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총련의 음악교육에서 나타나는 민족교육의 양상 = The aspect of national education in the music education of Chosun Chongry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970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조선총련의 음악교육에서 나타나는 민족교육의 양상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내용은 일본의 한국인·조선인의 민족교육을 위한 학교 체제를 이해하고, 조선총련�...

      이 연구는 조선총련의 음악교육에서 나타나는 민족교육의 양상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내용은 일본의 한국인·조선인의 민족교육을 위한 학교 체제를 이해하고, 조선총련이 제작하여 적용하고 있는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악곡의 국적, 가사, 장단, 그리고 음계 등에 대한 민족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조선총련의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1학년부터 6학년까지 6권에 제시된 전체 악곡 187곡이다. 연구 결론은 첫째, 일본의 민단과 조선총련의 민족교육은 분리되어 진행되고 있으며, 조선총련의 민족교육은 독립적이고 체계적이다. 둘째, 조선총련의 음악 교과서 가창곡의 가사에서 탈이념적이며 초민족주의적인 움직임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조선총련의 음악 교과서에서는 서양식 창작 음악에 전통 장단을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민족 음악의 계승과 발전을 꾀하고 있다. 넷째, 조선총련의 음악 교과서에서는 빠른 장단과`도` 5음 음계의 비중을 높여 우리 민족의 밝고 긍정적인 음악적 특성을 강조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Korean education in the music education of Chosun Chongryon. The content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school system for the education of Korean and Korean people in Japan and to analyze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Korean education in the music education of Chosun Chongryon. The content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school system for the education of Korean and Korean people in Japan and to analyze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nationality, lyrics, rhythm and scales of music presented in the music textbooks produced and applied by Chosun Chongry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7 pieces of all songs presented in 6 volumes from the first grade to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 of Chosun Chongryo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education of the Mindan and the Chosun Chongryon of Japan is proceeding separately, and the national education of the Chosun Chongryon is independent and systematic.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 lyrics of the song texts of Chosun Chongryon`s music textbooks are de ideological and ultra - nationalist movements. Third, in the music textbooks of Chosun Chongryon, the traditional music has been succeeded and developed by using the traditional music in Western style music. Fourth, in the textbooks of Chosun Chongryon, it is understood that emphasizing the bright and positiv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ople, the increase of the proportion of the fast rhythm and `do` pentatonic sca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길화, "해외동포: 조총련교육현장 취재기; 약회되는 민족학교, 박수칠 일만은 아니다" 146 : 53-55, 1996

      2 한윤이, "초등학교 민요 장단의 달고 맺는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40 (40): 191-217, 2011

      3 한나래,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의 세계 민요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7 : 85-105, 2014

      4 최영호, "조총련에 의한 민족교육의 어제와 오늘" 47 : 249-262, 2005

      5 정진성, "조총련 조직 연구" 국제학연구소 14 (14): 33-62, 2005

      6 정희선, "재일조선인의 민족교육 운동(1945-1955)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6

      7 총련중앙상임위원회 교과서편찬위원회, "음악 초급 6" 학우서방 2011

      8 총련중앙상임위원회 교과서편찬위원회, "음악 초급 5" 학우서방 2011

      9 총련중앙상임위원회 교과서편찬위원회, "음악 초급 4" 학우서방 2011

      10 총련중앙상임위원회 교과서편찬위원회, "음악 초급 3" 학우서방 2011

      1 정길화, "해외동포: 조총련교육현장 취재기; 약회되는 민족학교, 박수칠 일만은 아니다" 146 : 53-55, 1996

      2 한윤이, "초등학교 민요 장단의 달고 맺는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40 (40): 191-217, 2011

      3 한나래,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의 세계 민요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7 : 85-105, 2014

      4 최영호, "조총련에 의한 민족교육의 어제와 오늘" 47 : 249-262, 2005

      5 정진성, "조총련 조직 연구" 국제학연구소 14 (14): 33-62, 2005

      6 정희선, "재일조선인의 민족교육 운동(1945-1955)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6

      7 총련중앙상임위원회 교과서편찬위원회, "음악 초급 6" 학우서방 2011

      8 총련중앙상임위원회 교과서편찬위원회, "음악 초급 5" 학우서방 2011

      9 총련중앙상임위원회 교과서편찬위원회, "음악 초급 4" 학우서방 2011

      10 총련중앙상임위원회 교과서편찬위원회, "음악 초급 3" 학우서방 2011

      11 총련중앙상임위원회 교과서편찬위원회, "음악 초급 2" 학우서방 2011

      12 총련중앙상임위원회 교과서편찬위원회, "음악 초급 1" 학우서방 2011

      13 진희관, "북한의 재외동포정책 연구 - 재중총련, 재CIS동포, 재일총련 그리고 재미동포 정책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평화문제연구소 23 (23): 63-106, 2011

      14 국립국악원, "국악용어 표준안" 계문사 2010

      15 "국립국악원 홈페이지"

      16 양태호, "新 在日韓國・朝鮮人讀本" 綠風出版 2014

      17 "Wikipedia japan-事典: 在日本朝鮮人總聯合會"

      18 Kdály, Z., "Hungarian Folksong. The Selected Writings of Zoltán Kodály" Corvina Press 19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1 1.115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