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唐代 近體詩 對仗의 色彩語 연구 (1) = The Color Terms used in the Juxtaposition of T'ang(唐) Dynasty's Modern Style Po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442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文着眼於詩歌創作中,視覺形象占有極大的比重,探討在唐代近體詩中的顔色字的運用情況。因爲硏究範圍極其廣泛,所以本文只能對於顔色字運用的理論背景和全面的特點進行考察,其他運用手法、審美效果等等方面,還要期待後續的硏究。本文主要分析,唐代詩人在唐代文化的背景和詩歌創作傳統下,怎樣效果地運用各種顔色字創作詩歌。本文爲了正確把握何是具有代表性的顔色字,對≪全唐詩≫所載的近體詩進行了統計處理,將白、靑、黃、紅、碧、綠、翠、紫、丹、朱等十個顔色字確定爲“基本顔色字”。通過這種處理,我們可以知道,雖然顔色字的數量繁多,但唐代詩人常用的字只限爲十多個。其中,靑色或白色系統的顔色字,具有顯著的優越性。接着,本文進一步探討了顔色字在唐代近體詩中,使用頻次大大增加的原因。我認爲,唐朝繪畫的發展、重視詩情畵意的文學觀念、運用對仗的近體詩和山水題材詩的盛行等等的因素,都影響到顔色字增加的趨勢。在唐代近體詩使用對仗的兩聯中,顔色組合的特點是如何,也是本文集中考察的核心內容。十個“主要顔色字”,在一聯兩句中自然形成一雙組合,這些組合的結果顯得,從“白-靑”到“黃-紫”等十二個,使用頻率較高的情況。本文認爲,這種現象的原因,主要在於無彩色和有彩色的虛實對比、顔色字的平仄字聲、補色或類色的搭配、唐朝文化的影響等等。本文也根據對於顔色字如何結合名詞詞組的分析,認證了唐朝詩人使用顔色字過程中,怎樣組織自己的“心理詞彙”,而挑選適當的顔色字幷確定其顔色字的具體含意。
      번역하기

      本文着眼於詩歌創作中,視覺形象占有極大的比重,探討在唐代近體詩中的顔色字的運用情況。因爲硏究範圍極其廣泛,所以本文只能對於顔色字運用的理論背景和全面的特點進行考察,其...

      本文着眼於詩歌創作中,視覺形象占有極大的比重,探討在唐代近體詩中的顔色字的運用情況。因爲硏究範圍極其廣泛,所以本文只能對於顔色字運用的理論背景和全面的特點進行考察,其他運用手法、審美效果等等方面,還要期待後續的硏究。本文主要分析,唐代詩人在唐代文化的背景和詩歌創作傳統下,怎樣效果地運用各種顔色字創作詩歌。本文爲了正確把握何是具有代表性的顔色字,對≪全唐詩≫所載的近體詩進行了統計處理,將白、靑、黃、紅、碧、綠、翠、紫、丹、朱等十個顔色字確定爲“基本顔色字”。通過這種處理,我們可以知道,雖然顔色字的數量繁多,但唐代詩人常用的字只限爲十多個。其中,靑色或白色系統的顔色字,具有顯著的優越性。接着,本文進一步探討了顔色字在唐代近體詩中,使用頻次大大增加的原因。我認爲,唐朝繪畫的發展、重視詩情畵意的文學觀念、運用對仗的近體詩和山水題材詩的盛行等等的因素,都影響到顔色字增加的趨勢。在唐代近體詩使用對仗的兩聯中,顔色組合的特點是如何,也是本文集中考察的核心內容。十個“主要顔色字”,在一聯兩句中自然形成一雙組合,這些組合的結果顯得,從“白-靑”到“黃-紫”等十二個,使用頻率較高的情況。本文認爲,這種現象的原因,主要在於無彩色和有彩色的虛實對比、顔色字的平仄字聲、補色或類色的搭配、唐朝文化的影響等等。本文也根據對於顔色字如何結合名詞詞組的分析,認證了唐朝詩人使用顔色字過程中,怎樣組織自己的“心理詞彙”,而挑選適當的顔色字幷確定其顔色字的具體含意。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胡珊, "論杜牧詩歌色彩詞的運用" (3) : 2004

