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자는 크게 세 방향에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도덕 심리학의 선구가 된다고 할 수 있는 다윈의 도덕에 대한 진화론적 접근을 살펴보면서 그의 생각이 어떻게 하우저 등 오늘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9148
201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원자는 크게 세 방향에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도덕 심리학의 선구가 된다고 할 수 있는 다윈의 도덕에 대한 진화론적 접근을 살펴보면서 그의 생각이 어떻게 하우저 등 오늘날...
지원자는 크게 세 방향에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도덕 심리학의 선구가 된다고 할 수 있는 다윈의 도덕에 대한 진화론적 접근을 살펴보면서 그의 생각이 어떻게 하우저 등 오늘날의 도덕심리학자에게 파장을 드리우고 있는지를 추적한다. 둘째, 하우저와 그와 비교대상이 될 수 있는 도덕 심리학자들의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 정리한다. 셋째, 하우저가 자신의 입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제시하는 사례들이나 논의의 적절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먼저 연구는 도덕 심리에 대한 진화론적 접근의 선구가 되는 다윈의 입장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지원자는 위에서 개략적으로 언급한 다윈의 도덕 심리에 대한 설명의 개별적인 요소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후대에 가서 설명되고 있고, 하우저가 이를 어떻게 계승 발전시키고 있는가를 보이고자 한다. 물론 다윈이 지적했던 내용들이 난데 없이 하우저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고, 그 사이에 매개 역할을 했던 여러 이론들과 실험들이 있다. 지원자는 이 또한 놓치지 않으면서 인간의 도덕적 특성에 대한 핵심적인 학자들의 생각들이 어떤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면서 발전되고 있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여기에는 각각의 설명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에 대한 지적도 아울러 이루어질 것이다. 이를 통해 지원자는 과거에 있었던 논의들에 대한 수정이나 보완이 이루어지면서 진화에 의해 주어진 도덕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달라지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이는 도덕 심리에 대한 진화론적 검토가 어떤 방식으로 수정, 발전되어 왔는가를 보여주는 발달사적인 연구로, 새로운 연구를 모색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연구자는 도덕 능력이 진화에 의해 주어졌음을 보여주고자 하는 하우저의 착상과 다른 경쟁 이론들을 비교, 정리하고자 한다. 하우저는 우리에게 도덕적 본능이 진화를 통해 주어졌으며, 이러한 본능은 무의식적으로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능력이라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이와 같은 능력은 생래적인데, 이는 다른 동물과의 공통적인 진화 과정을 거치면서 일부가 주어졌고, 다른 일부는 오직 인간만이 거친 진화 과정에서 주어졌다. 그는 이와 같은 능력이 언어 능력과 유사한 방식으로 우리에게 주어졌다고 생각하는데, 그는 촘스키(Noam Chomsky)의 언어학 이론을 활용하여 자신의 입장을 뒷받침한다. 이와 같은 하우저의 입장과는 다소 다르게 하이트는 우리가 어떤 방식으로, 어디에서 사회생활을 하는가에 따라 다른 도덕적 직관을 갖게 된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그는 시골이 더욱 보수적이고 종교적인 경향이 강한 반면, 서로 격리된 삶을 살아가고 자유로운 경향이 있는 도심의 거주자들이 개인주의를 강조하는 윤리적 경향을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도덕적 믿음과 동기의 유래, 도덕 판단의 작동 방식, 도덕성의 발달 방식, 사람들 간에 도덕적 믿음이 서로 다른 이유 등에 대해 도덕 심리학자들은 각기 입장을 달리하는데, 지원자는 이러한 이론가들 중 일부를 선택하여 그들의 입장을 정리하고, 각각의 이론이 어떤 측면에서 갖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갖는지를 비교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도덕심리학자들의 입장을 일목묘연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는 촘스키의 언어학을 활용한 하우저의 방법론의 적절성을 검토해 볼 것이다. 여기에서는 인간의 언어 능력과 도덕 심리의 유비가 적절한지가 검토될 것이며, 하우저와 같이 도덕 능력을 별개로 상정하는 것이 올바른 관점인지에 대한 검토 등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지원자는 이러한 검토를 통해 도덕심리학 분야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것이 무엇이며, 그 지형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논의를 진행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