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아시아(일본과 중국) 기업지배구조의 형성과 변형: 서구적 맥락(영국과 스웨덴)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blem of corporate governance has been one of the key issues of economic reform in the world. There have been a lot of debates on corporate governance issue and it is still the subject of social controversy. In order to look at the issue in a new direction, this study attempts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rporate governance in the West and in the East Asia.
      In general, a company reflects not only the interests of stockholders but also the interests of various stakeholders - including workers,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 state. However, one actor’s degree of influence of in the corporate decision making process differs in each country. Thus, this study starts with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that market and corporation are socio-political constructions which are imbedded in the politics of a society.
      This study analyzes how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factors have influenced the historical process which produced a certain type of corporate governance in each country.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in four subfield studies: the formation of the corporate governance of the West, the formation of the Japanese corporate governance, the formation of the Chinese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corporate governance legislation.
      In our study of the corporate governance of the West, it is revealed that the British-American corporate governance type, which is also called the shareholder model, is started from the stakeholder model and that there exist diverse international standards of corporate governance. In addition, our study found that the modern Swedish corporate governance type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negotiation among the diverse social forces in each historical peri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Japanese corporate governanc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Japanese politicians and bureaucrats have been involved in the emergence of Japanese conglomerates and industrial rationalization in the 1930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Japanese employment system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 parts of the corporate governance in the post-1945 Japan. Furthermore, our research analyzes how labor relations affected the formation of Japanese corporate governance especially through the case study of economic societies and media.
      As to the Chinese corporate governance, our study analyzes the formation of corporate governance of the state owned enterprises (SOEs) as well as private corporations. The corporate governance of SOEs has been formed out of "danwei" system and a big chance followed after the joining the WTO system in 2001.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corporate govern of private companies through the stakeholder model.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corporate governance of the township village enterprises in rural China also transformed. Recently, they have been privatized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villagers became far more complicated.
      In our study of the legal system of the corporate governance, we not only introduced corporate governance related legislations in the U.S., Germany, Japan, and China but also analyzed how these legislations have been transformed by certain external factors or domestic events.
      In all, the corporate governance in each country has been formed and trans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market,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throughout its history. The corporate governance in East Asian countries is also diverse and each country has its own corporate governance model. The comparative study of corporate governance will also provide a new perspective understanding the Korean corporate governance in a new direction.
      번역하기

      The problem of corporate governance has been one of the key issues of economic reform in the world. There have been a lot of debates on corporate governance issue and it is still the subject of social controversy. In order to look at the issue in a ne...

      The problem of corporate governance has been one of the key issues of economic reform in the world. There have been a lot of debates on corporate governance issue and it is still the subject of social controversy. In order to look at the issue in a new direction, this study attempts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rporate governance in the West and in the East Asia.
      In general, a company reflects not only the interests of stockholders but also the interests of various stakeholders - including workers,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 state. However, one actor’s degree of influence of in the corporate decision making process differs in each country. Thus, this study starts with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that market and corporation are socio-political constructions which are imbedded in the politics of a society.
      This study analyzes how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factors have influenced the historical process which produced a certain type of corporate governance in each country.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in four subfield studies: the formation of the corporate governance of the West, the formation of the Japanese corporate governance, the formation of the Chinese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corporate governance legislation.
      In our study of the corporate governance of the West, it is revealed that the British-American corporate governance type, which is also called the shareholder model, is started from the stakeholder model and that there exist diverse international standards of corporate governance. In addition, our study found that the modern Swedish corporate governance type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negotiation among the diverse social forces in each historical peri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Japanese corporate governanc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Japanese politicians and bureaucrats have been involved in the emergence of Japanese conglomerates and industrial rationalization in the 1930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Japanese employment system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 parts of the corporate governance in the post-1945 Japan. Furthermore, our research analyzes how labor relations affected the formation of Japanese corporate governance especially through the case study of economic societies and media.
