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부기관의 이미지 구성 요소 및 측정 척도 개발을 위한 실증 연구 =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Scale to Assess the Government Agency Im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963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정부기관의 이미지를 평가할 수 있는 타당한 측정도구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일반국민들이 정부기관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측정하기 교육인적자원부를 대상으로 두 번의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미지를 측정할 수 있는 내용들을 추출하기 위해 304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고, 타당하고 신뢰 있는 이미지 구성 모델을 찾아냈다. 이미지 측정 항목을 중심으로 다시 1023명을 대상으로 2차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모델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재검증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이미지 측정 모델은 12개 항목 4개 요인-경영리더십, 정책신뢰성, 공정성, 정책공개성-으로 구성되었다. 이 모델은 Q값이 2.93으로 기준치 3보다 적게 나왔고, GFI는 .961, AGFI는 .936, 기준치 .9를 넘었고, RMR의 값은 .132로 .05 보다 높게 나왔으나 다른 값들이 최적모델에 가까운 수치를 보여, 적절한 모델로 수용할 수 있었다. 정부기관의 이미지를 측정할 수 있는 모델은 앞으로 정부기관의 명성 관리와 관계성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정부기관의 이미지를 평가할 수 있는 타당한 측정도구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일반국민들이 정부기관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측정하기 교육인적자원부를 대상으로 두 번의...

      이 연구는 정부기관의 이미지를 평가할 수 있는 타당한 측정도구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일반국민들이 정부기관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측정하기 교육인적자원부를 대상으로 두 번의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미지를 측정할 수 있는 내용들을 추출하기 위해 304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고, 타당하고 신뢰 있는 이미지 구성 모델을 찾아냈다. 이미지 측정 항목을 중심으로 다시 1023명을 대상으로 2차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모델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재검증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이미지 측정 모델은 12개 항목 4개 요인-경영리더십, 정책신뢰성, 공정성, 정책공개성-으로 구성되었다. 이 모델은 Q값이 2.93으로 기준치 3보다 적게 나왔고, GFI는 .961, AGFI는 .936, 기준치 .9를 넘었고, RMR의 값은 .132로 .05 보다 높게 나왔으나 다른 값들이 최적모델에 가까운 수치를 보여, 적절한 모델로 수용할 수 있었다. 정부기관의 이미지를 측정할 수 있는 모델은 앞으로 정부기관의 명성 관리와 관계성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measure the image of a government agenc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s chosen. The survey was conducted twice, in first survey, 304 subjects participated, in second one, 1023 subjects participated. The instrument to measure the image is consisted of 20 items. Data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n 4 dimensional factors with 12 items-leadership, trust, fairness, openness-are extracted. This measurement model is tested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econd set of sample. In second survey, the supposed model is reconfirmed b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gain. Model fit indexes yield satisfactory results(Q = 2.93, GFI = .961, AGFI = .936, RMR = .132). Leadership construct is measured by 4 items, trust is measured by 3 items, and fairness is measured by 3 items, openness is measured by 2 items. This measurement scale is valid for the government agency. It is usable for effect of public relations practice and the index of reputation manage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measure the image of a government agenc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s chosen. The survey was conducted twice, in first survey, 304 subjects p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measure the image of a government agenc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s chosen. The survey was conducted twice, in first survey, 304 subjects participated, in second one, 1023 subjects participated. The instrument to measure the image is consisted of 20 items. Data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n 4 dimensional factors with 12 items-leadership, trust, fairness, openness-are extracted. This measurement model is tested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econd set of sample. In second survey, the supposed model is reconfirmed b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gain. Model fit indexes yield satisfactory results(Q = 2.93, GFI = .961, AGFI = .936, RMR = .132). Leadership construct is measured by 4 items, trust is measured by 3 items, and fairness is measured by 3 items, openness is measured by 2 items. This measurement scale is valid for the government agency. It is usable for effect of public relations practice and the index of reputation manag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지호, "해외홍보원과 국가이미지 위원회의 홍보실무연구-허튼(Hutton)의 PR 모델 적용" 37 (37): 421-444, 2003