      2 두행숙, "헤겔미학Ⅲ" 나남출판 1996

      3 장은부, "한 권으로 읽는 도교" 산책자 2008

      4 유병례, "중국시학의 이해" 태학사 2003

      5 송용준, "중국시율학1" 소명출판 2005

      6 김동환, "인지언어학과 의미" 태학사 2005

      7 이형기, "시란 무엇인가" 한국문연 1993

      8 권영걸, "쉬운 색채학" 날마다 2011

      9 이동민, "색채의 마력" 아트북스 2007

      10 이주노, "색채와 중국인의 삶"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1

      1 胡珊, "論杜牧詩歌色彩詞的運用" (3) : 2004

      2 두행숙, "헤겔미학Ⅲ" 나남출판 1996

      3 장은부, "한 권으로 읽는 도교" 산책자 2008

      4 유병례, "중국시학의 이해" 태학사 2003

      5 송용준, "중국시율학1" 소명출판 2005

      6 김동환, "인지언어학과 의미" 태학사 2005

      7 이형기, "시란 무엇인가" 한국문연 1993

      8 권영걸, "쉬운 색채학" 날마다 2011

      9 이동민, "색채의 마력" 아트북스 2007

      10 이주노, "색채와 중국인의 삶"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1

      11 정진강, "색채어에 투영된 상징의미 변천 考 ―중국어의 흰색(白)과 검정색(黑)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학회 (22) : 3-20, 2008

      12 진실로, "색채어 번역―‘green’과 ‘blue’ 범주를 중심으로" 한국번역학회 4 (4): 29-47, 2003

      13 유관호, "색의 정신세계" 태학원 2007

      14 金尾勁, "먼셀 색체계를 기본으로 한 색채조화론에 대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1997

      15 김준연, "당대칠언율시연구" 역락 2004

      16 邱坤, "顔色詞移就現象探析" 中國石油大學 2008

      17 黃永武, "詩的色彩設計, In 詩與美" 洪範書店 1984

      18 劉正國, "詩歌色彩的美學特徵" 17 (17): 1998

      19 楊春豔, "淺論唐詩色彩描寫的常用技法" 23 (23): 2000

      20 陳銘, "意與境-中國古典詩詞美學三昧" 浙江大學出版社 2001

      21 錢理群, "心靈的探索" 河北教育出版社 2000

      22 葉朝紅, "從顔色詞看中國古代服色禮俗" 27 (27): 2007

      23 蘭翠, "唐詩與書畵的文化精神" 齊魯書社 2009

      24 余思慧, "唐詩的色彩意象" 2007

      25 譚德晶, "唐詩宋詞的藝術" 學林出版社 2002

      26 張穎, "唐詩中的色彩服飾詞語" 長春理工大學 2004

      27 魚雙燕, "唐詩中的色彩描繪" (2) : 2009

      28 戴艶, "唐代色彩論析" 21 (21): 2005

      29 李斌城, "唐代文化"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2

      30 呂少卿, "唐代山水畵風略論" (7) : 2006

      31 박종연, "中國語 色彩語 硏究現況과 展望" 중국어문연구회 (43) : 207-229, 2009

      32 王國瓔, "中國山水詩硏究" 中華書局 2007

      33 王先霈, "中國古代文學中的綠色觀念" (6) : 1999

      34 Guy Deutscher, "Through the Language Glass" Picador 2010

      35 Steven K Shevell, "The Science of Color" Elsevier 2003

      36 Jackendoff, R.S., "Foundations of Language: Brain, Meaning, Grammar, and Evol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7 Alison H. Deming, "Colors of Nature" Milkweed 2011

      38 Steven K Shevell, "Color in Complex Scenes" 59 : 2008

      39 Berlin, "Basic color terms: their universality and evolution" Center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Information 1999

      40 I.C. McManus, "Basic Color Terms in Literature" 26 :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6 0.5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