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환경교육이 독립형과 분산형을 병행하여 이루어져 왔다는 점, 환경 교과 선택률이 낮다는 점 등을 고려한다면 학교 환경교육을 환경 교과 교육과정에 한정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50571
2024
Korean
539
학술저널
191-195(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학교 환경교육이 독립형과 분산형을 병행하여 이루어져 왔다는 점, 환경 교과 선택률이 낮다는 점 등을 고려한다면 학교 환경교육을 환경 교과 교육과정에 한정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
학교 환경교육이 독립형과 분산형을 병행하여 이루어져 왔다는 점, 환경 교과 선택률이 낮다는 점 등을 고려한다면 학교 환경교육을 환경 교과 교육과정에 한정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학교 환경교육 패러다임 변화를 국가 교육과정 관련 환경교육 연구 동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초·중등학교 국가 교육과정 관련 환경교육 선행연구(KCI 등재지 133편)를 수집 및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정 시기별 연구량과 연구 키워드를 시대적 맥락에 비추어 해석하고, 제6차 및 제7차 교육과정을 ‘학교 환경교육 확립기’, 2007 개정 및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지속가능발전교육 확산기’,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역량과 통합 지향기’, 2022 개정 교육과정을 ‘기후위기와 생태전환교육 도입기’로 구분하였다.
청소년 환경정책 제안 활동의 기획 주체 및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분석
디지털콘텐츠를 통한 청년층의 환경보호의 인식변화와 실천 유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