      As to the Chinese corporate governance, our study analyzes the formation of corporate governance of the state owned enterprises (SOEs) as well as private corporations. The corporate governance of SOEs has been formed out of "danwei" system and a big chance followed after the joining the WTO system in 2001.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corporate govern of private companies through the stakeholder model.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corporate governance of the township village enterprises in rural China also transformed. Recently, they have been privatized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villagers became far more complicated.
      In our study of the legal system of the corporate governance, we not only introduced corporate governance related legislations in the U.S., Germany, Japan, and China but also analyzed how these legislations have been transformed by certain external factors or domestic events.
      In all, the corporate governance in each country has been formed and trans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market,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throughout its history. The corporate governance in East Asian countries is also diverse and each country has its own corporate governance model. The comparative study of corporate governance will also provide a new perspective understanding the Korean corporate governance in a new dire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적으로 기업지배구조의 개편은 경제개혁의 핵심 사안이었고 기업지배구조의 개혁은 여전히 진행 중에 있다. 그런 만큼 이 문제에 대해서 첨예한 논쟁이 전개되었고 여전히 사회적인 논란의 대상이다. 본 연구는 서구 및 동아시아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기업지배구조의 문제를 새로운 시각에서 짚어봄으로써 학문적, 사회적 기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지배구조 역사경로의 형성 및 변형 과정을 추적한다. 기업은 ‘주주’(stockholder)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stakeholders)--노동자, 금융기관, 국가 등--의 이익을 반영한다. 그러나 어떠한 행위자가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행사하는가 하는 것은 국가에 따라서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장과 기업이 정치ㆍ사회 영역에 ‘맞물린’(embedded) 가운데 형성ㆍ발전된 "정치ㆍ사회적 구조물"이라는 이론적 시각을 견지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치ㆍ사회ㆍ문화적 요인들이 기업지배구조가 특정한 유형으로 형성되는 역사적 과정에서 어떻게 작용하였는지를 분석한다. 각 개별 연구는 歐美의 기업지배구조의 형성, 일본의 기업지배구조의 형성, 중국의 기업지배구조의 형성, 기업지배구조 법제 등 4가지 범주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歐美의 기업지배구조의 연구에서는, 먼저 주주모델로 불리는 영미식 기업지배구조가 이해관계자 모델에서 시작되었음과, 기업지배구조의 국제기준이 다양하다는 것을 밝혔다. 다음으로 이해관계자 모델의 원형으로서 스웨덴 기업지배구조의 정치적 형성 과정을 분석하면서 스웨덴 기업지배구조가 각 시기마다 제 세력의 합리적 선택의 결과임을 논증하였다.
      일본의 기업지배구조의 형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역사적 접근을 통해 근대일본의 재벌형성과 1930년대 산업합리화에 일본 정부 관료의 역할을 통해 기업지배구조에 정치와 관료의 개입을 규명하였다. 다음으로 1945년 패전이후 일본형 기업지배구조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일본적 고용시스템의 형성과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일본적 고용시스템의 변화는 구조적인 변화이지만, 일본의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와 정책의 영향을 받으면서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노사관계가 일본형 기업지배구조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경제동우회의 사례와 언론분석을 통해 밝혔다.
      중국의 기업지배구조의 형성에 대한 분석에서는 국유기업 지배구조의 형성과정과 민간기업 지배구조의 형성과정을 분석한다. 중국 국유기업지배구조는 관료지배 하의 ‘딴웨이’ 체제에서 역사적 변화를 거쳐 형성되었음을 밝혔으며, 이것이 2001년 세계무역기구 가입 이후, 중국 국유기업의 기업지배구조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규명하였다. 중국의 민간기업 기업지배구조를 이해관계자(stakeholder) 모델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향진기업이라 불리는 중국의 농촌기업은 세계화 이후 지배구조에 커다란 변화가 있었다. 많은 향진기업이 사유화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민들 사이의 관계도 더욱 복잡해졌음을 밝혔다.
