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ㆍ미국 대학 지리학과의 학부과정 교과목에 대한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Undergraduate Geography Curriculums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416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미국 대학의 지리학과 학부과정 교과목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연구이다. <지리학 개론>은 학부과정 교과목으로 개설하는 경우가 매우 드문데, 이는 지리학의 네 분야(인문지리 분야, 자연지리 분야, 지역지리학 분야, 기타 분야)를 한 과목으로 통합하여 개설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 대학 지리학과에서는 인문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39.4%)이 자연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24.5%)보다 크지만, 미국 대학 지리학과에서는 자연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32.8%)이 인문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29.4%)보다 조금 더 큰 것으로 나타난다. 지역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을 비교하면, 미국의 비율(18.1%)이 한국의 비율(13.8%)보다 크다. 이는 미국 대학 지리학과에서 지역지리학 분야가 보다 더 강조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한국 대학 지리학과 교과과정은 미국 대학 지리학과 교과과정을 수용하여 정착시킨 것이기 때문에 양자는 매우 유사한 면을 많이 갖고 있다. 그렇지만 지리학의 네 분야가 차지하는 몫에서는 약간의 상이성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상이성은 지난 반세기 동안에 한국 지리학과가 놓여있던 역사적 맥락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한국·미국 대학의 지리학과 학부과정 교과목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연구이다. <지리학 개론>은 학부과정 교과목으로 개설하는 경우가 매우 드문데, 이는 지리학의 네 분야(인...

      이 논문은 한국·미국 대학의 지리학과 학부과정 교과목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연구이다. <지리학 개론>은 학부과정 교과목으로 개설하는 경우가 매우 드문데, 이는 지리학의 네 분야(인문지리 분야, 자연지리 분야, 지역지리학 분야, 기타 분야)를 한 과목으로 통합하여 개설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 대학 지리학과에서는 인문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39.4%)이 자연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24.5%)보다 크지만, 미국 대학 지리학과에서는 자연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32.8%)이 인문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29.4%)보다 조금 더 큰 것으로 나타난다. 지역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을 비교하면, 미국의 비율(18.1%)이 한국의 비율(13.8%)보다 크다. 이는 미국 대학 지리학과에서 지역지리학 분야가 보다 더 강조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한국 대학 지리학과 교과과정은 미국 대학 지리학과 교과과정을 수용하여 정착시킨 것이기 때문에 양자는 매우 유사한 면을 많이 갖고 있다. 그렇지만 지리학의 네 분야가 차지하는 몫에서는 약간의 상이성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상이성은 지난 반세기 동안에 한국 지리학과가 놓여있던 역사적 맥락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undergraduate geography curriculums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An Introduction to Geography> is rarely offered as an undergraduate geography subject in both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four fields of geography(human geography field, physical geography field, regional geography field, and other geography field) are not easily able to be integrated and taught as an independent geography subject. The ratio of the subject number of human geography field(39.4%) is greater than that of physical geography field(24.5%) at the geography departments of Korean universities, but the ratio of the subject number of physical geography field(32.8%) is a little more greater than that of human geography field(29.4%) at the geography departments of American universities. The ratio of the subject number of regional geography fields at the geography department of American universities(18.1%) is greater than that of Korean universities(13.8%), so more stress seems to be laid on the field of regional geography in American universities than in Korean universities. Although the geography curriculums of Korean universities seems to follow generally those of American universities, this paper reveals that there is also differences between the geography curriculums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in terms of their emphasis on four fields of geography. The differences could be explained by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geography departments of Korean universities during the last half a century.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undergraduate geography curriculums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An Introduction to Geography> is rarely offered as an undergraduate geography subject in both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undergraduate geography curriculums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An Introduction to Geography> is rarely offered as an undergraduate geography subject in both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four fields of geography(human geography field, physical geography field, regional geography field, and other geography field) are not easily able to be integrated and taught as an independent geography subject. The ratio of the subject number of human geography field(39.4%) is greater than that of physical geography field(24.5%) at the geography departments of Korean universities, but the ratio of the subject number of physical geography field(32.8%) is a little more greater than that of human geography field(29.4%) at the geography departments of American universities. The ratio of the subject number of regional geography fields at the geography department of American universities(18.1%) is greater than that of Korean universities(13.8%), so more stress seems to be laid on the field of regional geography in American universities than in Korean universities. Although the geography curriculums of Korean universities seems to follow generally those of American universities, this paper reveals that there is also differences between the geography curriculums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in terms of their emphasis on four fields of geography. The differences could be explained by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geography departments of Korean universities during the last half a centu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머리말
      • 2. 지리학의 여러 분야와 지리학과 교과목 분류 체계
      • 3. 한국 대학 지리학과의 학부과정 교과목에 대한 비교 분석
      • 요약
      • Abstract
      • 1. 머리말
      • 2. 지리학의 여러 분야와 지리학과 교과목 분류 체계
      • 3. 한국 대학 지리학과의 학부과정 교과목에 대한 비교 분석
      • 4. 미국 대학 지리학과의 학부과정 교과목에 대한 비교 분석
      • 5. 한국ㆍ미국 대학 지리학과의 학부과정 교과목에 대한 비교
      • 6. 요약 및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