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남북통일 후 북한 주민들이 남한의 광고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날 문제들을 알아보기 위해 남한에 입국하였으나 아직 남한 사회에 본격적으로 정착하지 않은 227명의 북한이탈주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96351
200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95-228(34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남북통일 후 북한 주민들이 남한의 광고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날 문제들을 알아보기 위해 남한에 입국하였으나 아직 남한 사회에 본격적으로 정착하지 않은 227명의 북한이탈주민...
본 연구는 남북통일 후 북한 주민들이 남한의 광고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날 문제들을 알아보기 위해 남한에 입국하였으나 아직 남한 사회에 본격적으로 정착하지 않은 227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광고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남한광고를 아주 재미있다고 인식하였으며, 광고를 보면 물건을 살 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광고가 남한 사회의 생활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5개의 광고를 보여주고 각 광고에 대한 반응을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광고에 대해 이해를 잘하였으며 광고의 주장을 거의 그대로 수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런 결과는 북한이탈 주민들이 광고를 판단할 수 있는 충분한 제품지식이 없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통일 후에 북한 주민들이 남한의 광고에 여과 없이 그대로 노출되면 대부분의 주민들은 광고에 의해 오도되고 나아가서 합리적 구매결정을 하는데 문제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consumer issues which might be raised when North Koreans are exposed to South Korean advertising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We surveyed 227 North Koreans who defected to South Korea but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consumer issues which might be raised when North Koreans are exposed to South Korean advertising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We surveyed 227 North Koreans who defected to South Korea but haven`t yet started to settle in South Korean society. The respondents generally show favorable attitudes toward South Korean advertising. However, they regarded it undesirable that South Korean advertising contains too much foreign languages. In the study, we presented 5 television commercials to the respondents and surveyed their advertising responses to each ad. Since the respondents did not have product knowledge enough to judge the fairness of advertising messages, they seemed to accept the advocated message points as they are. All thes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e possibility that North Koreans could be misled by South Korean advertising and further, could not make informed decision, if they are exposed to the ads without substantial product knowledge or experiences.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영종, "한반도 통일에 대비한 광고산업 발전모델연구" 40 : 147-177, 1998
2 강승구, "통일을 대비한 광고정책 방향" 1998
3 강승구, "통일을 대비한 광고정책" (1월) : 61-73, 1999
4 전우택, "탈북자들의 주요 사회 배경에 따른 적응과 자아정체성에 관한 연구" 1 : 109-167, 1997
5 김석향, "북한이탈주민의 언어생활과 북한 당국의 언어정책" 통일교육원 2003
6 이덕배,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2003
7 하성환,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4
8 임채욱, "북한의 광고 세계" 극동문제 84-99, 2002
9 양영종, "북한에 부는 광고바람" 형성출판사 59-60, 2001
10 박성용, "부당광고의 소비자인식에 대한 한·일간 비교연구" (23) : 187-213, 1994
1 양영종, "한반도 통일에 대비한 광고산업 발전모델연구" 40 : 147-177, 1998
2 강승구, "통일을 대비한 광고정책 방향" 1998
3 강승구, "통일을 대비한 광고정책" (1월) : 61-73, 1999
4 전우택, "탈북자들의 주요 사회 배경에 따른 적응과 자아정체성에 관한 연구" 1 : 109-167, 1997
5 김석향, "북한이탈주민의 언어생활과 북한 당국의 언어정책" 통일교육원 2003
6 이덕배,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2003
7 하성환,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4
8 임채욱, "북한의 광고 세계" 극동문제 84-99, 2002
9 양영종, "북한에 부는 광고바람" 형성출판사 59-60, 2001
10 박성용, "부당광고의 소비자인식에 대한 한·일간 비교연구" (23) : 187-213, 1994
11 윤여상, "남한의 귀순동포에 대한 정책연구" (5) : 1994
12 유시은,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의 3년간 사회적응추적 연구: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생활과 교육을 중심으로" 9 (9): 73-105, 2005
13 KBS, "KBS 스페셜: 시장, 북한을 바꾸다"
14 북한인권정보센터, "2005 새터민 언론접촉 현황조사" 한국언론재단 2005
15 여운연, "2003년도 인쇄매체 광고심의 평가" (1월) : 2004
정부기관의 이미지 구성 요소 및 측정 척도 개발을 위한 실증 연구
서브브랜드의 인지도와 현출성에 따른 PPL식 협동광고의 효과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6-0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광고학보 -> 한국광고홍보학보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2 | 1.22 | 1.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72 | 2.318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