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범죄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판단에 있어 인지과학의 활용 가능성 = The Possibility of Using Cognitive Science to Determine the Credibility of the Statements of Victims of Sexual Cri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776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cognitive science in the process of judging credibility of the statements of victims of sexual crimes. The court must consider the specificity of the victim and gender-sensitivity in the pr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cognitive science in the process of judging credibility of the statements of victims of sexual crimes. The court must consider the specificity of the victim and gender-sensitivity in the process. But the judgement must be objective. So this study explores the applicability of cognitive science. In a criminal proceeding, the empirical rule requires a high degree of probability. But cognitive science studies statistical trends. Therefore, cognitive science cannot be subsumed under the empirical rule. Instead, cognitive science can be used as an auxiliary tool in the process of judging credibility of the statements made by victims of sexual crimes. Cognitive science allows us to critically examine the previously established judgment criteria. A victim’s statement may seem unreasonable from a retrospective viewpoint, but it is understandable when viewed in the framework of the natural cognitive process (this study introduces several cases that proves this point). It prevents unrestricted expansion of the rationale in favor of considering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victims of sexual crimes. In light of the findings of cognitive science, whether the statement is in agreement with material evidence should be taken as more important than the specificity and consistency of the stat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범죄 피해자의 진술 신빙성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인지과학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지를 모색하는 연구이다. 성범죄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그 피...

      본 연구는 성범죄 피해자의 진술 신빙성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인지과학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지를 모색하는 연구이다. 성범죄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그 피해자가 처한 특수한 상황과 성인지 감수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그 판단은 객관적이어야 한다. 때문에 인지과학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형사소송에서 경험칙은 고도의 개연성이 있는 경험원칙을 의미한다. 따라서 통계적 경향성을 탐구하는 인지과학을 직접 경험칙으로 활용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인지과학은 여전히 피해자 진술 신빙성 판단의 보조수단으로서 의미가 있다. 우선 인지과학은 종래 확립된 신빙성 판단 기준에 관하여 비판적 검토를 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피해자 진술이 사후적으로 보아 비합리적이라도, 자연스러운 인지작용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본 연구에는 이를 설명하는 몇 가지 사례를 확인하였다). 이는 성범죄 피해자의 특수성을 고려하라는 논리가 무제한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인지과학의 연구 성과들을 고려할 때, 진술의 구체성이나 일관성보다 물적 증거와의 부합을 더 중요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준호, "형사재판에 있어서 증명력 판단의 기준" 2 : 2004

      2 변종필, "형사소송에서 진실개념"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6

      3 양천수, "형사소송에서 사실인정의 구조와 쟁점 - 법적 논증의 관점에서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6 (26): 1-40, 2015

      4 한상훈, "진화론적 인지과학을 고려한 책임개념과 책임원칙의 재조명" 한국형사법학회 27 (27): 267-291, 2015

      5 권오걸, "자유심증에서의 경험칙과 한계" 한국법학회 (48) : 231-254, 2012

      6 김동현,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자유의지와형사책임론의 문제" 법학연구소 51 (51): 269-315, 2010

      7 박용철, "성폭력 형사사건에서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과 경험칙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2020

      8 마이클 루이스(Michael Lewis), "생각에 관한 생각 프로젝트" 김영사 2018

      9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man), "생각에 관한 생각" 김영사 2012

      10 크리스토퍼 차브리스(Chrustopher Chabris), "보이지 않는 고릴라" 김영사 2011

      1 이준호, "형사재판에 있어서 증명력 판단의 기준" 2 : 2004

      2 변종필, "형사소송에서 진실개념"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6

      3 양천수, "형사소송에서 사실인정의 구조와 쟁점 - 법적 논증의 관점에서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6 (26): 1-40, 2015

      4 한상훈, "진화론적 인지과학을 고려한 책임개념과 책임원칙의 재조명" 한국형사법학회 27 (27): 267-291, 2015

      5 권오걸, "자유심증에서의 경험칙과 한계" 한국법학회 (48) : 231-254, 2012

      6 김동현,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자유의지와형사책임론의 문제" 법학연구소 51 (51): 269-315, 2010

      7 박용철, "성폭력 형사사건에서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과 경험칙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2020

      8 마이클 루이스(Michael Lewis), "생각에 관한 생각 프로젝트" 김영사 2018

      9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man), "생각에 관한 생각" 김영사 2012

      10 크리스토퍼 차브리스(Chrustopher Chabris), "보이지 않는 고릴라" 김영사 2011

      11 이성기, "변화하는 형사재판 환경에서의 형사증거법의 역할과 과제: 사실 인정자의 편견을 배제하기 위한 형사증거법상 제언" 한국법정책학회 14 (14): 1933-1961, 2014

      12 이종엽, "법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진술증거의 평가방법" 한국법학원 (120) : 172-222, 2010

      13 에디 그린(EDIE GREENE), "법심리학" 정독 2022

      14 김상준, "법과 심리 과학의 역사적 발전과정: 형사법학과 형사재판실무에 대한 기여의 관점에서" (133) :

      15 이정모 ; 손지영, "법 인지과학: 법 영역의 인지과학적 조명" 법학연구소 51 (51): 347-398, 2010

      16 박예지, "뇌과학과 형사법의 만남-뇌영상 증거와 책임능력, 양형판단을 중심으로"

      17 데이비드 디살보(David DiSalvo), "나는 결심하지만 뇌는 비웃는다" 모멘텀 2012

      18 손지영 ; 한상훈, "“Neurolaw”의 기억연구와 법적 증거 허용성"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3 (23): 91-121, 2012

      19 Linda Henkel, "Photograph-Induced Memory Errors: When Photographs Make People Claim They Have Done Things They Have Not" 25 : 2011

      20 J. Deese, "On the Prediction of Occurrence of Particular Verbal Intrusions in Immediate Recall" 58 : 1959

      21 Robert Nash, "Digitally Manipulating Memory: Effects of Doctored Videos and Imagination in Distorting Beliefs and Memories" 37 : 2009

      22 Roediger, "Creating False Memories: Remembering words not presented in lists" 12 : 1995

      23 John A. Bargh, "Automaticity of Social Behavior : Direct Effect of Trait Construct and Stereo type Activation on Action" 71 : 1996

      24 Nancy Pennington, "A Cognitive Model of Juror Decision Making:“The Story Model”" 13 : 519-,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