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복궁 자경전 십장생 굴뚝 문양(紋樣)에 대한 재고(再考) = A Reconsideration to the Pattern of the Jagyeonjeon Chimney with Ten Longevity Symbols, Gyeongbok Palac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raditional patterns engraved in the palace are representative Korean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that have infinite expressive potential and are very easy to reproduce and reconstruct. However, if there is an understanding of the source data or...

      The traditional patterns engraved in the palace are representative Korean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that have infinite expressive potential and are very easy to reproduce and reconstruct. However, if there is an understanding of the source data or uncertainty about the material, it may fall into simple form imitation and distortion. Under this recognition, this study tried to reveal the identity of the pattern material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imney flower wall pattern of Gyeongbokgung Palace Jagyeongjeon chimney flower wall, which is a representative flower wall pattern in Korea, through literature review, field photo observation, comparative analysis with detailed images drawn based on actual survey design and advice from plant experts. Also, based on the results, an attempt was made to elucidate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is ic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attern of ‘Ten longevity symbols part’ is divided into two distinct areas, and among them, three species of birds observed in pairs in the ‘Non-ten longevity symbols part’ are a duck swimming on the water, a kingfisher aiming for a lotus rice, and a two little cuckoo flying in the sky to ‘unite yin and yang (陰阳合一)’ was emphasized. The plant patterns independently expressed in the ‘Ten longevity Symbols part’ are presumed to be Peony, and the other patterns expressed as cloud gates are also judged to be floor plans that are repeatedly expressed using the Peonies as a material.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previously known lotuses and grapes, the patterns of creeping thistle (Jobaengi), azalea, and horsetail were confirm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These patterns are plants with strong vitality and fertility, and they are placed together with lotuses and grapes, which symbolize ‘prosperity of offspring', and can be seen as symbolizing ‘longevity'. On the other hand, the addition of the genitalia of the creeping thistle and the horsetail is a humorous element introduced into the solemn and feminine space. In the Jagyeongjeon’s chimney pattern, there is the sun, clouds, stones, cranes, deer, turtles, pine trees, bamboo, and yeongji (herb of eternal youth). In addition to the nine longevity symbols, the number of patterns was confirmed to be 19. Plant-based patterns such as chrysanthemum, peony, lotus, grape, azalea, creeping thistle, and horsetails and three birds-type patterns such as ducks, little cuckoo and common kingfishers were additionally identified.
      Gyeongbokgung Palace Jagyeongjeon’s ten long-lived chimney pattern has a strong folklore character, showing nine long-lived chimneys and three pairs of birds of non-seven long-lived chrysanthemums, chrysanthemums and peonies, grapes, kites, and rhododendrons, horsetails, and azaleas. Similarities to <Jangsaenghwajodo> are also fou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궁궐에 새겨진 전통 문양은 무한한 표현 가능성과 재현 및 재구성이 매우 쉬운 대표적인 한국의 전통문화 콘텐츠이다. 그러나 원천 자료에 대한 이해나 소재 불확실성이 크다면 단순한 형태...

      궁궐에 새겨진 전통 문양은 무한한 표현 가능성과 재현 및 재구성이 매우 쉬운 대표적인 한국의 전통문화 콘텐츠이다. 그러나 원천 자료에 대한 이해나 소재 불확실성이 크다면 단순한 형태 모방과 왜곡에 빠질 수 있다. 이러한 인식 아래 본 연구는 국내 대표적 꽃담 문양으로 알려진 경복궁 자경전 십장생굴뚝 문양을 대상으로 문헌고찰과 현장사진 고찰 그리고 실측설계를 바탕으로 작도된 상세 이미지와의 비교분석 그리고 식물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문양 도상(圖像)의 정체성과 그 구성상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십장생굴뚝 문양은 분명한 ‘십장생부’와 ‘비십장생부’의 2개 영역으로 구분되며 그중 비십장생부에서 관찰되는 조류은 물 위를 유영하는 오리와 연밥을 노리는 물총새 그리고 하늘을 비상하는 두견이로, 3종의 날짐승을 쌍(雙)으로 배치하여 음양합일(陰陽合一)을 강조하였다. 십장생부에 독립되어 표현된 식물 문양은 모란으로 추정되며 이 밖에 구름문으로 표현된 문양 또한 모란을 소재로 표현된 평면도안으로 판단된다. 한편 비십장생부에는 기존에 알려진 연과 포도 이외에 조뱅이·진달래·쇠뜨기 문양이 본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이 문양들은 강한 생명력과 번식력을 갖는 식물로 ‘자손 번창’을 상징하는 연과 포도와 함께 배치되어 ‘장수 희구’를 상징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조뱅이와 쇠뜨기의 생식경(生殖莖)을 추가한 것은 근엄하고 여성 중심 공간에 도입된 해학적 요소가 아닐 수 없다. 자경전 십장생굴뚝에서는 해(日)·구름(雲)·돌(石)·학(鶴)·사슴(鹿)·거북(龜,)·소나무(松)·대나무(竹)·영지(靈芝, 不老草) 등 9종류의 십장생 이외에 국화, 모란, 연, 포도, 진달래, 조뱅이, 쇠뜨기 등의 식물계 문양과 오리, 물총새, 두견이 3종류의 동물계 문양이 추가로 확인됨에 따라 전체 문양의 소재 수는 총 19종으로 늘어났다.
      경복궁 자경전 십장생굴뚝 문양은 띠처럼 연결되어 순환하는 구성을 보이는 민화적 성격이 강한 <장생화조도(長生花鳥圖)>의 일면이 드러나는바, 이 부분은 향후 연구과제로 돌리기로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덕봉, "화투의 문화기호 해석" 6 : 2000

