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3년 1월에 조선방송협회에서 창간한 잡지 『방송지우』는 라디오를 통해 방송된 내용을 문자 텍스트로재생산함으로써 라디오방송이 지닌 일회성의 한계를 보완하고 총독부의 식민정책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604193
황익구 (동아대학교)
2023
Korean
『방송지우』 ; 총후 여성 ; 프로파간다 ; 미담 ; 시각이미지 ; 『Bangsongjiwoo』 ; the women of home front ; propaganda ; praiseworthy stories ; visual image
KCI등재
학술저널
149-167(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43년 1월에 조선방송협회에서 창간한 잡지 『방송지우』는 라디오를 통해 방송된 내용을 문자 텍스트로재생산함으로써 라디오방송이 지닌 일회성의 한계를 보완하고 총독부의 식민정책과...
1943년 1월에 조선방송협회에서 창간한 잡지 『방송지우』는 라디오를 통해 방송된 내용을 문자 텍스트로재생산함으로써 라디오방송이 지닌 일회성의 한계를 보완하고 총독부의 식민정책과 전시프로파간다를 강화할 목적으로, 여성과 청소년을 주요 독자의 대상으로 설정한 그야말로 ‘총후’ 프로파간다 미디어로서의 기능을 유감없이 수행한 잡지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조선에서의 징병제 실시를 앞둔 시점에 창간된 만큼 징병제 실시를 둘러싼 선전과 홍보, ‘총후’ 국민의 자세와 역할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방송지우』는 징병제 실시와 전시동원을 원활하게 수행할 목적으로 ‘총후’ 여성의 자세와 역할을 ‘군국의 어머니’, ‘군국의 아내’라는 이미지로 형상화함으로써 여성의 주체적인 가치를 군국주의라는 국가담론으로통합하였으며, 아울러 여성을 ‘경제전’과 ‘생산전’이라는 국책을 수행해야 하는 ‘총후’ 전사로 자리매김 하였다. 이 과정에 『방송지우』는 여성이 주체가 되는 미담이라는 서사장치와 표지화, 광고와 같은 시각이미지장치를 프로파간다 전략으로 활용하였다. 즉 전시체제기 식민지 조선에서 『방송지우』가 생산하고 전파한‘총후’의 국민상은 식민권력의 이데올로기와 욕망이 반영된 레토릭이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6" 현대문화사 7-48, 2009
2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6" 현대문화사 849-873, 2009
3 김효순, "중일전쟁 미담에 나타난 총후 여성 표상 연구 -『지나사변 총후미담 조선반도 국민 적성(赤誠)』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60) : 25-47, 2016
4 임성모, "조선과 만주 총목차·색인 및 해제" 어문학사 6-12, 2007
5 성주현, "정현웅"
6 공임순, "전시체제기 징병취지 ‘야담만담부대’의 활동상과 프로파간다화의 역학 -‘황군’ 연성과 ‘황민’ 연성 사이, ‘말하는 교화미디어’로서의 야담ㆍ만담가들-" 한국근대문학회 (26) : 417-453, 2012
7 강혜경, "일제말기 조선방송협회를 통해 살펴본 방송통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9) : 305-344, 2011
8 서재길, "일제말기 방송문예와 대일협력 - {방송지우} 소재 신발굴 자료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소 (32) : 522-548, 2006
9 문한별, "일제강점 말기 경무국 도서과의 활동 방향과 검열의 흐름" 우리어문학회 (72) : 143-169, 2022
10 최유리, "일제 말기 징병제 도입의 배경과 그 성격"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12 : 391-414, 2000
1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6" 현대문화사 7-48, 2009
2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6" 현대문화사 849-873, 2009
3 김효순, "중일전쟁 미담에 나타난 총후 여성 표상 연구 -『지나사변 총후미담 조선반도 국민 적성(赤誠)』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60) : 25-47, 2016
4 임성모, "조선과 만주 총목차·색인 및 해제" 어문학사 6-12, 2007
5 성주현, "정현웅"
6 공임순, "전시체제기 징병취지 ‘야담만담부대’의 활동상과 프로파간다화의 역학 -‘황군’ 연성과 ‘황민’ 연성 사이, ‘말하는 교화미디어’로서의 야담ㆍ만담가들-" 한국근대문학회 (26) : 417-453, 2012
7 강혜경, "일제말기 조선방송협회를 통해 살펴본 방송통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9) : 305-344, 2011
8 서재길, "일제말기 방송문예와 대일협력 - {방송지우} 소재 신발굴 자료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소 (32) : 522-548, 2006
9 문한별, "일제강점 말기 경무국 도서과의 활동 방향과 검열의 흐름" 우리어문학회 (72) : 143-169, 2022
10 최유리, "일제 말기 징병제 도입의 배경과 그 성격"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12 : 391-414, 2000
11 서재길, "식민지 말기의 매체 환경과 방송 잡지『방송지우』의 성격" 근대서지학회 (3) : 179-195, 2011
12 "방송지우, 창간호, 2호, 제2권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8월호, 제3권 1호, 제3권 2호"
13 "매일신보(1943.3.19)"
14 "매일신보(1943.2.9)"
15 "매일신보(1938.2.23)"
16 中内敏夫, "軍国美談と教科書" 岩波新書 31-64, 1988
17 纐纈厚, "総力戦体制研究" 社会評論社 5-7, 2010
18 文部省, "戦時家庭教育指導要項"
19 増子保志, "創られた戦争美談ー肉弾三勇士と戦争美談" 12 (12): 27-35, 2015
20 重信幸彦, "みんなで戦争 銃後美談と動員フォークロア" 青弓社 271-307, 2019
21 서재길, "『방송지우』와 일제 말기 방송소설" 민족문학사연구소 22 : 387-409, 2003
일본 의료사무 장면에서의 정중체와 보통체 사이의 코드 스위칭에 관한 분석
接触場面の展開に関する一考察 - 日本語母語話者と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ディスカッションを対象に-
外来語と日本語文の特徴 ー「ログイン、ログアウト、チェックイン、チェックアウト」を中心に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