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1. Introduction
- 2. Korean diaspora films
- 3. Lexical and visual semantics of The Journal of Musan
- 4. Representations and visual semantics of Dooman River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은하, "한국 영화 속 재현된 조선족 디아스포라 : <차이나 블루>와 <두만강>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3) : 231-256, 2017
2 김선아, "탈/국가의 영화적 공간 -<민족과 운명>, <무산일기>, <두만강>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소 8 (8): 53-82, 2012
3 강성률, "영화가 탈북자를 다루는 시선들" 현대영화연구소 7 (7): 5-31, 2011
4 김두섭, "연변 조선족인구의 최근 변화: 1990년, 2000년 및 2010년 중국 인구센서스 자료의 분석" 아태지역연구센터 36 (36): 121-149, 2013
5 정성일, "언젠가 세상은 영화가 될 것이다: 정성일·정우열의 영화편애" 바다 2010
6 강성률, "떠도는 인생, 지켜보는 카메라-장률 영화의 디아스포라" 현대영화연구소 7 (7): 91-118, 2011
7 Kwak, K., "Typhoon [Film]"
8 Brubaker, R., "The ‘Diaspora’ Diaspora" 28 (28): 1-19, 2005
9 Pak, C., "The journals of Musan [Film]"
10 An P'ansŏk, "South of the border [Film]"
1 손은하, "한국 영화 속 재현된 조선족 디아스포라 : <차이나 블루>와 <두만강>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3) : 231-256, 2017
2 김선아, "탈/국가의 영화적 공간 -<민족과 운명>, <무산일기>, <두만강>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소 8 (8): 53-82, 2012
3 강성률, "영화가 탈북자를 다루는 시선들" 현대영화연구소 7 (7): 5-31, 2011
4 김두섭, "연변 조선족인구의 최근 변화: 1990년, 2000년 및 2010년 중국 인구센서스 자료의 분석" 아태지역연구센터 36 (36): 121-149, 2013
5 정성일, "언젠가 세상은 영화가 될 것이다: 정성일·정우열의 영화편애" 바다 2010
6 강성률, "떠도는 인생, 지켜보는 카메라-장률 영화의 디아스포라" 현대영화연구소 7 (7): 91-118, 2011
7 Kwak, K., "Typhoon [Film]"
8 Brubaker, R., "The ‘Diaspora’ Diaspora" 28 (28): 1-19, 2005
9 Pak, C., "The journals of Musan [Film]"
10 An P'ansŏk, "South of the border [Film]"
11 Tölölyan, K., "Rethinking diaspora (s): Stateless power in the transnational moment" 5 (5): 3-36, 1996
12 성경숙, "Konfliktfilmanalyse über nordkoreanische Flüchtlinge: CROSSING 2008, DOOMAN RIVER 2009, THE JOURNALS OF MUSAN 2010, DANCE TOWN 2011, WINTERSCHMETTERLING 2011" 현대영화연구소 8 (8): 343-388, 2012
13 Cohen, R., "Global Diasporas: An introduction" Routledge 2008
14 Seol, D. H., "Ethnic return migration and hierarchical nationhood: Korean Chinese foreign workers in South Korea" 9 (9): 147-174, 2009
15 설동훈, "Dynamics of Ethnic Nationalism and Hierarchical Nationhood: Korean Nation and Its Othernesss since the Late 1980s" 한국학중앙연구원 54 (54): 5-33, 2014
16 Safran, W., "Diasporas in modern societies: Myths of homeland and return" 1 (1): 83-99, 1991
17 Chŏn K., "Dance town [Film]"
18 Kim K., "China blue [Film]"
19 Naficy, H., "An accented cinema: Exilic and diasporic filmmakin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4차 산업혁명’과 NBIC 기술융합 시대의 인문학적 차원 연구
요나스 메카스 필름 다이어리 「월든」에서의 질료적 실재성과 몽환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3-12-01 | 평가 | 탈락(현장점검) (기타)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9 | 0.19 | 0.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8 | 0.26 | 0.462 | 0 |
한국사의 디아스포라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윤상원, 이동훈, 임형수, 정순일, 이영호, 김주용, 배진숙, 나혜심, 구영은한국사의 디아스포라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윤상원, 이동훈, 임형수, 정순일, 이영호, 김주용, 배진숙, 나혜심, 구영은한국사의 디아스포라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윤상원, 이동훈, 임형수, 정순일, 이영호, 김주용, 배진숙, 나혜심, 구영은Korea and Korean Diaspora Through Food and Culture
K-MOOC 인하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소 송창주한인 디아스포라(Korean Diaspora) : 민족이산의 역사와 초국가적 한민족
K-MOOC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정병호, 임성숙, 이주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