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변화기 공격적 경영전략으로써 이미지 툴 필요성 = With Attack Management Strategy Necessity of Image T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645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ransformation of the business has been promoted due to the lifestyle, perception and change of values of the consumers arisen from the economic pressure and psychological factors. Moreover, the image salience of the company and its products has been emphasized by the enhanced selection standard and the advanced sense of the individual consumers.Hence, the image of the company and its products should have strong, favorable and characteristic associations and prototypes to survive in the fierce competition and changing situation. It was necessary to break through the traditional business management and strategies since they can not cope with the current situation.The image strategy aligned with sensitivity of the consumers is to create consumption and to promote dynamic business activities and continuing development.The perceptual inference and evaluation in the affirmative or in the negative toward the image of the company and its products exerts a substantial influence continuously. In other words, people translate the company and the products with good image correlatively as the good company and good products. Therefore, it is important and essential for the company to make a good image and to use this image as a marketing tool, i.e. to activate it as a positive management tool. The creative image can be the strong management strategy to satisfy the consumers' need and to sympathize with the consumers' sense.
      번역하기

      The transformation of the business has been promoted due to the lifestyle, perception and change of values of the consumers arisen from the economic pressure and psychological factors. Moreover, the image salience of the company and its products has b...

      The transformation of the business has been promoted due to the lifestyle, perception and change of values of the consumers arisen from the economic pressure and psychological factors. Moreover, the image salience of the company and its products has been emphasized by the enhanced selection standard and the advanced sense of the individual consumers.Hence, the image of the company and its products should have strong, favorable and characteristic associations and prototypes to survive in the fierce competition and changing situation. It was necessary to break through the traditional business management and strategies since they can not cope with the current situation.The image strategy aligned with sensitivity of the consumers is to create consumption and to promote dynamic business activities and continuing development.The perceptual inference and evaluation in the affirmative or in the negative toward the image of the company and its products exerts a substantial influence continuously. In other words, people translate the company and the products with good image correlatively as the good company and good products. Therefore, it is important and essential for the company to make a good image and to use this image as a marketing tool, i.e. to activate it as a positive management tool. The creative image can be the strong management strategy to satisfy the consumers' need and to sympathize with the consumers' sen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강도 높은 경제적 압박과 심리적 요인들로부터 기인하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인식, 그리고 가치관의 변화가 기업변신을 촉구하고 있으며, 개인(individual consumer)의 선택 수준향상과 고감각화가 기업과 제품의 이미지 현저성(image salience)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과 제품 이미지는 보다 강력하고 호의적인 독특한 연상(association)과 전형성(prototype)을 가지고 있어야 만하는 환경에 놓여있다. 이처럼 과거의 기업경영 방식이나 전략의 반복은 변화현실에 대한 적극적 대응전략일 수 없기에 돌파구에 대한 새로운 모색이 필요한 오늘이다. 이미지 전략은 소비자 감성과의 동조를 꾀함으로써 이미지로 소비를 창출하는 것이며, 역동적인 기업 활동과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기업과 제품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추론(perceptual inference)과 평가(evaluation)는 상당히 지속적으로 기업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소비자는 이미지가 좋은 기업, 이미지가 좋은 제품을 좋은 기업, 좋은 제품이라고 상관관계적(correlation inference)으로 해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오늘과 같은 변화기는 이미지를 마케팅 도구, 즉 적극적인 경영도구로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창의적인 이미지가 소비자 욕구를 충족하고, 소비자 감성과 교감할 수 있는 경영전략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강도 높은 경제적 압박과 심리적 요인들로부터 기인하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인식, 그리고 가치관의 변화가 기업변신을 촉구하고 있으며, 개인(individual consumer)의 선택 수준향상과 고...

      강도 높은 경제적 압박과 심리적 요인들로부터 기인하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인식, 그리고 가치관의 변화가 기업변신을 촉구하고 있으며, 개인(individual consumer)의 선택 수준향상과 고감각화가 기업과 제품의 이미지 현저성(image salience)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과 제품 이미지는 보다 강력하고 호의적인 독특한 연상(association)과 전형성(prototype)을 가지고 있어야 만하는 환경에 놓여있다. 이처럼 과거의 기업경영 방식이나 전략의 반복은 변화현실에 대한 적극적 대응전략일 수 없기에 돌파구에 대한 새로운 모색이 필요한 오늘이다. 이미지 전략은 소비자 감성과의 동조를 꾀함으로써 이미지로 소비를 창출하는 것이며, 역동적인 기업 활동과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기업과 제품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추론(perceptual inference)과 평가(evaluation)는 상당히 지속적으로 기업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소비자는 이미지가 좋은 기업, 이미지가 좋은 제품을 좋은 기업, 좋은 제품이라고 상관관계적(correlation inference)으로 해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오늘과 같은 변화기는 이미지를 마케팅 도구, 즉 적극적인 경영도구로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창의적인 이미지가 소비자 욕구를 충족하고, 소비자 감성과 교감할 수 있는 경영전략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숙, "현대사회와 기호" 문학과 지성 1996

      2 Thomas Mitchell, "혁신적인 디자인 사고인" 국제출판 1999

      3 김용석, "크리에이티브를 통한 지각된 독특성이 선호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2

      4 명광주, "컬러마케팅의 이론과 실제" 1996

      5 H. Igor Ansoff, "최신전략경영" 1993

      6 조용수, "정보화사회를 위한 광고전략" 학문사 2000

      7 안광호외, "전략적브랜드관리" 학현사 2003

      8 "언제 이미지 광고를 할 것인가? 광고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1994

      9 임종원외, "소비자행동론" 경문사 1998

      10 리대룡외, "소비자행동론" 영풍문고 1998

      1 김명숙, "현대사회와 기호" 문학과 지성 1996

      2 Thomas Mitchell, "혁신적인 디자인 사고인" 국제출판 1999

      3 김용석, "크리에이티브를 통한 지각된 독특성이 선호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2

      4 명광주, "컬러마케팅의 이론과 실제" 1996

      5 H. Igor Ansoff, "최신전략경영" 1993

      6 조용수, "정보화사회를 위한 광고전략" 학문사 2000

      7 안광호외, "전략적브랜드관리" 학현사 2003

      8 "언제 이미지 광고를 할 것인가? 광고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1994

      9 임종원외, "소비자행동론" 경문사 1998

      10 리대룡외, "소비자행동론" 영풍문고 1998

      11 김훈철, "소비자를 사로잡는 광고전략" 21세기북스 1993

      12 이진용, "소비자 의사결정과정에 기초한 통합적 브랜드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14 (14): 7-38, 2003

      13 홍재욱, "브랜드 최초상기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광고공사 2000

      14 양영종외, "디지털시대 광고론" 형설출판사 2002

      15 이재국, "디자인의 글로벌리즘과 문화적 아이덴티티" 1995

      16 야마다리에이, "광고표현의 과학화" 한언 1999

      17 권명광, "광고커뮤니케이션과 기호학" 문학과 경계사 2003

      18 성영신외,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 한국심리학회 1990

      19 김홍규외, "광고를 통한 브랜드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2001

      20 이현우, "광고 표현의 차별화에 있어서 자극적인 메시지의 유용성" 연세대학교대학원 1998

      21 김선주, "광고 비주얼이미지의 복합정도에 따른 광고효과" 중앙대학교대학원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