      2 "한국콘텐츠진흥원"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한국문화정보원 문화포털"

      5 허균, "한국 전통 건축 장식의 비밀" 대원사 2013

      6 김종원, "한국 식물 생태 보감 2" 자연과생태 2013

      7 이나가키 히데히로(稻垣 榮洋), "풀들의 전략(身近な雜草のゆかいな生き方)" 도서출판 도솔 2006

      8 손아란, "테셀레이션(Tessellation)을 적용한 십장생 패턴디자인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6

      9 박본수, "조선후기 십장생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10 정경임, "조선후기 민화(화조화)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1 이덕봉, "화투의 문화기호 해석" 6 : 2000

      2 "한국콘텐츠진흥원"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한국문화정보원 문화포털"

      5 허균, "한국 전통 건축 장식의 비밀" 대원사 2013

      6 김종원, "한국 식물 생태 보감 2" 자연과생태 2013

      7 이나가키 히데히로(稻垣 榮洋), "풀들의 전략(身近な雜草のゆかいな生き方)" 도서출판 도솔 2006

      8 손아란, "테셀레이션(Tessellation)을 적용한 십장생 패턴디자인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6

      9 박본수, "조선후기 십장생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10 정경임, "조선후기 민화(화조화)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11 조대식, "조선시대 화문장의 미적 조형성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2 박혜성, "조선시대 전통회화와 민화에 나타난 식물류 및 모란도의 색채와 조형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3 조민경, "조선시대 민화 중 십장생도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4 임영주, "전통문양자료집" 미진사 2000

      15 김수지 ; 박재연, "전통 꽃담의 상징성에 대한 디자인 제안"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4 : 49-60, 2013

      16 주태욱, "재전달 구전에서 중간 전달자의 정보 왜곡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0

      17 정진해, "자연을 끌어들인 자경전 십장생굴뚝 1-4"

      18 이덕자, "이조시대 조형물에 나타난 길상문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1970

      19 "위키백과"

      20 편집부, "원색 한국조류도감" 아카데미서적 1989

      21 이창복, "원색 대한식물도감 상" 향문사 2003

      22 이종근, "우리동네 꽃담" 생각의나무 2007

      23 박본수, "오리건대학교박물관 소장 십장생병풍(十長生屛風) 연구" 2 : 2008

      24 노재현 ; 이다영 ; 최승희, "연지(蓮池)로 본 성혈사 나한전 꽃살문양의 생태미학과 상징성" 한국전통조경학회 36 (36): 160-171, 2018

      25 황대권, "야생초 편지" 도솔 2002

      26 심영옥, "십장생도에 내재된 장수길상(長壽吉祥)의 상징적 이미지 연구" 8 : 2004

      27 박정은, "심사정의 한국화(화훼초충도) 특징 분석" 경상대학교대학원 2015

      28 "보물 제810호, 경복궁 자경전 십장생굴뚝, 문양상세도 실측설계2 문화재원형기록정보시스템"

      29 박본수, "병풍에 그린 송학이 날아올 때까지"

      30 심연옥, "동아대학교박물관 소장 <초충도수병>의 직물과 자수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원 46 (46): 230-251, 2013

      31 박종희, "대한약초백과도감" 신일북스 2012

      32 이상희,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넥서스 1998

      33 이영배, "꽃담무늬를 응용한 생활 소품 연구 : 경복궁 교태전, 자경전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4

      34 김취정, "김취정 박사의 민화 읽기⑲ 다산의 상징, 포도나무"

      35 "궁궐문화원"

      36 문화재청, "경복궁 자경전 및 자경전 십장생굴뚝 실측조사보고서" 2010

      37 권민형 ; 송인정 ; 박천호, "경복궁 자경전 꽃담에 나타난 화훼식물과 상징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6 (46): 75-82, 2012

      38 김현정, "경복궁 교태전과 자경전의 꽃담무늬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弘益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08-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전통문화연구소 -> 전통문화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Heritage -> The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