared with the other areas. In conclusion, it was analyzed that the Gadeok-sudo should be controlled intensively for large ships with a large volume of traffic, and the coastal area outside the Gadeok-sudo should be controlled intensively for small ships with closed distance. This i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assist the VTS officer who need to monitor the entire control area within a limited time to make appropriate decisions.
      번역하기

      Korea Coast Guard have a Vessel Traffic Services(VTS) in the harbor and coastal area to ensure ship traffic safety and efficiency, and provides necessary information to vessels.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amine and control the encounter relations t...

      Korea Coast Guard have a Vessel Traffic Services(VTS) in the harbor and coastal area to ensure ship traffic safety and efficiency, and provides necessary information to vessels.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amine and control the encounter relations that are associated with multiple vessels in the VTS area within a limited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rea that should be intensively controlled for efficient maritime traffic control. First, we confirmed that the maritime traffic volume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VTS area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on VTS service zone setting. For the Busan New Port,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the traffic congestion due to the expansion of the berth, the distribution of vessel density, vessel collision risk distribution, and minimum distance were analyzed using AIS data for 5 days and compared with marine accidents occurred within the zone. As a result of analysis of ship density, it is analyzed that the distribution of ships per unit area is large in Gadeok-sudo area and relatively large ship is passing. As a result of the risk analysis of ship collision, the percentage of dangerous vessels was high in the coastal area outside Gadeok-sudo, but the ratio of very dangerous vessels was high inside Gadeok-sudo.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other vessels, 77.6% of the vessels that pass through the coastal area outside the Gadeok-sudo were navigating at a distance of 4cable or less. Since the opening of the Busan New Port VTS, marine casualtie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coastal areas outside the Gadeok-sudo, compared with the other areas. In conclusion, it was analyzed that the Gadeok-sudo should be controlled intensively for large ships with a large volume of traffic, and the coastal area outside the Gadeok-sudo should be controlled intensively for small ships with closed distance. This i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assist the VTS officer who need to monitor the entire control area within a limited time to make appropriate decis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해양경찰은 항만 및 연안해역에 선박교통안전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해상교통관제시스템(VTS)을 두어 관제구역 내 선박 동정을 관찰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관제구역 내의 다수 선박과 연관되는 조우 관계를 제한된 시간안에서 살펴보고 관제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본 논문은 효율적인 해상교통관제를 위해 집중적으로 관제가 되어야 하는 구역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VTS 서비스구역 설정과 관련한 선행연구 및 문헌을 통해 해상교통량이 관제 서비스구역의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했다. 그리고 선석 확대에 따라 해상교통 혼잡도가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산신항을 대상으로 5일간 AIS 데이터를 이용해서 관제구역 선박밀도, 선박충돌위험도 분포, 최소이격거리의 분포를 분석하고 구역 내 발생한해양사고와 비교했다. 선박밀도를 분석한 결과 단위면적 당 선박분포가 가덕수도 해역이 많으며 상대적으로 큰 선박이 통항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박충돌위험도 분석결과 위험선박의 비율은 가덕수도 밖의 연안 구역이 높았지만, 매우 위험한 선박의 비율은 가덕수도 안쪽이 높게 나타났다. 타선과의 최소 이격거리를 분석한 결과, 가덕수도 밖 연안구역을 통항하는 선박의 77.6%가 4cable 이하의 이격거리를 두고항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산신항 VTS 개소 이후 해양사고는 가덕수도 밖 연안구역에서 총 6건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다른 구역에 비해서 가장 많은 것으로나타났다. 종합하면, 가덕수도는 통항량이 많은 대형선을, 가덕수도 밖의 연안 구역은 이격거리가 짧은 소형선을 집중적으로 관제가 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이용해 제한된 시간 내 관제구역 전반을 감시해야 하는 해상교통관제사에게 적절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해양경찰은 항만 및 연안해역에 선박교통안전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해상교통관제시스템(VTS)을 두어 관제구역 내 선박 동정을 관찰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관제구역...