      기업지배의 법제도의 비교법적인 연구는 단순히 미국, 독일, 일본, 중국의 기업지배구조와 관련된 법제를 소개하고 비교하는 것을 뛰어넘어, 각 국가의 기업지배구조의 법제도가 어떠한 외부적인 변수 또는 국내적인 사건을 통해 변해왔으며 현재의 문제점은 어떠한 것이 있
      번역하기

      세계적으로 기업지배구조의 개편은 경제개혁의 핵심 사안이었고 기업지배구조의 개혁은 여전히 진행 중에 있다. 그런 만큼 이 문제에 대해서 첨예한 논쟁이 전개되었고 여전히 사회적인 논...

      세계적으로 기업지배구조의 개편은 경제개혁의 핵심 사안이었고 기업지배구조의 개혁은 여전히 진행 중에 있다. 그런 만큼 이 문제에 대해서 첨예한 논쟁이 전개되었고 여전히 사회적인 논란의 대상이다. 본 연구는 서구 및 동아시아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기업지배구조의 문제를 새로운 시각에서 짚어봄으로써 학문적, 사회적 기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지배구조 역사경로의 형성 및 변형 과정을 추적한다. 기업은 ‘주주’(stockholder)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stakeholders)--노동자, 금융기관, 국가 등--의 이익을 반영한다. 그러나 어떠한 행위자가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행사하는가 하는 것은 국가에 따라서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장과 기업이 정치ㆍ사회 영역에 ‘맞물린’(embedded) 가운데 형성ㆍ발전된 "정치ㆍ사회적 구조물"이라는 이론적 시각을 견지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치ㆍ사회ㆍ문화적 요인들이 기업지배구조가 특정한 유형으로 형성되는 역사적 과정에서 어떻게 작용하였는지를 분석한다. 각 개별 연구는 歐美의 기업지배구조의 형성, 일본의 기업지배구조의 형성, 중국의 기업지배구조의 형성, 기업지배구조 법제 등 4가지 범주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歐美의 기업지배구조의 연구에서는, 먼저 주주모델로 불리는 영미식 기업지배구조가 이해관계자 모델에서 시작되었음과, 기업지배구조의 국제기준이 다양하다는 것을 밝혔다. 다음으로 이해관계자 모델의 원형으로서 스웨덴 기업지배구조의 정치적 형성 과정을 분석하면서 스웨덴 기업지배구조가 각 시기마다 제 세력의 합리적 선택의 결과임을 논증하였다.
      일본의 기업지배구조의 형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역사적 접근을 통해 근대일본의 재벌형성과 1930년대 산업합리화에 일본 정부 관료의 역할을 통해 기업지배구조에 정치와 관료의 개입을 규명하였다. 다음으로 1945년 패전이후 일본형 기업지배구조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일본적 고용시스템의 형성과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일본적 고용시스템의 변화는 구조적인 변화이지만, 일본의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와 정책의 영향을 받으면서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노사관계가 일본형 기업지배구조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경제동우회의 사례와 언론분석을 통해 밝혔다.
      중국의 기업지배구조의 형성에 대한 분석에서는 국유기업 지배구조의 형성과정과 민간기업 지배구조의 형성과정을 분석한다. 중국 국유기업지배구조는 관료지배 하의 ‘딴웨이’ 체제에서 역사적 변화를 거쳐 형성되었음을 밝혔으며, 이것이 2001년 세계무역기구 가입 이후, 중국 국유기업의 기업지배구조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규명하였다. 중국의 민간기업 기업지배구조를 이해관계자(stakeholder) 모델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향진기업이라 불리는 중국의 농촌기업은 세계화 이후 지배구조에 커다란 변화가 있었다. 많은 향진기업이 사유화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민들 사이의 관계도 더욱 복잡해졌음을 밝혔다.
      기업지배의 법제도의 비교법적인 연구는 단순히 미국, 독일, 일본, 중국의 기업지배구조와 관련된 법제를 소개하고 비교하는 것을 뛰어넘어, 각 국가의 기업지배구조의 법제도가 어떠한 외부적인 변수 또는 국내적인 사건을 통해 변해왔으며 현재의 문제점은 어떠한 것이 있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