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육적 한계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교육혁신의 요구에 따라 나타난 마을교육공동체를 Engeström의 활동이론을 통해 활동의 갈등과 모순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G�...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00408
2019
Korean
학술저널
125-144(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적 한계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교육혁신의 요구에 따라 나타난 마을교육공동체를 Engeström의 활동이론을 통해 활동의 갈등과 모순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G�...
본 연구는 교육적 한계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교육혁신의 요구에 따라 나타난 마을교육공동체를 Engeström의 활동이론을 통해 활동의 갈등과 모순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G시 N구 M동에서 이루어지는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참여자와 공동체이다. M동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체제 구성 요소 간의 상호작용 과정 속에서 나타난 다양한 갈등과 모순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의 주체인 학생, 교사, 학부모들이 가지고 있는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둘째, 마을은 시청과 교육청에서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대해 눈에 보이는 성과를 요구하는 것에 대한 부담을 느낀다. 셋째,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대해 관련 주체들 간의 목표나 기대결과가 다르다. 넷째, 마을교육공동체 공모 사업에 대한 마을이 느끼는 행정적 절차의 어려움과 활동을 위한 지원체제의 부족함이 있다. 다섯째,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불안함이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Spradley, J. P., "참여관찰방법[Participant observational]" 시그마프레스 2006
2 김용련, "지역사회 기반 교육공동체 구축 원리에 대한 탐색적 접근:복잡성 과학, 사회적 자본, 교육거버넌스 원리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259-287, 2015
3 김회수, "광주형 마을교육공동체 발전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4 광주광역시 지역공동체추진단, "광주마을교육공동체 모델정립 연구" 2018
1 Spradley, J. P., "참여관찰방법[Participant observational]" 시그마프레스 2006
2 김용련, "지역사회 기반 교육공동체 구축 원리에 대한 탐색적 접근:복잡성 과학, 사회적 자본, 교육거버넌스 원리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259-287, 2015
3 김회수, "광주형 마을교육공동체 발전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4 광주광역시 지역공동체추진단, "광주마을교육공동체 모델정립 연구" 2018
‘레토릭의 관용표현’과 ‘대항레토릭’전략의 토론 교육 활용 가능성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목표구조와 학생평가전문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신입직원의 멘토링을 통한 조직 적응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