      해양경찰은 항만 및 연안해역에 선박교통안전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해상교통관제시스템(VTS)을 두어 관제구역 내 선박 동정을 관찰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관제구역 내의 다수 선박과 연관되는 조우 관계를 제한된 시간안에서 살펴보고 관제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본 논문은 효율적인 해상교통관제를 위해 집중적으로 관제가 되어야 하는 구역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VTS 서비스구역 설정과 관련한 선행연구 및 문헌을 통해 해상교통량이 관제 서비스구역의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했다. 그리고 선석 확대에 따라 해상교통 혼잡도가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산신항을 대상으로 5일간 AIS 데이터를 이용해서 관제구역 선박밀도, 선박충돌위험도 분포, 최소이격거리의 분포를 분석하고 구역 내 발생한해양사고와 비교했다. 선박밀도를 분석한 결과 단위면적 당 선박분포가 가덕수도 해역이 많으며 상대적으로 큰 선박이 통항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박충돌위험도 분석결과 위험선박의 비율은 가덕수도 밖의 연안 구역이 높았지만, 매우 위험한 선박의 비율은 가덕수도 안쪽이 높게 나타났다. 타선과의 최소 이격거리를 분석한 결과, 가덕수도 밖 연안구역을 통항하는 선박의 77.6%가 4cable 이하의 이격거리를 두고항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산신항 VTS 개소 이후 해양사고는 가덕수도 밖 연안구역에서 총 6건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다른 구역에 비해서 가장 많은 것으로나타났다. 종합하면, 가덕수도는 통항량이 많은 대형선을, 가덕수도 밖의 연안 구역은 이격거리가 짧은 소형선을 집중적으로 관제가 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이용해 제한된 시간 내 관제구역 전반을 감시해야 하는 해상교통관제사에게 적절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해양수산부, "해양사고위치정보"

      2 이형기, "해양사고 통계분석을 통한 VTS 개선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33 (33): 519-524, 2009

      3 양영훈,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 핵심기술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경찰학회 6 (6): 63-76, 2016

      4 김광일, "해상교통류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2 (22): 761-767, 2012

      5 김정호, "해상교통관제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상황인식이 관제 인적과실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6 이창희, "항법적용의 시점에 관한 소고" 56-61, 2013

      7 김종관, "항로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공간좌표기반의 해상교통 동적 항행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8 박진수, "포항항의 VTS 서비스구역 설정에 관한 연구" 6 (6): 1-15, 2000

      9 해양수산부, "통합PORT-MIS"

      10 김혜진, "중심점 기법을 이용한 통항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42 (42): 453-458, 2018

      1 해양수산부, "해양사고위치정보"

      2 이형기, "해양사고 통계분석을 통한 VTS 개선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33 (33): 519-524, 2009

      3 양영훈,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 핵심기술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경찰학회 6 (6): 63-76, 2016

      4 김광일, "해상교통류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2 (22): 761-767, 2012

      5 김정호, "해상교통관제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상황인식이 관제 인적과실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6 이창희, "항법적용의 시점에 관한 소고" 56-61, 2013

      7 김종관, "항로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공간좌표기반의 해상교통 동적 항행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8 박진수, "포항항의 VTS 서비스구역 설정에 관한 연구" 6 (6): 1-15, 2000

      9 해양수산부, "통합PORT-MIS"

      10 김혜진, "중심점 기법을 이용한 통항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42 (42): 453-458, 2018

      11 김광일, "선박위치 클러스터링을 활용한 해상교통 근접사고 산출에 관한 연구"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4 (24): 603-608, 2014

      12 청와대, "부산항 미래비전 선포식 축사"

      13 손휘동, "부산신항 VTS 서비스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4

      14 남해지방해양경비안전본부, "부산권해역 VTS 체계개선 기본조사설계 용역 최종보고서" 470-, 2014

      15 문범식, "목포연안에서의 연안VTS설치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26 (26): 261-267, 2002

      16 김경태, "남해안 주요항만 위험도 분석을 통한 집중 안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2008

      17 박성용, "교통량 분석을 통한 항만 VTS 관제사의 업무량 평가" 한국항해항만학회 32 (32): 569-576, 2008

      18 장은규, "VTS 시뮬레이터 기반 해상교통관제사 직무역량분석" 한국해양경찰학회 7 (7): 139-158, 2017

      19 Sang-Lok Yoo, "Near-miss density map for safe navigation of ships" 163 : 15-21, 2018

      20 S. Kum, "Mental Workload of the VTS Operatos by Utilising Heart Rate" 1 (1): 145-151, 2007

      21 K. Inoue, "Innovative Probabilistic Prediction of Accident Occurrence" 1 (1): 19-22, 2007

      22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Guidelines for Vessel Traffic Service"

      23 Weibin Zhang, "A method for detecting possible near miss ship collisions from AIS data" 107 : 60-69, 2015

      24 Nguyen Xuan Thanh, "(A)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al time supporting system (RTSS) for VTS officers"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09 1.18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