      2 이동기, "조직-공중관계성이 소방행정기관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9 (9): 47-64, 2005

      3 김충현, "조직-공중관계성과 이미지의 관계: 행위적 관계와 상징적 관계의 상호작용" 47 (47): 78-106, 2003

      4 김철회, "정부부처에 대한 BSC 적용사례와 시사점: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16 (16): 69-88, 2006

      5 김찬아, "정부기관의 이미지 측정개념과 절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73 : 43-60, 2006

      6 최승범, "정부기관 이미지·평판 비교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행정학회 457-480, 2006b

      7 최승범, "정부기관 브랜드 이미지, 정체성, 고객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행정학회 551-564, 2006a

      8 김용훈, "정부기관 BSC 전략체계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한국행정연구소 44 (44): 249-269, 2006

      9 조은희, "정부 브랜드 이미지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8 (8): 205-226, 2004

      10 "노컷뉴스, 2007. 8. 27"

      1 장지호, "해외홍보원과 국가이미지 위원회의 홍보실무연구-허튼(Hutton)의 PR 모델 적용" 37 (37): 421-444, 2003

      2 이동기, "조직-공중관계성이 소방행정기관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9 (9): 47-64, 2005

      3 김충현, "조직-공중관계성과 이미지의 관계: 행위적 관계와 상징적 관계의 상호작용" 47 (47): 78-106, 2003

      4 김철회, "정부부처에 대한 BSC 적용사례와 시사점: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16 (16): 69-88, 2006

      5 김찬아, "정부기관의 이미지 측정개념과 절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73 : 43-60, 2006

      6 최승범, "정부기관 이미지·평판 비교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행정학회 457-480, 2006b

      7 최승범, "정부기관 브랜드 이미지, 정체성, 고객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행정학회 551-564, 2006a

      8 김용훈, "정부기관 BSC 전략체계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한국행정연구소 44 (44): 249-269, 2006

      9 조은희, "정부 브랜드 이미지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8 (8): 205-226, 2004

      10 "노컷뉴스, 2007. 8. 27"

      11 차희원, "기업 이미지와 기업 명성이 조직-공중 관계성과 기업 슈퍼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68) : 171-199, 2005

      12 김원수, "기업 이미지 관리론" 경문사 1995

      13 "www.president.go.kr/cwd/kr/about/organization/government.html"

      14 Hutton, J. G., "The Definition, Dimension, and Domain of Public Relations" 25 : 204-208, 1999

      15 Gregory, A., "Planning and Managing Public Relations Campaigns (PR 캠페인: 기획·관리의 단계별 지침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6 김영욱, "PR커뮤니케이션" 이화여대출판부 2003

      17 이종혁, "PR 프로젝트 기획"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18 Lucas, D. B., "Measuring Advertising Effectiveness" McGraw-Hill Book Company 1963

      19 Kotler, P., "Marketing Management-The Millennium Edition (마케팅관리론)" Prentice-Hall, Inc 2000

      20 Avenaius, H., "Introduction: Image and Public Relations Practice" 5 (5): 65-70, 1993

      21 Coombs, T. W., "Image, in Heath, R. L. (2005). Encyclopedia of Public Relations" SAGE 405-407, 2005

      22 Grunig, J. E., "Image and Substance: From Symbolic to Behavioral Relationships" 19 (19): 121-139, 1993

      23 Hon, C. L., "Guidelines for Measuring Relationships in Public Relations. Gainesville, FL 32611-8400: The Institute for Public Relations"

      24 Ledingham, J. A., "Explicating Relationship Management as a General Theory of Public Relations" 15 (15): 181-198, 2003

      25 Kunkel, J. H., "A Behavioral Conception of Retail Image" 32 : 21-7, 196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광고학보 -> 한국광고홍보학보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72 2.31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