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족 동포의 신문 읽기에 나타나는 어휘 양상 분석 중국의 한글 신문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lexical aspect in Newspaper reading of Korean Chinese Centering on Korean newspapers of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778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f China``s eight regional newspaper targeting Korean newspa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spects of language vocabulary using of China Korean. When we educated the targeting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the Korean vocabulary, we expected to be able to help vocabulary lists select. And it narrows lexical gap of the Korean and China Korean, it can be used to reduce discomfort in the use of language when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living in South Korea.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currently are using a combination of mixed the China Korean, North Korean, Korean. China Korean has been influenced the only North Korean traditionally. The aspects of the China Korean vocabulary using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In other words, we were divided to the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are using new vocabulary use, they are using different meaning a he Korean words meaning, they are using a Korean low-frequency words, they are using a North Korean vocabulary.
      번역하기

      In this paper the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f China``s eight regional newspaper targeting Korean newspa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spects of language vocabulary using of China Korean. When we educated the targeting of ethnic ...

      In this paper the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f China``s eight regional newspaper targeting Korean newspa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spects of language vocabulary using of China Korean. When we educated the targeting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the Korean vocabulary, we expected to be able to help vocabulary lists select. And it narrows lexical gap of the Korean and China Korean, it can be used to reduce discomfort in the use of language when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living in South Korea.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currently are using a combination of mixed the China Korean, North Korean, Korean. China Korean has been influenced the only North Korean traditionally. The aspects of the China Korean vocabulary using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In other words, we were divided to the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are using new vocabulary use, they are using different meaning a he Korean words meaning, they are using a Korean low-frequency words, they are using a North Korean vocabula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흑룡강신문"

      2 두산동아 사서편집국, "표준국어대사전"

      3 사회과학원 언어연구소, "조선말대사전" 동광출판사 1992

      4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 "조선말규범집" 연변인민출판사 2007

      5 "조글로"

      6 윤인진, "재외동포사회의 변화와 미래 한국어교육의 방향" 국립국어원 139-178, 2009

      7 "인민넷"

      8 "연변일보"

      9 "연변인터넷방송"

      10 "신화넷"

      1 "흑룡강신문"

      2 두산동아 사서편집국, "표준국어대사전"

      3 사회과학원 언어연구소, "조선말대사전" 동광출판사 1992

      4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 "조선말규범집" 연변인민출판사 2007

      5 "조글로"

      6 윤인진, "재외동포사회의 변화와 미래 한국어교육의 방향" 국립국어원 139-178, 2009

      7 "인민넷"

      8 "연변일보"

      9 "연변인터넷방송"

      10 "신화넷"

      11 유춘희, "세 나라 조선어어휘사용 대비분석"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1) : 8-12, 2002

      12 고영근, "북한 및 재외교민의 철자법 집성" 역락 2000

      13 "료녕신문"

      14 박영순, "다문화사회의 언어문화와 교육론" 한국문화사 2007

      15 전수태, "남북한 어문 규범 비교 연구" 국립국어원 2004

      16 김영수, "남북 언어 규범의 차이와 중국 조선어 규범 문제" 국립국어원 189-197, 2009

      17 전병선, "남북 어휘 비교연구"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6) : 4-8, 2002

      18 최경봉, "남북 어휘 비교 연구의 문제점과 비교 어휘집의 편찬 방향" 한국어학회 39 : 331-363, 2008

      19 김수현, "남북 사전의 뜻풀이 비교를 통해 본 어휘의 의미 차이 연구" 국제어문학회 (52) : 9-40, 2011

      20 "길림신문"

      21 문금현, "南北韓 語彙의 同質性과 異質性"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35-61, 2004

      22 김선철, "2009년 남북 언어 학술대회 논문집" 국립국어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09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